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란 내 자동차 인구의 증가에 따라 운전 중 사용 가능한 핸즈프리 제품 수요 증가 추세 -
- 지난 3년간 이란 스피커 수입 규모 하락 중인 중국·UAE·오만과 달리 한국은 지난 해에 비해 67.8% 증가 -
[안 내 말 씀] 미국의 대이란 제재 예외인정기간이 5월 2일 13시(미국 시각 5월 1일 24시) 부로 종료됐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은행 및 기업은행의 원화결제시스템 운영이 중단돼 한국과 이란 간 원화결제계좌를 이용한 수출입 교역이 불가함을 알려드립니다.(5월 3일자 정부 공고문 게재 내용) 따라서, 해당 보고서는 비록 현시점 이란 진출이 불가능한 상황이나 평소 이란 시장에 관심이 있으신 기업들의 현지 시장 동향 업데이트 수요를 위해 작성됐음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 시장 개요 및 동향
ㅇ 스마트폰이 필수품이 된 요즘, 헤드셋 등 핸즈프리 장치와 같은 다양한 편의성 액세서리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생산성 및 효율성 증대가 중요한 시대가 됨.
- 현지 주요 일간지 ISNA는 현재 이란 내 가장 많이 사용되는 택시 앱 '스냅(Snapp)' 사용자는 올해 5월 기준 2400만 명으로 그중 150만 명이 택시 운전자이며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라고 보도함.
- 이란은 국내 교통법에 따라 운전 중 휴대폰 사용을 금지하고 있으며, 실제 운전자 중 네비게이션을 별도로 부착해 사용하는 경우가 적고 대부분 핸즈프리 제품을 사용함.
ㅇ 제스처 인식 및 제어, 능동 헤드 트레킹, 생체 모니터링, 3D 서라운드 사운드 전달 등 신기술 통합의 시대를 목격하고 있는 현재 이란 헤드셋 제품은 아래와 같이 분류 가능
- 종류: On-ear, Over-ear, 이어버드, 인이어 헤드폰 등
- 응용 프로그램: 스포츠, 음악,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등
□ 수입 규모
ㅇ 2018년 이란 스피커 전체 수입 통계는 약 1800만 달러이며, 이 중 한국에서 약 144만 달러 규모의 수입액을 기록
- 2018년 중국이 약 1100만 달러의 수입량으로 1위를 차지했고 아랍에미리트와 오만이 각각 2, 3위를 차지함.
- 중국, 아랍에미리트, 오만의 시장 점유율은 전년대비 감소했으나 한국의 시장 점유율은 대폭 증가
이란 스피커 수입액 동향(HS code: 851829)
국가명 | 미국 달러(USD) | 점유율(%) | 증감률(%) |
2016 | 2017 | 2018 | 2016 | 2017 | 2018 | 2018/2017 |
전체 | 17,970,583 | 25,048,427 | 18,116,357 | 100.00 | 100.00 | 100.00 | - 27.67 |
중국 | 6,890,398 | 14,645,733 | 11,181,183 | 38.34 | 58.47 | 61.72 | - 23.66 |
UAE | 5,042,984 | 5,760,867 | 3,342,139 | 28.06 | 23.00 | 18.45 | - 41.99 |
오만 | 2,871,804 | 2,627,278 | 1,682,436 | 15.98 | 10.49 | 9.29 | - 35.96 |
한국 | 2,823,553 | 858,002 | 1,439,733 | 15.71 | 3.43 | 7.95 | 67.80 |
대만 | 66,560 | 50,636 | 141,057 | 0.37 | 0.20 | 0.78 | 178.57 |
인도네시아 | 71,500 | 96,440 | 72,581 | 0.40 | 0.39 | 0.40 | - 24.74 |
홍콩 | 2,090 | 900 | 54,443 | 0.01 | 0.00 | 0.30 | 5949.22 |
터키 | 26,079 | 26,505 | 45,142 | 0.15 | 0.11 | 0.25 | 70.32 |
러시아 | 33,993 | 40,459 | 34,207 | 0.19 | 0.16 | 0.19 | - 15.45 |
이탈리아 | 6,738 | 12,147 | 29,481 | 0.04 | 0.05 | 0.16 | 142.70 |
자료: Global Trade Atlas
국가별 이란 내 수입시장 점유율(2016~2018)
자료: Global Trade Atlas
□ 현지 주요 헤드폰 브랜드 목록
국가명
| 브랜드명
| 모델명 및 이미지
