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누구인가?
‘나는 누구인가?’라고 물으면, 오직 침묵만 존재한다. 그때 기적이 일어난다. 그대는 질문을 꺼내지도 못하게 된다. 그 어떤 답변 자체가 어리석은 것이 되어버린다. 그러면 마침내 질문도 어리석은 것이 되고 만다. 우선 답변이 사라지고, 그 다음에 질문도 사라진다. 그것들은 오직 함께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것들은 동전의 양면과 같다. 하나가 사라지면, 다른 것도 갖고 있을 수 없다. 먼저 답변들이 사라지고, 그 다음에 질문이 사라진다. 그리고 질문과 답변이 사라지면, 그대는 그것을 모두 초월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그대는 알게 되었지만, 말할 수 없다. 그대는 알고 있지만, 그것을 정확히 말로 표현할 수 없다. 자신이 누구인지를 자기 내면 깊은 곳으로부터 알고 있지만, 그것을 밖으로 표출할 수 없다. 그것은 삶의 지식이며, 경전에 나오거나 누구에게서 빌려온 것이거나 타인으로부터 온 것이 아니다. 그것은 그대 내면에서 저절로 일어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내면의 일어남을 통해서 그대는 붓다가 된다. 그때 그대는 애초부터 자신이 붓다였다는 점을 알게 되면서 웃기 시작한다. 그대는 그렇게나 깊게 들여다본 적이 없다. 그대는 계속해서 자기 내면의 바깥쪽을 맴돌았고, 자기 집에 한 번도 가본 적이 없다.
철학자인 아더 쇼펜하우어가 인적이 없는 길을 걸어가고 있었다. 생각에 잠겨 있던 그는 다가오던 행인과 우연히 부딪혔다. 화가 난 그 행인이 쇼펜하우어에게 소리쳐 말했다.
“이보시오! 당신은 자신이 누구라고 생각하는 거요?”
여전히 생각에 잠겨있던 쇼펜하우어가 말했다.
“나는 누구인가? 그걸 알면 얼마나 좋을까.”
아무도 모른다. 이것을 아는 것-내가 누구인지 나는 모른다-이 바로 구도의 여정의 시작이다.
오쇼의 <기적의 차크라> 중에서
첫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