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방은 解表劑로 분류되며 표한을 겸하는 寒痰의 해수 . 호흡곤난에 대한 대표처방이다. 靑龍은 중국고대의 四神의 하나이며, 동방을 지킨다고 한다. 靑龍湯의 청은 麻黃의 색이 푸른 것을 가지고 이름지어진 것이다. 본방은 溫肺化飮하는 해표제이므로 일명 溫肺化飮湯이라고도 한다. 본방은 평소 수독증체질인 사람이 한사침습으로 寒肺寒痰을 발생하여 涎沫을 토하는 것을 溫肺化痰하는 처방이다. 즉 한사침습으로 표한증(오한발열, 두통, 신체통, 脈浮)과 裏寒痰症(백색 多痰, 재채기, 喘鳴, 咳嗽)을 목표로 쓰는 처방이다. 또 표증은 없고 寒痰만 있을 때에도 溫肺化痰한다. 散寒解表의 桂枝, 宣肺平喘의 麻黃, 溫肺散寒의 乾姜 . 細辛, 去痰止咳의 半夏, 斂肺의 五味子, 止痙의 白芍과 甘草로 구성되어 있다. 본방을 사용해야 할 사람은 체질적으로 좀 약하고, 위장도 약한 편이다. 위장이 약하다는 것은 위가 냉하기 때문이고, 또 위내에 水飮이 있다는 뜻이다. 이것을 위내정수라고 한다. 이러한 사람이 풍한의 침입을 받으면 신체의 표면에서는 감기모양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것을 표증이라고 한다. 오한 . 발열 . 두통 . 신체통 등의 증상은 모두표증에서 볼 수 있는 증상이다. 또 표증이 있을 때에는 맥이 부하게 나타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런데 본방의 증은, 이 外邪가 흉부나 심하부에까지 침입하여 충격을 가하는 상태인 것이다. 따라서 위내에 있는 水飮은 이 충격에 의하여 상부로 솟아 오르게 된다. 또 폐나 기관지에 있는 水飮도 그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水飮上逆이 라고 한다. 水飮은 냉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寒飮이라고도 한다. 寒飮이 기와 더불러 상충하거나, 폐 . 기관지 등에 울체하면 기침이 나오고, 호흡이 곤란하며, 천명이 일어난다. 또 재채기 . 콧물 . 눈물이 나오고, 기침을 할 때에 묽은 가래가 나오게 된다. 구역질이 나오기도 하고, 솟아오른 水飮이 비강의 점막에 울체하여 일종의 부종증상을 일으키면 코가 막혀서 숨을 쉬기가 불편해진다. 앞서도 말한 바와 같이 본방증은 심하에 水飮이 있기 때문에 위내정수를 인정할 수 있으며, 또 상복부에 약간의 저항감을 느끼게 된다. 水飮이 정체하여 내려가지 않으므로 요량이 감소하고, 약간의 부종이 생기기도 한다. 기침을 많이 하면 얼굴에 부종이 생기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도 水飮의 상충으로 인한 것이다. 그러나 본방은 몸이 너무 약하여 빈혈이 심하고, 식욕이 없고, 손발이 얼음과 같이 냉한 사람에게는 쓰지 말아야 한다. 한마디로 본방이 적응하는 병태는 心下와 흉중에 수독과 寒이 있는 데다 기상충이 일어나기도 하고 表에 열이 있어 그 수독이 상부 또는 겉으로 넘쳐 나와 해수 . 객담과 천식 . 부종등을 일으킨 것이다. 즉 한냉자극이나 virus 등 항원침입으로 肺(皮毛)의 수분순환 . 배설기능이 방해되어 수독이 더욱 쌓여 다량의 담이 된다. 이런 수독은 갑자기 전신부종 . 요량감소 등 風水證으로 돌변하기도 한다. "傷寒論"에서는 [傷寒表不解, 心下有水氣, 乾嘔發熱而咳, 或渴, 或利, 或얼, 或小便不利, 小服滿, 或喘者, 小靑龍湯主之(傷寒, 表解하지 않고 心下에 水氣가 있으며, 乾嘔, 발열하며 咳하고 혹은 渴하며 혹은 利하고, 혹은 목이 메이거나, 혹은 소변불리, 소복만하고 혹은 喘하는 자는 소청룡탕이 이를 치료한다)]고 하였다. 오오스까(大塚敬節)씨는 [이것은 表邪로 인하여 심하의 水가 충동을 받아 乾嘔이하의 증상을 나타낸 것이다. 그래서 표를 산하는 동시에 심하의 水를 처리하는 小靑龍湯으로 이것을 치료하는 것이다…..