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라지 타령 속에 숨어있는 관능적 해학
김문억
도라지 도라지 도라지
심심 산골에 백도라지
무심하게 들어오던 우리 가락 도라지 타령,
그냥 전래된 민요로만 들어왔고 그 가락에 맞춰 춤사위까지 무대에 올라오는 것을 즐겼던 도라지 타령이 요즈음은 웬지 우리 귀에 잘 들려 오지 않고 있다. 그만큼 무대에서 멀어진 것인가 소리 꾼들의 입에서 멀어진 것인가
한 번 쯤 그 가사가 갖고 있는 은유적 깊은 사유 속으로 빠져 들어가 볼작시면
그것이 남자의 거시기를 두고 우리 민족이 오래도록 노래로 즐겼다고 해서 경망스럽다거나 부끄러울 것 또한 없거니와 오히려 현대인으로는 상상조차 할 수 없는 기 찬 해학으로 아주 멋들어진 가사라고 하지 않을 수 없는 것.
깊고 깊은 골짜기 심심산골 백도라지라,
신성하고 거룩한 그 사타구니 골짜기에 깊이깊이 뿌리내린 백도라지 한 뿌리. 아~~~ 그것은 영원한 생명의 씨앗이면서 원천이었던 것.
으짓잖은 시인 행세 하기가 부끄러울 만치 절묘한 그 묘사에 하하!! 그래그래 고개를 저절로 끄덕끄덕 하면서 다음 구절을 잇대어 볼작시면.
한 두 뿌리만 캐어도
대바구니로 스리살살 다 넘친다.
헤헤 !! 남자의 거시기를 캐 담는 대바구니가 여자의 거시기라면 그 또한 한 두 뿌리만으로도 스리살살 넘친다고 했으니 가히 우리 조상님들 풍자가 기절초풍 할만큼 나의 애를 뒤틀리게 하나니
도라지 한 뿌리로 인한 그 스리살살 이야말로 얼마나 자분자분한 性愛의 느낌이냐
대바구니와 백도라지의 관계 설정에서는 충분히 한 두 뿌리만으로도 얼마든지 차고 넘치는 것.
쾌감과 만족과 부끄럼이 어우러지는 꽃의 신음이렸다.
그러면 다시 2 절로 사분사분 넘어가 볼작시면
도라지 도라지 도라지
심심 산골에 백도라지
하도 날 데가 없어서
쌍바위 틈에 가 났느냐
히야!!! 佳句로다. 평생토록 지고 다녀야 할 그 쌍 바위 틈에 난 백도라지의 자존심이 아니겠느냐
함부로 캐 질 수 없는 함부로 뽑힐 수도 없는 뿌리 깊은 자존심, 쌍바위 틈에 날 수 밖에 없는 남성의 무궁한 심벌.
'에헴!!'
'허허 에헴 커험커험커험 끄으으으으
뭔 소리냐고? 부끄자버서 헛 기침 하는 소리라요
그러고 나서 후렴으로 마친다. 도라지 타령은
에헤야 데헤야 에헤야아
에야라 난다 지화자 좋다
니가 내 간장 스리살살 다 녹인다.
이 쯤 되고 보면 지화자 좋지 않고 어찌 배겨낼 수 있겠는가
니가 내 간장 스리살살 다 녹일 수 밖에 어쩔 도리가 없다. 무슨 표현이 더 필요하겠는가
도라지 한 두 뿌리에 어찌 그리 니가 내 간장까지 스리살살 다 녹일 만큼 만족하고 흡족하고 만취할 수 있는건가 이는 분명 도라지만을 노래한 것이 아닐 것이란 짐작을 가능케 한다. 엄청난 형이상학으로 내 심상은 만개한 도라지꽃밭 벌 나비가 되어 나풀거리며 날아다니고 있다.
아무래도 그냥 예사로운 도라지 타령이 아닐 것 같다. 참말로 이런 음탕한? 아니다 음탕하기는 너무도 아름다운 가사다. 노래가 아니다. 민요가 아니다. 이것은 전 국민이 애송한 민족시라고 하겠다.
두툼한 겨울 옷을 훌훌 벗어 던지고 분홍치마 노랑저고리에 봄나물 캐는 처자들이 누가 들을세라 입 속으로 흥얼거리던 가락,
앞 산으로 삭정이 따러 가던 나무 꾼 들이 지게 목발을 두드리면서 부르던 구성진 가락이었다.
안 보는 듯 보고 있으며 안 듣는 듯 듣고 있으며 듣고 보이는 것 보다는 안 보이고 안 들리는 것에서 더 많은 것을 보고 듣던 멋을 가진 우리 조상들
아닌 듯 하면서 그럴싸한 지혜를 엉뚱하게 드러내던 가락 하나가 도라지 타령이다
이렇게 뿌리깊은 가락으로 우리 민족의 피 속에 용해 된 도라지 타령의 맥을 짚고 전통 민족시가인 시조 한 수도 자리 잡았으리라.
혼곤한 계절에 봄날은 가고 있다. 꽃만 말고 내 마음도 함께 따다 달라는 유혹 당하고 싶고 바람나고 싶은 이 환장하게 스멀스멀한 춘삼월에 어느 독자가 내 인터넷 카페에 도라지 꽃 한 송이를 올렸는고
영자야
너 그렇다고 대낮에 도라지 캐러 나가면 절대 안 되여 야, 그 도라지 잘못 캐 먹으면 영영 돌아오지 못하는 도라지 돼 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