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31 안드로메다 자리의 은하
NGC 224 0h 40m.0
기초 자료 : M31은 약 4등급 정도로 맨눈으로도 볼 수 있다. 위치도에는 안드로메다자리 베타성(Mirach)에서 시작해서 뮤, 누성을 거쳐서 이 은하를 찾는 방법이 나타나 있다.
M31의 장축은 하늘에서 대충 북동 - 남서 방향이지만 Kreimer의 세 조각 모자이크 사진은 면에 맞도록 돌려진 것이다. 전체의 길이는 2도가 약간 넘지만 큰 천문대에서 슈미트 망원경으로 찍은 사진에서는 M31의 길이가 약 3도 정도이다.
프랑스의 천문학자 Robert Jonckheere는 1952 - 53년 동안 쌍안경으로 주의깊게 관측하여 이 은하의 길이가 5.2도, 너비가 1.1도라고 밝혔다. 그의 2인치 쌍안경은 광학면이 모두 코팅되어 있고, 중앙에 맞추어져 있어 두 눈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그밖에 10분 동안 암적응을 하고 은하 바로 근처에서 오는 빛을 제외한 모든 빛을 차단하는 등 주의를 하였다.
Kreimer가 12.5인치 반사경으로 장시간 노출하여 찍은 사진에는 은하면이 시선 방향에서 겨우 15도밖에 기울어지지 않았지만 M31의 나선팔이 분명히 나타나 있다. 100년 전에는 이런 나선 구조를 광학적으로 직접 관측하지 못했으나, 성간 물질의 어두운 띠를 얼핏 보았다. 1도가 90mm인 사진에서 남쪽(왼쪽 상단)에 보이는 M31의 밝고 작은 핵이 Messier가 따로 분류한 타원은하 M32이다.
안드로메다 은하는 나선팔이 단단히 감긴 중간 크기의 중심핵을 가진 Sb형 은하로 68km/s의 속도로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다. 이 은하는 우리 은하계와 함께 약 20개의 은하로 된 국부 은하군의 하나이다. Califonia의 Pasadena에 있는 Hale 천문대의 Herietta Swope에 의해 거리가 220만 광년으로 최근 판정되었다. M31의 중심부에는 처음 10.5인치 굴절망원경으로 발견된 작고 별과 같은 핵이 12-13등급의 밝기로 빛나고 있다. 120인치 Lick와 200인치 Hale 망원경으로 행한 최근의 분광학 연구에 의하면, 이 핵은 아주 많은 별들이 모여 있고, 1억 6천만 개의 태양에 해당하는 질량이 직경 34광년 이내에 뭉쳐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핵은 약 31만 광년을 주기로 빠르게 회전하고 있다.
이 핵의 16초 남동쪽에 1885년 8월, 6등급의 S And 초신성이 나타났다가 그 다음해에 사라졌다. M31에서 가끔 보이는 신성은 보통 16등급 이하라는 사실로 이 별의 폭발이 얼마나 큰 것이었나를 알 수 있다.
NGC 묘사 : 매우 넓게 퍼져 있는 아주 밝고 멋진, 장엄한 천체이다.
보이는 모습 : 초보자는 자세한 부분까지 볼 수 없어 실망할지도 모르지만, 이 안드로메다 은하는 작은 망원경에서도 인상적이다. 4인치로, 저자 Mallas는 사진에 나타난 M31의 넓은 부분을 볼 수 없었다. 그림에 나타나 있는 희미하게 뻗친 부분을 관측하기 위해서는 망원경 시야에서 은하를 흘러나가게 하면 된다.
나선팔의 밝은 부분은 평평한 다이아몬드형을 이룬다. 저배율로 보면 중심부는 뭉쳐져 있고 별처럼 보인다. 4인치 25배에서는 낱알 모양의 중심부를 볼 수 없지만, 이런 시각적 특징은 Messier 목록에 있는 은하들 중 Mallas에게 가장 인상적인 것이었다.
M32 안드로메다 자리의 은하
NGC 221 0h 40m.0
기초 자료 : M32는 8.7등급이고 M31의 핵에서 24분 정도 남쪽에 위치한다. 이제는 M110으로 알려진 9등급의 NGC 205와 함께 안드로메다의 두 밝은 동반자 중의 하나이다. M32는 실제 길이 2천 광년에 해당하는 약 3분의 시직경을 가진 타원 은하이다.
NGC 묘사 : 매우 밝고 큰, 둥근 멋진 은하로 중심에서 핵으로 가면서 갑자기 밝아진다.
보이는 모습 : 이 은하는 타원은하의 대표적인 예이다. 대부분의 배율에서 계란형으로 잘 보인다. 4인치로 보면 M32는 가장자리까지 밝기가 거의 일정하고, 검은 하늘의 배경 속으로 갑자기 어두워진다. M32 사진 왼쪽 아래의 회색 부분은 M31의 사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이 대성운의 바깥 부분이다.
M33 삼각자리의 은하
NGC 598 1h 31m.1 +30˚
기초 자료 : M33도 우리 은하계와 마젤란 성운, M31이 속해 있는 국부 은하군에 소속되어 있다. M33은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려하게 뻗친, 열려 있는 팔과 조밀한 핵으로 되어 있어 Sc 나선은하로 분류된다. 은하까지의 거리는 약 230만 광년이고 전체 밝기는 안시 등급 5.3등급이다. 하지만 M33은 약 1도 정도의 영역에 퍼져 있어 표면 밝기가 어둡다.
NGC 묘사 : 아주 멋진 은하로 매우 밝고 크고 둥글며 중심에서 핵으로 향하면서 더욱 밝아진다.