| 비고
|
중국
| Jabra
| - Jabra Style Bluetooth Hands-free - Jabra WAVE Bluetooth Hands-free - HOCO E7 Bluetooth Hands-free
| 헤드폰 관련 유명 브랜드 중 하나로 고품질 제품 생산을 통해 이란 내 광범위한 사용자 보유
|
중국
| Hoco
| - Hoco E10 Bluetooth Hands-free
- Jabra Steel Bluetooth Hands-free
- HOCO E13 Bluetooth Hands-free
- Hoco E1 Bluetooth Hands-free | 사용자의 귀에 적합한 사이즈로 디자인 되어 현지인들이 많이 찾는 헤드폰 생산 브랜드
|
중국
| Remax
| - Remax RB-T3 Bluetooth Hands-free
| 가격 대비 우수한 품질의 헤드폰을 생산해 이란 시장 내 좋은 점유율을 보유 중인 핸즈프리 브랜드
|
중국
| TSCO
| - TSCO TH 5325 Bluetooth Hands-free
| 높은 음성 전송 기술을 이용하는 유명 핸즈프리 브랜드
|
중국
| Havit
| - Havit H961BT Bluetooth Hands-free
| 기술 애호가들에게 유명한 브랜드로 적절한 가격과 품질이 제품의 성공요인
|
한국
| AWEI
| - AWEI Bluetooth Headset A830BL
| 이란 소비자에게 합리적인 수준의 가격과 품질을 제공해 선호도가 높은 브랜드
|
자료: www.plaza.ir
□ 유통 구조
ㅇ 이란 현지 수입업체 인터뷰에 따르면, 무선 헤드셋 제품에 대한 현지 유통 구조는 아래와 같음.
자료: KOTRA 테헤란 무역관
□ 가격
ㅇ 헤드셋 제품의 가격은 품질, 모델, 종류에 따라 가격차이가 존재함.
- 이란의 온라인 매장 D사에 따르면 저품질의 경우 USD 4~10에서 고품질의 경우 USD 15~80 정도로 측정되나 이에 벗어난 가격의 제품도 있음.(시장환율 143,000리얄 기준)
□ 수입 정책 및 관세율
ㅇ 국가의 수입 정책 규정에 의하면, 해당 제품 수입 시 아래의 정부 산하 기관 승인을 받아야 함.
- 이란 산업통상자원부 허가(www.mimt.gov.ir)
- 이란 표준연구소(www.isiri.org)
- 이란 Code Organization 내 수입업체 등록(www.irancode.ir)
- 이란 통신관리국(www.cra.ir): 무선제품만 해당되며, 계약 하에 있는 이란 업체는 무선 서비스 등록 라이선스 소지 필수
ㅇ 최근 이란 관세청에 의해 발표된 수출입 규정에 따르면 수입세액과 부가가치세는 아래와 같으며 해당 분야는 국경무역할인(border trade discount)이나 관세사용자의 선호도(tariff user preferences)가 없음.
HS 코드 | 부가가치세(VAT) | 수입 관세 | 총 수입세 |
8518.29 | 9% | 10% | 19%(U) |
자료: 이란 관세청
□ 이란 현지 수입업체 인터뷰
ㅇ A사
- 해당 사 대표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이란 내 헤드셋 소비자는 크게 세 분류로 구분 가능하며 이 중 첫 번째와 세 번째 소비자 층이 이란 내 대다수를 이룸.
- 첫 번째, 가격에 상관없이 유명 브랜드를 선호하는 층
- 두 번쨰, 저렴한 가격에 좋은 브랜드를 원해 모조품을 구매하는 층
- 세 번째, 저렴한 가격의 제품만을 선호하는 층
- 해당 사는 이란 내 비즈니스를 원하는 한국 기업과 협업을 희망함.
ㅇ R사
- 해당 사는 고급 브랜드를 수입하고 유통업체로부터 중국 브랜드를 공급하고 있는 자회사
- 이란 내 핸즈프리 시장은 제품의 소비재적 특성 및 젊은 층의 수요 증가로 인해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추세라고 언급함.
□ 시사점
ㅇ 이란 내 자동차 운전 인구 수가 증가함에 따라 운전 중 모바일 사용을 위해 핸즈프리 헤드셋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가 늘면서 이에 대한 수요 또한 점점 증가하는 추세
ㅇ 이란 상황을 고려해 이란 기업들은 외국제품 수입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한국 기업도 이란과의 교역조건에 대해 이해하고 추후 거래를 위해 현지 시장에 대한 정보를 꾸준히 조사할 필요가 있음.
자료: 현지 주요 일간지 ISNA, Global Trade Atlas, 이란 관세청, 현지 수입업체 인터뷰 및 KOTRA 테헤란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