오늘날의 조류(鳥流)
물총새 / 호반새 / 물까치 / 물수리 / 가마우지
39. 물총새(kingfisher)
〔크기〕 몸길이 18cm 〔먹이〕 작은 물고기류, 양서류 〔사는 곳〕 아메리카를 제외한 전 지역
물총새는 파랑새 목(目) 물총새 과(科)로 여름 철새였는데 지구 온난화 때문인지 차츰 텃새화하는 개체도 있다. 주로 강이나 호수 근처에서 살며 민물고기나 작은 양서류 등을 주로 잡아먹는다.
집은 물가의 흙 벼랑에 터널과 같은 구멍을 뚫고 그 속 둥지에 알을 낳고 새끼를 기른다.
먹이를 잡을 때 벌새나 황조롱이처럼 물 위에서 제자리에 날개를 파닥거리며 정지하여 물속을 바라보다가 먹이를 발견하면 총알처럼 물속으로 내리꽂혀 물고기를 낚아챈다. 작은 물고기는 잡아서 밖으로 나와 바로 삼키지만, 큰 물고기는 살아서 퍼득거리면 부리로 물고 나뭇가지에 두들겨서 죽인 다음 삼킨다.
같은 계열로 호반새(湖畔鳥)로 불리는 새도 있는데 부리와 털이 붉은색이라 일명 불새라고도 불리며, 제법 커서 물총새의 거의 두 배 정도이다.(27.5cm) 호반새는 쥐, 물고기, 개구리, 갑각류 등이 주 먹이이며 물총새가 그러하듯 이들도 큰 먹이는 나뭇가지에 두들겨서 죽인 후 먹는다.
40. 물까치(Azure-winged Magpie)
〔크기〕 몸길이 34cm~39cm 〔먹이〕 잡식성(곤충, 과일 씨앗 등) 〔사는 곳〕 한국/일본/중국/동부 시베리아
물까치는 까마귀 과(科) 물까치 속(屬)의 조류인데 머리가 검은 것을 빼고 온몸이 연보라색이나 하늘색 계열이고 몸의 모양은 까치와 거의 비슷하다.
이름은 물까치지만 나무 위에 접시 모양의 둥지를 짓고, 사람이 근처를 지나가면 시끄럽게 울어대며 머리 위를 스치고 지나가는 등 상당히 공격적이다.
물까치는 30개체 이상이 집단생활을 하는 것이 발견되기도 하는데 이들은 학습능력이 타 종에 비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새끼를 키울 때 집단에서 단체로 먹이를 물어 나르며 공동사육을 하기도 한단다.
41. 물수리(Osprey)
〔크기〕 몸길이 51cm~58cm 〔먹이〕 육식성(주로 물고기) 〔사는 곳〕 유라시아/아프리카/북아메리카/시베리아
물수리는 수리 목(目) 물수리 과(科)로 날개 길이가 최대 1.7m 정도라고 하니 상당히 큰 맹금류이다.
부리(주둥이)가 길고 갈고리 모양이며 발가락도 크고 발톱도 날카로운데 발에 비늘 같은 돌기가 있어 물고기를 잡을 때 한 번 잡으면 절대로 미끄러져 빠뜨리는 일이 없다고 한다.
물수리의 먹이는 잉어, 송어, 연어, 누치, 가물치, 붕어, 가자미 등 중대형 물고기를 먹지만, 바다뱀이나 장어, 오징어 등도 잡아먹는데 이들도 물속으로 뛰어들어 먹이를 낚아채 물 밖으로 나온다.
이들은 주로 섬에 서식하며, 나무 위에 둥지를 틀고 새끼를 키운다.
42. 가마우지(Cormorant<鸕鶿/더펄새>)
〔크기〕 몸길이 80~92cm 〔무게〕 20kg 〔먹이〕 물고기 〔사는 곳〕 아시아 해안(바닷새)
가마우지는 전 세계에 32종이 분포하는데 대표 종으로 민물가마우지, 바다가마우지, 쇠가마우지가 있다.
대부분 섬이나 해안에 서식하나 큰 강이나 호수에서도 볼 수 있는데 큰 종류는 몸길이가 90cm 이상이나 되며 둥지는 나뭇가지와 해조류를 이용하여 절벽의 바위 턱에 만든다.
가마우지는 물 위에서 헤엄을 치며 물고기를 찾는데, 물고기를 발견하면 물속으로 잠수하여 물갈퀴가 달린 발로 힘차게 헤엄을 쳐 물고기를 잡는다.
이들은 물속에서 자유자재로 헤엄칠 수 있고 숨을 참고 상당히 긴 시간을 견딜 수도 있다.
잡은 물고기는 물 위로 가지고 올라와서 삼키는데 목구멍이 유연해서 커다란 물고기도 여유 있게 삼킬 수 있다.
내가 중국을 여행하면서 보았는데 양쯔강에서 나룻배에 길들인 가마우지를 5~6마리 태우고 가다가 고기가 보이면 가마우지들이 일제히 물속으로 뛰어드는데 고기를 물고 나오지만, 가마우지 목 아래쪽을 끈으로 묶어놓아 숨만 쉴 수 있지 고기를 삼키지 못한다.
주인은 재빨리 다리에 묶어놓았던 끈을 잡아당겨 물고기를 입에서 빼고는 다시 강에 풀어놓고.... 잠시 동안 엄청나게 많은 잉어를 잡는 것을 보았던 기억이 있다. 집에 오면 목에 감아 놓았던 끈을 풀고 작은 물고기를 먹인다고 한다.
내가 교장 초임지로 백령도(白翎島)에 근무할 때도 두무진(頭武津) 장군바위 부근을 가면 바위는 온통 바다가마우지로 새까맣게 덮여있어 신기하던 기억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