보이는 모습 : 저자 John Mallas는 육안으로 본 것이 M33인지, 아니면 많은 어두운 배경 별들 중의 하나인지 확신할 수 없었다. 아마 그것은 두 개의 조합이었을 것이다. 7 X 50 쌍안경으로는 약간 쉽게 볼 수 있지만 4인치 f/15인 굴절망원경으로는 매우 어둡고 보기가 힘들다. 구경비가 낮고, 저배율일수록 훨씬 더 좋다. 4인치로 보면 M33은 주위의 다른 별들과 구별하기 힘들다. 희미한 중심부가, 더욱 희미하고 어두운 부분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처럼 보인다.
Mallas는 때때로 쌍안경이나 작은 단촛점의 망원경으로 M33과 주위의 별들이 3차원적 효과를 보이는 것을 관측할 수 있었는데, 이것은 대기가 불안정할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M34 페르세우스 자리의 산개성단
NGC 1039 2h 38m.8 +42˚
기초 자료 : 1764년 Messier가 처음으로 기록한 이 산개성단은 Algol과 안드로메다 감마성 사이의 거의 중간 지점에서 맨눈으로도 볼 수 있다. 9.0등급 이상의 별들 중 10여 개의 거리를 측정한 H.L.Johnson에 의하면 이 성단의 거리는 1400광년이다. 하지만, 가장 밝은 7.3등급의 별은 이 성단에 속하지 않는다. M34는 약 0.5도 가량 퍼져 있지만 밝은 별들은 밀집되어 있다.
NGC 묘사 : 밝고 매우 큰 성단으로 9등급의 별들이 성글게 퍼져 있다.
보이는 모습 : 7 X 50 쌍안경으로 보면 아주 잘 분해되어 보이는 멋있는 성단이다. 넓게 퍼져 있으므로 큰 망원경보다는 4인치 정도로 보면 훨씬 더 매혹적이다. 주요 별들은 찌그러진 X자 모양을 이룬다. 성단에서 두 번째 밝은 별은 7.9등급으로 1.4초 정도 떨어진 안시쌍성이다. 이것은 1840년 Otto Struve가 15인치 굴절망원경으로 발견하여 Otto Struve 44로 알려져 있다. M34는 5등급 별인 페르세우스 12번 별에서 정북으로 2.5도 쯤 되는 곳에 위치한다.
M35 쌍동이 자리의 산개 성단
NGC 2168 6h 05m.7
기초 자료 : David F. Gray에 의하면 이 성단은 5.3등급이지만 Mallas에게는 실제보다 약간 더 밝게 느껴졌다. Ake Wallenquist는 30분의 시직경 내에서 사진등급이 13등급 이상인 약 120개의 별들을 찾아냈다. M35까지의 거리는 2800광년으로 생각 되어진다.
M35의 바로 남서쪽에 적경 6h 04m.3, 적위 +24˚(1950.0)인 곳에 조밀하고 어두운 성단인 NGC 2158이 있다. 사진에서는 오른쪽 상단에서 밝게 보이지만 이 12등급의 성단은 작은 빛조각으로 나타나 4인치로는 관측하기 힘들다. NGC 2158의 직경은 4분이다.
NGC 묘사 : 9에서 16등급의 꽤 많은 별들로 이루어진 매우 크고 별이 많은 조밀한 성단이다.
보이는 모습 : M35는 맨눈으로 볼 수 있고 쌍안경으로도 가장 밝은 별들을 구별할 수 있다. 4인치 굴절망원경 25배에서 M35는 화려하게 보인다.
이 성단은 거의 원형에 가깝고 별들이 중심부에 약간 몰려 있으나 꽤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다. 어떤 관측자들은 M35의 안쪽과 그 주위의 별들이 이루는 형태에 대해 말하고 있지만 4인치로는 보이지 않는다. M35는 쌍동이자리 5번 별의 0.5도 서쪽에 위치한다.
M36 마차부자리의 산개 성단
NGC 1960 5h 32m.0
기초 자료 : 시직경이 12분인 M36은 4100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름이 14광년이다. 이 성단은 9에서 14등급의 60여 개의 별로 이루어지고 총 밝기는 6.3등급이다. M36은 꽤 별이 많은 성단이다.
NGC 묘사 : 9에서 11등급의 별들이 흩어져 있는 매우 큰, 밝고 별이 많은 성단이다.
보이는 모습 : 낮은 배율로 보면 별들 사이의 신비한 색채가 대조를 이루는 장엄한 모습을 볼 수 있다. 4인치 굴절망원경으로 보면 중심으로 갈수록 별들이 더 밀집되어 있다. 희미한 별들의 외곽선은 게와 같은 모습을 이룬다. 이 성단 별들의 등급 범위는 상당히 넓다. 위치도는 맞은 편에 있다.
M37 마차부자리의 산개 성단
NGC 2099 5h49m.0
기초 자료 : 시직경이 20분이고 4600광년 정도 떨어져 있는 M37은 실제 지름이 M36의 거의 두 배이다. 12.5등급까지의 약 150개의 별로 이루어진 M37의 총 안시등급은 6.2등급 정도이다.
NGC 묘사 : 크고 작은(밝고 어두운) 많은 별들로 이루어진, 별이 풍부한 성단. 중심부가 꽤 조밀하다.
보이는 모습 : 이 성단은 하늘에서 볼 수 있는 가장 멋진 산개 성단의 하나로 어두운 별들이 아주 넓은 영역에 분포한다. 4인치의 60배로 보면 이 성단은 타원형의 가장자리에 밝은 별들의 무리가 모여 있다. 150개 이상의 별들이 보인다.