상한의 표증이 풀리지 않았기 때문에 오한, 두통, 발열, 신체통 등의 증상이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여기서는 평소에 심하의 水가 새로 생긴 표사로 인하여 충동을 받아 일어난 기침이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먼저 乾嘔를 들은 것이다. 발열은 표사로 인한 것이고, 乾嘔는 심하의 수가 변동에 의한 것이다. [혹]이란 글자 이하의 증상은 때로는 나타나기도 하고, 때로는 나타나지 않는 부정의 겸증이다. 혹은 갈하기도 하고, 혹은 하리하기도 하고, 혹은 목이 메이기도 하고, 혹은 소변이 잘 나오지 않고, 하복부가 팽만하기도 하고, 혹은 천하기도 한다. 이러한 증을 겸하여 나타내는 자에게도 小靑龍湯이 주치한다.....]라고 하였다. 방중의 麻黃 . 桂枝 . 細辛은 모세혈관을 확장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하므로 발한 . 해열 . 표한을 제거한다. 또한 수분대사도 도와 이뇨작용을 도모한다. 신온의 麻黃은 芍藥 . 甘草와 같이 기관지평활근의 경련을 완해, 호흡곤란 과 咳嗽를 가라앉힌다. 細辛도 진해거담작용을 가지며 麻黃 . 桂枝 . 細辛은 이뇨에도 작용한다. 신온의 桂枝는 健胃작용으로 소화흡수를 촉진하고 水毒의 上衝을 억제한다. 白芍은 진액을 보충하고 몸의 영양을 자윤하므로 발한으로 인한 체력소모를 보완하고 甘草와 함께 氣道의 경련을 완해한다. 또한 麻黃 . 桂枝에 의한 발한작용이 강해지지 않도록 억제하고 桂枝에 대한 上氣를 막는 효과도 있다. 酸溫의 五味子는 芍藥과 같이 수렴과 영양강장작용으로 발한과다를 억제하는 한편 자윤한다. 특히 酸味로 肺의 수렴작용(진해거담)을 하는데, 乾姜은 수렴이 지나치지 않도록 辛味로 발산(혈액순환촉진)함으로 상호약효를 보강한다. 또 표증에 금기로 되어 있는 수렴제를 쓸 수 있는 조건으로 만든다. 신온의 半夏는 진해작용에 강한 거담작용을 가지며, 細辛 . 乾姜과 함께 胃內停水를 제거한다. 또 辛溫味로 肺寒痰을 제습거담한다. 신열의 乾姜은 혈관운동중추 흥분과 혈관확장으로 전신의 血行을 촉진하고 肺의 冷이나 寒을 배제한다. 또 桂枝 . 甘草와 합하여 溫中逐寒 . 回陽通脈한다. 즉 표한에 의한 발열은 桂枝湯 . 麻黃湯으로 발표하고, 心下有水氣(裏寒水)는 甘草 . 乾姜 . 細辛 . 五味子 . 半夏로 가온제거한다. 그러나 본방의 처방구성 약미는 모두 온열약인 관계로 본방을 먹고 表寒裏水가 다 없어지고 나면, 약으로 인한 身熱이 나는 예가 많다. 甘草는 去痰작용 외에도 제약을 조화시키고 上衝의 氣를 진정시키는 한편 조직의 긴장을 완화한다. 그러므로 본방은 麻黃 . 桂枝의 해표발산과 白芍 . 五味子의 收斂滋補, 細辛 . 乾姜의 溫裏(溫肺)등을 합리적으로 합방한 처방으로 발한해열. 진해거담. 이뇨. 수분대사 정상화. 항 allergy . 혈행촉진등 여러작용을 교묘히 하도록 꾸며진 명방이다. 또 "상한론"과 "금궤요략"의 조문을 살펴보자. [傷寒, 心下에 水氣가 있고, 咳하여 微喘하며 발열 渴하지 않고 탕을 복하고 난 후에 渴하는 자는 寒이 거하고 해하려고 하는 것이다. 본방이 이를 주치한다] "金궤"의 담음편에 [咳逆倚息不得臥 하는 것은 본방이 이것을 주치한다] [婦人, 涎沫(희박한 맑은 담 혹 침)을 토하도록 하는데 醫 도리어 이것을 下하면 心下 곧 비한다. 마땅히 먼저 그 涎沫을 토함을 고칠 것이다. 본방이 이를 주치한다]
☞ 외한내음증(外寒內飮證)으로 "상한으로 표가 풀리지 않고 심하(心下)에 수기(水氣)가 있다."로 개괄된다. ☞ 군약 - 마황, 계지 : 발한해표(發汗解表) |
① 마황탕(마황, 행인, 계지, 감초) ▷ 적응증 : 표한, 표실 ▷ 효능 : 발한, 해열, 진해(喘) ② 마행감석탕(마황, 행인, 감초, 석고) ▷ 적응증 : 폐열(肺熱) (喘, 渴) ▷ 효능 : 해열, 진해(喘) ③ 소청룡탕(마황, 계지, 반하, 건강, 세신, 오미자, 백작약, 감초) ▷ 적응증 : 표한, 폐한(肺寒)(寒痰, 喘咳) 풍수(風水) ④ 대청룡탕(마황, 계지, 감초, 행인, 석고, 생강, 대추) ▷ 적응증 : 표한, 이열(裏熱), 풍수(風水) ⑤ 월비탕(마황, 석고, 생강, 감초) ▷ 적응증 : 풍수(風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