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9월 이후 이어진 강원대 총장 부재상태가 해소된 것은 다행이다. 어제 강원대 제11대 총장에 김헌영(54) 기계융합공학부 교수가 국무회의 등 절차를 거쳐 임용됐다. 지난해 대학구조개혁 평가에서 D등급을 받으면서 극심한 충격과 내홍에 빠져들었고 이에 책임을 지고 신승호 전 총장이 사퇴한 지 9개월 만이다. 그동안 강원대는 지역사회의 따가운 시선과 내부의 불협화음과 갈등으로 많은 진통을 겪어왔다. 이 때문에 그동안 안팎의 변화를 능동적으로 수렴하고 대학의 새로운 목표와 진로를 설정하는데 거의 손을 놓고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난 9개월 총장 선출방법을 놓고 내부갈등을 겪었고 춘천·삼척캠퍼스 통합 이후의 여전한 이질감과 갈등도 갈 길 바쁜 대학의 발목을 잡았다. 새 총장 임용은 그동안 안팎으로부터 제기된 모든 문제를 대승적으로 수렴하고 큰 틀에서 융화시켜나감으로써 대학의 새로운 비전과 진로를 제시하는 계기가 돼야 한다. 이런 점에서 김 신임 총장의 책임과 역할이 어느 때 보다 크고 무겁다. 무엇보다 대학이 학령인구의 감소에 따른 양적조정이 불가피한 실정이고 시대의 변화와 다원화되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해야 하는 일대 전환기적 국면이라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지금은 무엇보다 그동안 총장 부재 상태에 놓였던 대학의 공백을 메우는 것이 급선무다. 지난해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 최하위 등급을 받으면서 구성원의 사기가 땅에 떨어졌고 외부의 시선 또한 곱지 않다. 강원도 거점대학으로서의 위상이 말이 아니다. 설상가상으로 선거과정에서도 적지 않은 분열상이 드러났다. 김 총장이 선거과정의 갈등을 넘어 분열된 구성원의 하나로 통합하고 사기를 진작시키는 새로운 리더십을 보여줘야 한다. 둘째는 안팎의 변화에 부응한 대학의 체질을 개선해야 한다. 대학의 역할과 방향을 재조정하고 새로운 비전을 내놔야 한다.
셋째는 거점 국립대학으로서 위상을 되찾고 걸 맞는 역할을 해야 한다. 대학은 지역 속에서 역할을 찾고 존재의 당위를 찾아야 한다. 강원도의 싱크탱크로서 지역의 구체적 문제를 통해 대학의 역할과 의미가 드러나야 한다. 강원대가 얼마나 지역문제에 천착하고 변화를 통찰하고 새로운 전망을 내놓았는가 하는 점에서 성찰의 여지가 많다. 엄청난 인적·물적자원과 연구역량을 지닌 대학이 강원도가 직면한 여러 한계상황에 새로운 관점과 대안을 내놓지 못한다면 문제다. 김 총장이 난마처럼 얽힌 난제를 슬기롭게 풀고 대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