M38 마차부자리의 산개 성단
NGC 1912 5h 25m.3
기초 자료 : 이 성단의 시직경은 M37과 같지만 거리가 4200광년으로 M38이 더 가까이 있으므로 실제 크기는 더 작아 약 21광년이다. M38은 100여 개의 별들로 되어 있다. D.F.Gray에 의하면 성단의 0.5도 남쪽에 있는 6등성을 빼면 안시등급이 6.2등급이라고 한다.
NGC 묘사 : 크고 작은 많은 별들이 불규칙한 형태로 모여 있는 매우 크고 별이 풍부한 성단이다.
보이는 모습 : 찬란한 시야 내의 아름다운 성단의 모습을 볼 수 있다. Mallas는 T.W.Webb의 "양 팔에 커다란 별들이 있는 기울어진 십자가 모양으로 배열된 웅장한 성단"이라는 고전적 묘사에 동의할 수 없었다. 그대신 4인치 굴절망원경으로는 M38이 각 모퉁이에 별들의 덩어리가 있는 정사각형의 모습으로 보였다. Webb가 말한 중심부의 별들은 4인치에서는 눈에 잘 띄지 않았다. 위치도는 M37 아래에 있다.
M39 백조자리의 산개 성단
NGC 7092 21h 30m.4 +4˚
기초 자료 : 이 밝은 산개성단은 Deneb의 약간 북쪽에서 10도 가량 동쪽에 위치한다. 시직경은 30분이다. D.F.Gray는 M39의 개개의 별들의 밝기를 광전측광하여 전체등급이 6.0등급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여러 관측자들이 행한 총광도의 시각적 측정에 의하면 평균 5.4등급 정도로 생각된다. H.L.Johnson에 의하면 M39은 겨우 900광년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가장 가까운 산개성단이다. 다음 면에 위치도가 있다.
NGC 묘사 : 7에서 10등급의 별들이 몇 개 띄엄 띄엄 흩어져 있는 매우 큰 성단이다.
보이는 모습 : M39는 10.5등급 이상인 25개 가량의 밝은 별들이 정삼각형을 이루고 각 꼭지점에 빛나는 형태이다.
캄캄하고 달빛이 없는 밤에는 맨눈으로 보인다. 7 X 50 쌍안경으로도 분해되어 보이는, 작은 망원경에도 적합한 멋진 대상이다. M39는 4인치의 제한된 시야에서는 별로 인상적이지 못하다.
M40 큰곰자리의 이중성
Winnecke 4 12h 20m.0
기초 자료 : Messier는 17세기의 관측자 Johann Hevelius가 이 근처에 있다고 말한 성운을 찾다가 어두운 이 두 별밖에 찾지 못했으나, 그는 이것을 목록에 넣었다. Messier의 천체 묘사와 비교하면서 저자 Mallas는 같은 지점에 있는 Winnecke 4 이중성을 찾을 수 있었다. 이는 1863년 Pulkovo 천문대에서 다시 관측하였던 것이다. 이 두 별은 각각 9.0, 9.3등급으로 49초 정도 떨어져 있다.
보이는 모습 : 4인치 굴절망원경 25배에서 이 두 별을 쉽게 분리할 수 있었다. 사진상에서도 두 별 주위에서 성운기같은 것을 발견할 수 없었다. M40과 6등급의 큰개자리 70번 성이 정삼각형을 이루는 곳에 13등급의 은하인 NGC 4290이 있다. 2' X 1' 크기의 이 막대나선은하는 4인치로는 볼 수 없다.
Owen Gingerich는 Memoires de l'Academie Royale des Scrinces(1771)에서 Messier의 원래 묘사를 다음과 같이 옮겼다.
" 나는 '별들의 모습' 제 2판에서 지적한 큰곰자리의 꼬리 위에 있다는 성운을 10월 24 - 25일 밤에 찾아 보았다. 1660년에 그 위치는 적경 183˚32'41", 적위 +60˚20'33"이었다. 나는 이 지점인 큰곰의 꼬리가 시작되는 곳에서 약 9등급으로 광도가 거의 비슷한 두 별이 매우 가까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거리가 1.8 미터인 일반(색지움이 아님) 굴절망원경으로는 두 개를 거의 구별할 수 없었다. 그 위치는 182˚45'30", +59˚23'50"로 Hevelius가 이 두 별을 성단으로 착각했다고 생각된다."
1950년 분점으로는 Messier의 위치는 Winnecke 4의 위치와 거의 정확하게 일치하였지만, Hevelius의 위치는 실제로는 그가 1도 이상 떨어져 있는 큰곰자리 5등성인 74번 별을 관측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M41 큰 개자리의 산개 성단
NGC 2287 6h 44m.9 -2
기초 자료 : 시리우스의 약 4도 남쪽에 위치하는 이 밝은 성단은 남동쪽 가장자리 근처에 있는 6등급의 별(큰개자리의 12번별)을 포함하고 있다. 권위있는 전문가들의 동의를 얻지 못했지만 대체로 이 성단은 5.2등급에 이를 것으로 생각된다.
1954년 A.N.Cox가 면밀히 연구한 바에 따르면 M41은 우리로부터 약 2400광년 떨어져 있으며 실제 직경이 약 20광년 정도라고 한다. 별들이 성기게 모여 있는 이 성단의 중앙에는 안시등급 6.9, 스펙트럼형 K3인 유명한 붉은 별이 있다. 오래전 T.H.Espin은 이 별이 변광성일지도 모른다고 말한 적이 있다.
NGC 묘사 : 전체적으로 매우 크고 밝으며 8등급 또는 더 어두운 별들이 약간 밀집되어 있다. [NGC에는 이 성단이 Messier 이전에 Flamsteed와 Le Gentil에 의해 먼저 발견되었다고 하면서도, 이름을 여전히 M14로 잘못 부르고 있다.]
