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일장기단 국가대표 축구선수 이동국’으로 인해 ‘논란’에 휩싸였던영화 ‘2009 로스트 메모리즈(감독 이시명)’.
영화를 보면 이런 논란이 의도적이든 아니든 결국 상업적 ‘마케팅’에활용했다는 사실을 알게 될 것이다.
영화는 가상역사에서 출발했지만, 그 착지점은 분명 철저한 오락이다.
서울 광화문 네거리에 이순신 장군상 대신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의 동상이 서 있는 2009년.
100년 전 안중근 의사의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암살사건이 실패로 끝나면서 역사는 바뀌기 시작해, 원폭이 베를린에 투하되고 UN 상임이사국인일본은 여전히 한국을 지배하고 있다.
일본연방수사국의 수사요원 사카모토 마사유키(장동건)은 조선계지만 조선인 테러단인 ‘후레이센진(不逞鮮人)’을 때려 잡을 때는 일본인 경찰보다더 비정한 완벽한 일본 수사관이다.
후레이센진을 향했던 사카모토의 총구가 어떻게 일본인을 향해 돌아서게될까.
전시장을 습격한 후레이센진을 몰살한 사카모토는 수사를 자원, 이 사건이 ‘이노우에재단’과 연관이 있음을 알게 된다.
‘일본이 한국을 계속 지배한다’는 ‘현재의 사실’이 고대 유물을 통해100년 전으로 돌아간 이노우에의 안중근 저격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게 밝혀지고, 사카모토는 이노우에를 막기 위해 시간의 문을 통과한다.
가상 역사가 액션을 거쳐 ‘시간을 거스르는’ 판타지로 변하면서 ‘2009 로스트…’는 상업영화가 보여줄 수 있는 많은 가능성에 도전한다.
‘기이한 스토리에 관객을 얼마나 영화에 몰입시키느냐’에 감독은 고민이 많았던 것 같다.
해법으로 등장한것이 아주 직접적이고 다양한 감정 주입이다. 우선 사카모토 마사유키와 사이고 쇼지로(나카무라 토오루)의 극단적 대립.
‘절친했던 친구의 목숨 건 대결’이라는 극적 변환을 강조하기 위해 사카모토 마사유키가 총맞아 죽은 어린 아이를 끌어 안고 울부짖는 순간과가족들과 마지막으로 축제를 즐기는 사이고 쇼지로의 행복하고도 비장한장면을 교차 편집을 길게 반복한다.
홍콩 오우삼 감독을 좋아한다는 이시명 감독은 레퀴엠풍의 장엄한 음악으로 끊임없이 감정선을 공격한다.
‘영화적 상황’이라는 특수성을 넘어선 극단적 감정주입이 못내 거슬린다.
긴박한 상황에서 화면은 툭하면 슬로모션으로 바뀌고, 주인공은 불사조처럼 총알이 빗발치는 가운데 한가롭게 분노하고, 울부짖고, 오열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는 강제규 감독의 ‘쉬리’ 이후 역사적 쟁점을 상업적 공식(장르영화 공식을 탈피한 ‘공동경비구역 JSA’는 논외)에따라 잘 요리했다는 평을 들을 만하다.
가정을 뒤집는 신선한 발상과 비록 영상적으로 새로울 것은 없어도 충분한액션과 물량지원(총제작비 80억원)으로 여러 세대를 아우를 만한 흡인력을갖고 있다.
아귀를 맞추기가 쉽지 않은 시간의 흐름과 약한 캐스팅에도 불구하고 독특한 시나리오와 장르의 공식에 충실한 화법이 2시간 13분의 오락거리로충분해 보인다. 2월1일 개봉. 12세 관람가.
/박은주기자 jupe@hk.co.kr
한국과 일본, 국적이 다른 두 배우의 만남은 기묘한 분위기를 자아냈다.
영화 속의 장동건은 긴장하고 있었지만, 영화 바깥에서 장동건은 편안하게자신의 생각을 차분히 털어놓았다.
반면 조용하지 편안한 모습의 극중 인물 사이고 쇼지로처럼 나카무라 토오루는 지나치게 점잖아 보일 정도로 말을 아꼈다.
아까전에 제말을 안믿으시는분이 계시던데,,이제됏죠 ㅋㅋㅋㅋ
첫댓글 이거 영화 디게 재미없던데....내가 가장자증내 하는 단어 "음모다" 음모는 무슨 음모,.
영화내용 자체가 그렇게 가정하에 그래서 한거 아닌지...
히데오 센빠이 메가네 카이탄 데쓰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