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925 02편 영광 불갑사 꽃무릇축제

함평의 용천사를 나와서 영광의 불갑사를 들렀다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babtol2000&logNo=90124274199 에서 가져온 사진입니다)
함평의 용천사와 영광의 불갑사는 모악산(347m)을 사이로 두고 이쪽 저쪽에 위치하였다
작은 산이지만 제법 가파른 길을 등산 하여야 한다
1시간 30분의 등산을 하면서 양쪽 절의 꽃무릇을 즐기는 방법도 있다
(금산사가 위치한 김제의 모악산과는 다른 산이다)

영광의 별미 모싯잎 송편

쫄깃 쫄깃 한 송편이 별미다

함평 용천사의 꽃무릇 축제는 지난주인 9/18-19일 치러졌었고
영광 불갑사의 꽃무릇 축제는 9/23-25일 까지다.
꽃무릇은 산 이켠 저켠이라 비슷하게 피고 지나
축제를 동시에 여는 것보다는 분산하여 열려는 의도인 것 같다

길가의 꽃무릇과 황금으로 변해가는 논의 색감이 총 천연색이다

축제기간이라 불갑사 1.5Km 전방에서 전면통제를 하여 걸어서 올라간다
우리가 올라가는 오후 1시 30분쯤 이미 불갑사를 들러고 내려가는 셔틀버스를 타려고
줄선 사람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서있다

모악산 불갑사 법계
주위로는 꽃무릇 축제로 인한 텐트속의 노점들이 길게 도열했다

불갑사 일주문

불갑사 역사

찻길을 벗어나 왼쪽편에 난 길로 들어서면 꽃무릇 단지가 조성되어있다
3년전 들렀을때는 9월 초라 좀 이른 때였고 차로 절입구까지 들어가면서 이런 단지가 조성되어 있는 줄
몰랐다


용천사에서 꽃무릇을 다 보았다라고 생각하였더니 오산이었다
불갑사의 꽃무릇은 숲속에 잘 가꾸어져 대단지를 이루어 또 다른 장관을 보여준다

숲과 조화를 이룬 꽃무릇

산책로를 따라 가며 양쪽으로 조성된 숲 속의 꽃무릇을 즐긴다
사람들로 바글 바글한데 ..우연히 잠시 빈틈을 타 찍어 보았다


안사람은 빽빽하게 모여있는 꽃무릇보다 좀 듬성 듬성 나있는 꽃무릇이 더 이쁘다고 한다



꽃대만 쑥 올라와 화려하게 피어난 꽃무릇

실타래처럼 고불고불한 꽃잎은 미녀의 머리칼을 닮았고,
긴 꽃술은 한껏 추켜올린 미녀의 속눈썹을 닮았다.

숲길에 난 꽃무릇 단지를 조금 가다가 사진찍고 조금 가다가 사진찍고 하면서
시간가는 줄을 모르고 즐기면서 걷는다






더 넓은 꽃무릇 단지는 별천지 그대로다

한참을 보아도 좋고 황홀한 느낌마저 든다








불갑사 부도탑
차를 세운곳부터 약 1.5Km 거리지만 꽃무릇 속을 이리저리 사진찍으면서 천천히 걸어 올라오니
1시간이 걸렸다


불갑사 금강문
대한불교조계종 제18교구 본사인 백양사의 말사이다.
1909년에 쓴 〈불갑사창설유서 佛甲寺創設由緖〉에 의하면 백제 384년(침류왕 1)에
인도승 마라난타(摩羅難陀)가 남중국 동진을 거쳐 백제의 법성포로 와서 백제에 불교를 전하면서
불갑사를 창건했다고 전해지며, 805년(애장왕 5)에 중창했으며
그뒤에도 여러 차례의 중창이 계속되었다고 한다.
불갑사는 백제에 불교가 처음 전해지면서 창건되었다는 의미에서 부처님 불자와 첫째 갑자를 써서
불갑사(佛甲寺)로 칭하게 되었다

불갑사는 고려시대 말 에 각진국사(覺眞國師)가 머물면서부터 크게 번창했는데 당시에 머물던 승려는
수백 명에 이르렀고, 사전(寺田)도 10리에 달했다고 한다.