보이는 모습 : Mallas의 4인치 굴절망원경으로 장대한 광경을 볼 수 있으며 구경이 매우 작은 망원경으로도 관측하기에 좋은 산개성단 중의 하나이다. 밝은 별들은 나비 모양을 이루지만 전체적으로는 원형을 이루고 있다. 4인치 망원경으로 Espin의 별이 붉은 빛을 띠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M42 NGC 1976 5h 32m.9 -525'
오리온 자리의 발광성운
기초자료 : 육안으로 보면 M42는 사냥꾼의 칼자루 부분에 있는 4등성 세타성을 둘러싼 안개처럼 보인다. 작은 망원경으로 보면 약간 북쪽에 위치한 더 작은 성운 M43과 일부분이 겹쳐 직경 1도 정도로 보인다. 실제로 이것들은 사진에서 종종 보듯이 오리온 자리의 대부분을 덮고 있는 광대한 성운의 가장 밝은 부분들이다.
오리온 성운은 1610년 Nicholas Peiresc, 1618년 J.B.Cysatus에 의해 일찍이 발견되었고 1656년에는 Christiaan Huygens가 주의깊게 연구했다. 그러나 M43은 그후 계속 알려지지 않고 있다가 1731년에 와서야 프랑스의 과학자 J.J.Mairan이 그린 그림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M42는 이온화된 수소가스(HII)가 오리온자리의 다중성 세타성같은 뜨거운 젊은 별을 둘러 싸고 있는 가장 밝은 경우이다. 이 젊은 별들은 사다리꼴(Trapezium) 형태를 하고 있다. 오리온 성운 중심부의 나이는 Trapezium의 별과 거의 같은 30000년이다. 이는 하늘에서 가장 최근에 생성된 것이다. 이 가스 구름까지의 거리는 다소 불확실하지만 약 1000광년 가량 된다.
성운 내부와 그 주변에는 500여 개의 변광성들이 알려져 있으며 대부분이 소폭의 불규칙한 밝기 변화를 나타낸다. 많은 어두운 폭발 변광성들도 보인다.
NGC 묘사 :
M42 : 오리온자리의 세타성을 둘러싼 거대한 성운. 장엄하다.
M43 : 8 내지 9등급의 별을 포함하고 있으며 꼬리를 가진 원형을 하고 있다. 중심부가 더 밝은 매우 밝고 큰 두드러진 대상.
보이는 모습 : 이 부분은 하늘에서 가장 볼만한 곳이다. 작은 망원경으로도 그대로 그릴 수 없을 정도로 세세한 부분들을 많이 볼 수 있다. 불균일한 밝기, 세세한 성운 구조선, 세타성 주위의 불균일 부분 등 묘사하기가 매우 어렵다. Mallas의 4인치 굴절망원경으로 25 - 60배의 배율로 보면 전체가 연한 녹색의 가장 일반적인 성운을 볼 수 있다. 아주 눈에 잘 띄는 쐐기 모양의 어두운 부분이 동북쪽에서부터 성운을 가리며 그 끝 부분에 세타성이 있다.(Smyth 제독은 쐐기 부분을 물고기의 입이라고 불렀다.)
쐐기 양쪽 끝에서부터 웅장한 빛을 내는 끈이 고리모양을 이루며 구부러져 가는데 조건이 좋으면 거의 완전한 원을 그을 수 있다. 오리온 성운 내의 변광성의 대표격인 T. Orionis는 이 부분에 있다. 쐐기의 북쪽에 대충 삼각형 모양으로 분리되는 밝은 부분이 M43이다. 동쪽으로 가면서 좁아지는 어두운 선이 이를 가로 지르고 있다.
IU, LP, NV 그리고 V372 등이 개별적으로 이름이 붙은 변광성으로, 주요 부분에는 1 - 5까지 번호가 붙여져 있다. 1번 별 근처에서 고리는 세 갈래로 갈라지며 이 중 북쪽과 중앙의 것은 희미하다. 가장 밝은 세번째 고리는 고리 내부의 남쪽으로 연장되다가 망치 머리 모양의 서쪽 끝부분까지 휘어져 있다. 고리의 중앙부에 4인치로는 짙은 녹색으로 보이고 시상이 좋은 경우에는 흐릿하게 보이는 8등급의 변광성 V372가 있다. V372의 북쪽과 동쪽 부분에 녹색과 회색이 대조를 이루는 밝고 어두운 부분들이 존재한다.
처음 관측으로 오리온 성운의 모든 특징을 보리라고는 기대하지 않는 것이 좋다. 시상이 좋고 경험이 축적되면 상세한 부분들까지 대조되어 보일 것이다.
Trapezium 부분은 고배율로도 관측하여야 한다. 4인치 200배와 250배로 보면 쐐기 부분은 희미하게 빛나고 끝이 꼬인 모양을 하고 있다. 아래는 유명한 이중성 관측자인 S.W.Burnham이 90여년 전에 Lick 천문대의 36인치 굴절망원경을 이용해서 관측했던 Trapezium의 성도이다. Trapezium은 A, B, C, D의 네 별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은 밝기 순이 아니라 적경 순에 따른 것이다. 1975년에 A는 65.4일 주기로 20시간 동안 어두워지는 식변광성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A의 최소 밝기는 D의 밝기와 거의 같다. B는 오리온자리 BM 변광성으로 6.5일의 식변광성이다. 이것은 항상 4개의 Trapezium별 중 가장 어두운 별이다. E 와 F 별들도 구경이 큰 아마추어 망원경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G와 이중성인 H는 보기가 매우 힘들다. 십자 표시는 E.E.Barnard의 날카로운 눈에 1888 - 1889년의 이틀 밤에 걸쳐 관측한 36인치 굴절망원경의 한계에 이르는 대상이었다. 그러나 이것은 너무나 희미해서 그 이후 아무도 찾아내지 못했다.
