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작가의 노벨 문학상 수상 소감 전문
폐하와 왕족 여러분, 그리고 신사 숙녀 여러분.
제가 여덟 살이던 어느 날을 기억합니다.
오후 주산 수업을 마치고 나오는 길에 갑작스러운 폭우가 쏟아졌습니다.
그 비는 너무도 거세서, 스물네 명의 아이들이 건물 처마 아래로 몰려들게 되었습니다.
길 건너편에는 비슷한 건물들이 있었고 그 건물의 처마 아래에도 작은 무리가 있었습니다.
그것은 마치 거울을 들여다보는 것과 같았습니다.
쏟아지는 비를 바라보며, 제 팔과 종아리에 스며드는 젖음을 느끼는 순간,
저는 문득 깨달았습니다.
저와 어깨를 맞대고 서 있던 사람들,
그리고 저 건너편에 서 있던 사람들 모두,
각자 자신의 고유한 “나”로 살아가고 있다는 것을요.
저와 마찬가지로 그들 모두가 이 비를 보고 있었습니다.
제 얼굴에 느껴지는 이 젖음을, 그들 또한 느끼고 있었지요.
무수히 많은 1인칭 시점이 존재함을 경험한 이 순간은 경이로움 그 자체였습니다.
지금까지 제가 읽고 쓰는 데 보낸 시간을 돌아보며,
저는 이 경이로움의 순간을 여러 차례 되새겼습니다.
언어라는 실을 따라 다른 이의 마음 깊은 곳으로 들어가는 경험,
다른 내면과의 만남.
저의 가장 중요한 가장 절박한 질문들을
그 실에 맡겨, 다른 이들에게 보내는 경험의 말입니다.
어릴 적부터 저는 일고 싶었습니다.
우리가 태어난 이유,
고통과 사랑이 존재하는 이유,
이러한 질문들은 수천 년 동안 문학이 던져온 질문들이며,
오늘날에도 계속해서 던져지고 있습니다.
우리의 짧은 삶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을까요?
어떤 상황이 닥치더라도 인간으로 남는 것은 얼마나 어려운 일일까요?
가장 어두운 밤에도, 우리 존재의 본질을 묻고,
이 행성에 살고 있는 사람들과
살아있는 존재들의 1인칭 시점을 상상하며,
우리를 서로 연결하는 언어가 있습니다.
이러한 언어를 다루는 문학은 필연적으로 일종의 온기를 지니게 됩니다.
그리고 필연적으로,
문학을 읽고 쓰는 행위는 생명을 파괴하는 모든 행동에 반대하는 길을 걷게 됩니다.
이 상의 의미, 문학을 위한 상의 의미를
여기 함께 서 있는 여러분과 나누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