금강문
정유재란 때 소실된 것을 1680년에 중건한 뒤 여러 차례의 중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 당우로는 대웅전·팔상전·칠성각·일광당·명부전·요사채 등이 있다. 이밖에 각진국사비(1359)와
여러 점의 부도가 있고 전국적으로 손꼽히는 거상인 사천왕상이 있다.

금강문을 통해 보이는 천왕문

불갑사 사천왕상은 수리중이어서 볼 수가 없었다


불갑사 마라난타 불교대학


종루

불갑사 대웅전 보물 제 830호

불갑사 대웅전의 용마루 보주(스투파)
스투파는 석가모니 부처님이 열반하신후 부처님의 사리를 봉안하기 위해 조성한 일종의 사리탑이다
불갑사 대웅전의 용마루 장식물에는 인도에서 쓰이는 보주 형식의 스투파 양식이 엿보인다

지붕 용마루 중앙에 이와같은 보주형을 얹은 건축양식은 네팔,동남불교권,남중국등에 나타나며
우리나라에서는 불갑사 대웅전이 유일하다


대부분의 불상들이 건물 정면을 보고 앉아 계시나
불갑사 대웅전의 부처님은 대웅전의 왼쪽에 배향되어 옆문을 보고 계신다
즉 건물의 방향과 달리 동향으로 모셔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온가족이 앉아 부처님께 기도를 올리고 있다

불갑사 만세루


대웅전 오른켠의 전각

대웅전 오른쪽에 있는 불갑사 웃는 얼굴의 굴뚝

대웅전 왼쪽에 위치한 전각 올라가는 길 중간에는 각진국사 비가 있다

고려말 불갑사를 중흥시킨 각진국사 비
비를 이고있는 거북이의 모습이 투박하면서 서민적이다

대웅전위에 위치한 칠성각과 팔상전

팔상전

칠성각

대웅전 오른켠의 전각과 우물

웃는 얼굴의 굴뚝을 한 번 더 보고선..

명부전

불갑사 우물

대웅전쪽에서 보는 만세루

절마당 전각의 석축사이에 피어난 꽃무릇
3년전 불갑사를 처음 방문했을때 다음에 꼭 꽃무릇이 흐드러진 때에 다시 와야지 하고
나를 매료 시켰던 그 자태 그대로다


대웅전 오른켠의 종각


불갑사 무각(無覺)선원

무각(無覺)은 '깨달음이 없다'는 뜻이 아니라 '대오大悟하여 더 이상 깨달을 것이 없다'는 뜻이다
마찬가지로 무학대사의 무학(無學)은 더 이상 배울것이 없는 경지를 뜻한다

불갑사 전경

불갑사를 나오며

꽃무릇 밭속에서



우리가 아까 올라왔던 산책로로 또 다른 이들이 불갑사로 오르고 있다
3편 영광 법성포 백제 불교 최초도래지 편으로 이어집니다
첫댓글 덴짱님 내공도 대단합니다. 꼼꼼하게 정리하고 평가하고 사진까지 금상첨화입니다.
항상 잘보아주시고 멋진 답글까지..감사드리옵니다. ^-^
정말 별천지에서 황홀한 시간을 보내셨네요. 가보고 싶은 욕심이 마구 생깁니다. ㅎ ㅎ 덴짱님~ 좋은 여행지 추천 감사드립니다. *^^*
함평 용천사보단 영광 불갑사 꽃무릇이 더 장관입니다.
불갑사 갔다 온지도 벌써 몇 년되었는데 덴짱님 작년 사진 감상하고 있자니
올 가을엔 나들이 함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용천사는 자생이라는 느낌이 강하고 불갑사는 집단 서식시를 조성하였다는 느낌이 있었습니다.
용천사에서 꽃무릇을 원없이 보았다라고 생각하였다가 불갑사에서 놀랐습니다. ^^
용천사에서 그렇게 사진을 찍어대고도 불갑사에서 입구를 걸으며 진행하는데 1시간이 더 넘게 결렸으니깐요. ^^
올해는 선운사를 가볼까 합니다. 봄에만 두어번 가봐서 가을 꽃무릇 필 때 광경이 굼금해서요. 감사합니다
와우~~불갑사 꽃무릇 장관입니다.
꽃무릇들의 잔치 잘 봤습니다~
우리나라의 곳곳이 참 아름답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