M44 게자리의 산개 성단
NGC 2632 8h 37m.5
기초 자료 : 맨눈으로는 직경이 1도인 불꽃같이 보는 4.5등급의 Praesepe 또는 Beehive 성단은 옛날부터 성운형 천체로 알려져 왔다. 1610년 자신의 망원경으로 이것을 본 Galileo는 다음과 같이 썼다.; "Praesepe라 불리는 성운은 하나의 별이 아니라 40개 이상의 작은 별들의 집합체이다." 이것은 작은 망원경으로 본 M44의 모양을 표현한 것이지만 이 성단 영역에는 17등급보다 밝은 별만도 350여 개나 된다. 이 별들 중에는 M44의 구성원은 아니지만 9.48일을 주기로 안시등급이 8 - 10등급 사이에서 변화하는 Algol형 변광성 게자리 S가 있다.
M44는 가장 가까운 산개성단의 하나로 약 500광년 떨어져 있다. 밝은 별들의 중심은 직경이 약 13광년 정도이지만 약간 바깥쪽 부분의 별들까지 포함한다면 전체 성단의 직경은 약 40광년이나 된다. 이 별들은 함께 공간을 움직이므로,
매년 남서쪽으로 0.037초 정도의 고유 운동과 33km/s의 속도로 후퇴하고 있다.
Praesepe는 라틴어로 '여물통'이라는 뜻이다. 이 뜻이 실감나도록 성단 옆에 있는 두 별 감마성과 델타성은 북쪽과 남쪽 당나귀라는 라틴어 이름을 가지고 있다. 이 두 별은 William Henry가 찍은 아래 사진에 잘 나타나 있다. 이 사진은 위치도의 방향과 일치하게 북쪽을 위로 하고 있으나 맞은편의 사진과는 반대이다.
NGC 묘사 : 없음
보이는 모습 : 숙련된 사람에게는 작은 배율의 쌍안경으로도 Praesepe성단이 많은 별들로 분해되어 보인다. 7 X 50 쌍안경이나 넓은 시야의 망원경으로 멋지게 볼 수 있다. M44는 4인치 망원경 25배 정도에서도 대상이 너무 퍼져 좋은 광경을 볼 수 없으나 밝은 별들의 색깔이 보인다.
M45 황소자리의 산개 성단
3h 43m.9
기초 자료 : 플레아데스는 초보자나 전문가 모두에게 특히 매혹적인 대상이다. Otto Struve는 1951년에 다음과 같이 썼다.; "플레아데스는 천문학자들이 다른 대상들보다 훨씬 많이 사진찍어 왔다고 생각된다. 마찬가지로 다른 대상들보다는 플레아데스에 대해 더 정밀한 모든 종류의 관측이 행해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맨눈으로 보아도 두드러진 이 별무리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전설이 전해진다. 우리가 보통 부르는 이름 칠자매는 맨눈으로 보이는 별의 수를 말한다.(Patrick Moore는 영국 텔레비젼 시청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광학기기의 도움없이 볼 수 있는 플레아데스의 별의 수를 조사한 적이 있었는데 응답자의 73%가 6,7,8개라고 대답했다.)
망원경으로는, 2.9등급으로 가장 밝은 Alcyone에서 1도 범위 내에 수백 개의 별이 있다. 모든 별들이 400광년 떨어진 거리에 있기 때문에 가장 밝은 별이 본질적으로 광도도 가장 높다. 이들은 모두 고온의 푸른 별인 스펙트럼 B형이다.
개개의 별들로 전체광도를 측정한 D.F.Gray에 의하면 플레아데스의 총 등급은 1.38이다. 근시인 관측자가 안경을 벗고 보면 원반형의 밝은 별로 보이므로 1.8등급인 페르세우스 자리 알파별과 비교해 보아 이를 확인할 수 있다.
Kreimer의 사진과 같이 성단 주위의 희미한 성운 자취를 찍는 것은 아마추어에게도 수월할 것이다. 냉각 카메라를 사용하여 10분간 노출한 사진에 16등급의 희미한 별들까지도 찍혔다. 이 사진은 위치도와의 비교을 돕기 위해 북쪽을 위로 하여 실었다. 왼쪽 가장자리에 Alcyone가 있고 오른쪽 구석 위에 Taygeta가 있다. 사진에서 성운이 과다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인화할 때 부분 노광을 하였다. 성운은 표면 광도가 낮기 때문에 눈으로 보기 어려우나 Merope에서 남쪽으로 뻗어 있는 곳이 가장 쉽다. IC 349로 알려진 Merope 성운은 1859년에 W. Tempel이 4인치 굴절망원경으로 발견하였다. 그는 이것을 희미한 얼룩이라고 표현했다. 이것을 보기 위해서는 큰 망원경보다는 좋은 시상과 숙련된 관측 기술이 필요하다.
플레아데스의 성운은 먼지 구름에 별빛이 희미하게 반사되어 보이는 것이다. 이것은 1912년 Lowell 천문대의 E. C.Slipher가 성운의 스펙트럼이 플레아데스 별의 것과 같은지를 알아내기 위해 21시간 동안 노출을 한 분광 사진에 의해 알려졌다.
NGC 묘사 : 이상하게도 M45는 NGC에는 Hyades와 머리털자리의 성단과 함께 빠져 있다.
보이는 모습 : 저자 Mallas는 젊었을 때 육안으로 12개의 별을 볼 수 있었다. 이 성단은 7 X 50 쌍안경으로 장려한 모습을 볼 수 있으며 2인치 굴절망원경 15배로 보면 하늘에 있는 가장 멋진 광경 중의 하나가 될 것이다. 더 큰 망원경으로 보면 한 번에 플레아데스가 모두 보이지 않기 때문에 감흥은 덜하다. 4인치 굴절망원경 60배로 보면 실망할는지도 모른다.
수 년 동안 Mallas는 Merope 성운을 찾으려고 하였으나 실패했다. 그러나 Arizona의 맑은 하늘에서는 4인치 망원경으로 Merope의 남쪽에 흐릿한 타원형의 성운을 볼 수 있었다. 보통 맑고 깜깜한 하늘에서도 IC 349를 보기 위해서는 6인치 망원경이 필요하다. 보다 놀라운 것은 Maia, Taygeta, Celaeno 별 근처에 있는 성운 관측이다. 4인치로는 Kreimer의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불규칙한 모양의 안개를 가로지르는 줄이 보였다. 성운은 Alcyone 근처에서도 관측되었지만, 매우 희미하고 명확하지 않다. 플레아데스와 V모양의 Hyades 사이의 관계는 Walter J. Semerau가 찍은 사진에서 보인다. 하늘에서 이 두 성단은 약 10도 떨어져 있다.
M46 고물자리의 산개 성단
기초 자료 : 약 5400광년 떨어진 꽤 많은 별들로 이루어진 이 산개성단은 시직경 28' 영역 안에 약 200개의 14등급 이상의 별들을 포함하고 있다. M46의 총광도는 6등급이다.
사진에서 보듯이 행성상 성운 NGC 2438이 성단의 북쪽 언저리 근처에 위치해 있다. 그러나 이 행성상 성운은 M46의 일부분이 아니라 단지 겹쳐 보이기만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페가수스 자리의 구상성단 M15에도 행성상 성운이 있는데 그 경우에는 둘이 연관되어 있다.
NGC 묘사 : 매우 밝은 별들로 이루어진 밝고 큰 주목할만한 성단. 행성상 성운 1개를 포함하고 있다.
보이는 모습 : 낮은 배율로 근사한 모습을 볼 수 있는 성단이다. 중앙 부근에 두드러지게 뭉쳐진 별들이 없이 둥근 모양을 하고 있으나, 밝은 별들은 여러가지 기하학적인 형태를 취하고 있다. 행성상 성운은 찾기 힘들다. 모양은 달걀 형태이고 밝기는 일정하지 않으며 색깔은 청회색이다. Mallas의 4인치 굴절망원경으로 NGC 2438은 중배율과 고배율 사이에서 가장 잘 보였다.
M47 고물자리의 산개성단
기초 자료 : M47은 총광도가 4.6등급이므로 육안으로 볼 수 있다. 25분의 시직경 내에 약 50여 개의 별들이 있으며 가장 밝은 것은 안시 등급이 5.7등급이다. 우리로부터 약 1600광년 떨어져 있는 M47은 직경이 12광년이다. 여러 해 동안 M47은 "행방불명된" Messier 대상으로 여겨졌다. 왜냐하면 Messier가 기록한 M47의 위치에서는 어떠한 성단도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1934년 Oswald Thomas는 M47을 NGC 2422로 판명했고 1959년 T.F.Morris는 Messier가 성단의 위치를 기입하면서 부호를 잘못 기입하는 실수를 범했다고 주장했다. M47은 2개의 번호를 가지고 있다. 1785년 Herschel의 발견으로 붙여진 2422와 1771년 Messier 의 발견으로 붙여진 2478이다.
NGC 묘사 : 밝고 매우 크며, 밝고 어두운 꽤 많은 별들로 이루어진 성단이다.
보이는 모습 : 밝은 별들로 이루어진 아름다운 성단으로 고물자리 은하수의 수많은 별들 중심에 위치한다. 4인치 저배율로 보면 여러 색깔의 많은 별들을 볼 수 있다. 위치도는 앞면에 있다. M47에 있는 예쁜 이중성 시그마 1121이 Kreimer가 찍은 사진의 중앙 부근에 있다. 두 별이 모두 7.9등성으로 위치각 305도에 각거리 7.4" 떨어져 있다.
M48 바다뱀자리의 산개 성단
기초 자료 : 한 때 '잃어버린' Messier 천체였던 M48은 Messier에 의한 위치가 5도 정도 틀렸다는 Owen Gingerich에 따라 이제 NGC 2548로 간주된다. 직경이 30' 정도인 이 산개 성단은 13등급보다 밝은 별들이 60여 개 있다. 밝기는 5.8등급이며 우리로부터 약 1500광년 떨어져 있다.
NGC 묘사 : 매우 크고 꽤 별이 많으며 중심에 별이 밀집되어 있다. 9 - 13등급의 별로 이루어져 있다.
보이는 모습 : 4인치 굴절망원경으로 화려하게 보이며 쌍안경으로도 부분적으로 분해된다. 60배로 보면 M48은 거의 원형이고 가장 밝은 별들은 중심에 밀집되어 있다.
M49 처녀자리의 은하
기초 자료 : M49는 후에 이탈리아의 유명한 천문학자가 된, 1771년 당시 19세의 Barnabas Oriani에 의해 발견되었다. 이 은하는 총광도가 8 - 9등급이고 크기는 2' - 3'정도이다. 남쪽으로 약 10' 아래에 사진에서는 꼭대기에 보이는 매우 희미하고 독특한 은하인 NGC 4470이 있다.
M49는 M61이나 M104와 같은 거리인 7천만 광년 떨어져 있는 E4 타원은하이다. M49의 스펙트럼은 초당 855km로 멀어져 가는 적색편이를 보여주고 있다.
큰 망원경으로 찍은 사진에서는 M49를 둘러싸고 있는 많은 어두운 구상성단들을 볼 수 있다. 1830년 경에 M49의 동쪽에 있는 별을 John Hershel 경이 18.75인치 반사 망원경으로 수차례 관측하였다. 그는 그 별이 13등성이고 은하의 가장자리 바깥쪽에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M49가 매우 밝고 둥글며 2' 정도의 크기라 하였다.
NGC 묘사 : 매우 밝고 크고 둥글다. 중심으로 갈수록 밝아지나 불균일하다.
보이는 모습 ; 4인치 굴절 망원경으로 M49는 구상성단 혹은 혜성의 머리를 닮았다. 그러나 밝은 중심부는 다른 은하들보다 더 뚜렷하게 보인다. 사진과 그림 모두에서 넓고 희미한 주변부를 볼 수 있다.
M50 외뿔소자리의 산개 성단
기초자료 : 이 성단은 Charles Messier가 1772년 4월 5일 그 해의 혜성을 관측하던 중 발견했다. Kenneth Glyn Jones는 M50이 1711년 이전에 G.D.Cassini에 의해 발견 되었을지도 모른다고 지적했다.
M50은 직경 15' 이내에 50여 개의 밝은 별들이 있으며 약 3000광년 떨어져 있고 실제 직경은 13광년이다.
NGC 묘사 : 주목할만한 대상으로 매우 크고 별이 많으며 꽤 밀집되어 있다. 12 - 16등급 사이의 별들이 길쭉한 모양을 하고 있다.
보이는 모습 : 이 성단은 4인치 굴절망원경으로 매우 선명하고 둥근 모습을 볼 수 있고 10 X 40 파인더로도 분해된다. 낮은 배율이 효과적이며 이 부근은 특히 인상적이다.
M50을 이루고 있는 밝은 별들은 하트 모양을 하고 있다. Smyth 제독과 T.W.Webb 가 언급했던 붉은 별은 아마 성단 중앙에서 약 7' 정도 남쪽에 있는 8등급 별을 가리키는 것일 것이다. 그러나 Mallas에게는 그 색깔이 뚜렷하지 못했다.
Harvard 천문대에서 찍은 사진을 보면 고물자리, 큰개자리, 외뿔소자리에 있는 네 개의 Messier 산개 성단이 원을 그리고 있다. 오른쪽 위에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M50, M46, M93, M41이다. 사진 중에 노출이 과다한 상이 바로 하늘에서 가장 밝은 Sirius이다. 다른 성단들과 성운들도 겨울철 은하수 남쪽에서 많이 발견할 수 있다.
M51 사냥개 자리의 은하
NGC 5194 13h 27m.8 +47˚27'
기초 자료 : M51은 유명한 와류은하로 북쪽으로 4' 떨어진 곳에는 NGC 5195가 있다. 이 은하의 크기는 대략 11' X 7'이고 밝기는 약 8등급이다. NGC 5195는 크기가 3' X 2'으로 M51에 비해 1.5등급 정도 더 어둡다. NGC 5195가 M82에 가까운 불규칙 은하임에 비해 M51은 후기 나선형이다. 둘 다 약 1500만 광년 떨어져 있다.
M51의 나선 구조는 1845년 Rosse 백작이 75인치 반사 망원경을 이용하여 처음으로 발견했다. M51은 Sc형의 대표적인 보기이다. 현대의 대형 반사 망원경을 이용하여 찍은 사진에서는 어두운 먼지 띠에 의해 전체 나선팔의 형태가 뚜렷이 보인다. 이 나선팔들은 1.5회 정도 감고 있다. Kreimer가 찍은 사진에서는 M51로부터 나온 먼지의 선이 NGC 5195의 앞쪽을 가로지른 것을 볼 수 있다.
NGC 묘사 : M51 : 훌륭한 관측 대상이며 큰 나선형 은하이다.
NGC 5195 : 밝으며 약간 작고 조금 퍼져 있다. 중심부로 갈수록 밝아진다. M51에 포함되어 있다.
보이는 모습 : 이 은하는 가장 훌륭한 관측대상 중의 하나이다. Mallas는 7 X 50 쌍안경으로 M51과 NGC 5195를 보았으며 4인치 저배율로도 인상깊게 볼 수 있었다. M51의 중심부는 어떤 조직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그림에서는 희미한 나선구조와 두 은하가 연결된 부분이 보이지만, 이는 착시 현상과 관측자가 사진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일 것이다.
맑은 사막 하늘 아래에서는 12.5인치, f/4 반사 망원경으로 나선팔과 그 어두운 간격을 잘 볼 수 있다. M51의 나선팔 관측 여부는 대부분 눈의 숙달된 정도와 그때의 관측 상태에 달려 있다.
M52 카시오페이아자리의 산개성단
NGC 7654 23h22m.0 61˚20'
기초자료 : 7등급인 M52는 직경이 약 12'이다. 12등성 이상의 별이 약 200개 쯤 되는 비교적 별이 많은 산개성단이다. 서남쪽 가장 자리의 8.2등급 붉은 별은 이 성단에 속한 별이 아니다. 이 성단의 별들은 이보다 최소 등급이 3등급 이상 더 어둡다. 최근 측정한 바로는 M52는 약 7000광년 거리에 있다. 1774년 9월 7일 Messier는 혜성 근처에서 이 성단을 발견했다.
NGC 묘사 : 크고 별이 많으며 중심 부분이 상당히 밀집되어 있다. 둥글고 9 - 13 등급의 별들로 이루어진 성단이다.
보이는 모습 : 작은 망원경으로도 아름답게 보인다. Mallas의 4인치로는 반원 안의 바늘 모양의 안쪽 부분에 매우 많은 별들이 보였다. M52는 5등급의 카시오페아 4번 별의 남쪽에 있다.
M53 머리털 자리의 구상성단
NGC 5024 13h10m.5 +18˚26'
기초 자료 : 약 6만 광년의 거리에 있으며 시직경은 3.3'으로 실제 직경은 60광년이다. 안시등급은 7.6등급이고 112km/s의 속도로 접근하고 있다. 봄하늘의 M3과 같이 M53의 별들은 중심에 집중되어 있지 않은 것이 다른 성단들과 비교된다.
NGC 묘사 : 주목할만한 구상성단. 밝고 밀집된 불완전한 구형이다. 중심 부분은 매우 밝으며 12등급의 별들을 포함하고 있다.
보이는 모습 : 매우 화려하다. 타원형이며 중심이 크고 밝다. 4인치 120배로도 많은 별들을 볼 수 있다. 중심부는 마치 낱알로 분해되는 것같이 보이나 주변부는 4인치로 보이지 않는다. 그림에서 보듯 밝은 중심 부분은 M3에 비해 더 크다. 어두운 부분은 눈의 착각일 것이다. 이 구상성단은 비교적 찿기 쉽고 머리털자리의 5등급 알파성의 1도 북동쪽에 위치한다.
M54 궁수자리의 구상성단
NGC 6715 18h 52m.0 -32˚32'
기초 자료 : M54의 총밝기는 대략 8등급이다. 가장 밝은 별이 14등급이고 성단 중심에 집중되어 있다. M54의 각크기는 2' - 5.5'으로 정확하지 않다. 5만 광년 떨어져 있으며 107km/s의 속도로 멀어져 가고 있다.
NGC 묘사 : 구상성단으로 매우 밝고 크며 둥근 모양이다. 점차로 밝아지다가 중심에서 갑자기 밝아진다. 15등급 이하의 별들로 잘 분해된다.
보이는 모습 : 이 성단은 4인치 망원경으로 매우 화려한 자태를 보여준다. 비록 작으나 어떤 점에서는 구상성단보다 더 밀집된 산개성단 같은 인상을 준다.
4인치 굴절로는 중심에 약간의 별들이 있음을 볼 수 있으나 사진에서는 과다 노출로 보이지 않는다.
M55 궁수자리의 구상성단
NGC 6809 19h 36m.9 -31˚03'
기초자료 : 이 6등급의 구상성단은 1751 - 52년 사이에 Abbe de Lacaille가 희망봉을 탐험하던 중 발견하여 Messier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세 대상 중 하나이다.
M55는 시직경 15'에 2만 광년 떨어져 있고 실제 직경은 약 90광년이다. 별들은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매우 고르다. M55는 변광성이 매우 적어 겨우 6개 만이 알려져 있다.
NGC 묘사 : 매우 밝고 크며 둥근 구상성단. 중심으로 갈수록 점차로 밝아지고 12 - 15등급의 별들로 이루어져 있다.
보이는 모습 : Mallas의 4인치 굴절 망원경으로는 크고 밝은 성운 조각처럼 보인다. 중심은 외곽보다 더 밀집되어 있고 상당히 밝은 별들을 포함하고 있다. 4인치로는 성단을 분해할 수 없고 낱알 모양의 조직도 나타나지 않는다.
M56 거문고자리의 구상성단
NGC 6779 19h 14m.16 +30˚05'
기초자료 : 거문고자리 감마성과 백조자리 베타성(알비레오)사이에 위치한 M56은 8등급이며 시직경 5'의 구상성단으로 6등성 별에서 25' 남동쪽에 있다. 거리는 약 4만 광년이며 초속 154km로 접근하고 있다. 이 성단은 1779년 1월 23일 Messier에 의해 최초로 발견되었다. 그의 보잘것 없는 장비로는 틀림없이 희미한 혜성처럼 보였을 것이다.
NGC 묘사 : 밝고 크며 불규칙한 둥근 모양의 구상성단. 중심부로 갈수록 밀집되어 있다. 11 - 14등급의 별들로 잘 분해된다.
보이는 모습 : 인상적인 대상. 4인치 굴절 망원경으로 M56은 낱개의 별들이 몇 개 보이는 밝고 둥근 빛덩어리이다. 다른 구상성단과는 달리 이것은 밝은 중심핵이 없다. M56은 저배율에서 멋지게 보이는 은하수 지역에 위치한다. Kreimer의 사진에서 중앙 부분의 밝기가 고르지 못한 효과는 구경이 4인치 이상인 망원경에서 볼 수 있다.
M57 거문고자리의 행성상 성운
NGC 6720 18h 51m.7 +32˚58'
기초자료 : 이 유명한 고리성운은 Messier에 의해서가 아니라 1779년 Toulouse의 Antoine Darquier에 의해 발견되었다. 이 성운은 시직경이 약 1'으로 밝기는 9등성 정도이며 거문고자리 베타성과 감마성 사이에 있다. 이 성운은 타원형으로 Carl Witrz의 안시 측정으로는 긴 쪽 직경이 74"이고 짧은 쪽이 62"이다. 사진에서는 긴 쪽이 확대되어 있다. 이 성운의 내부 크기는 외부의 약 절반 정도이다. 스펙트럼 관측에 의하면 M57은 서서히 팽창하고 있다. 중앙의 별은 눈으로 보기 어렵고, 광도를 측정한 수치도 일정하지 않다. E.E. Barnard는 14.1등급, H.D. Curtis는 15.4등급으로 측정했고 사진상으로는 약 14등급이다. 고리성운까지의 거리는 1974년 K.M. Cudworth에 의해 4100광년으로 판정되었다.
NGC 묘사 : 화려한 대상. 밝고 매우 크며 상당히 팽창된 둥근 모양의 성운이다.
보이는 모습 : 시도해 볼만한 대상이다. 이 작은 성운은 배율을 쉽게 높여 볼 수 있으나 적정 배율은 시상에 따라 많이 좌우된다. 여기의 그림은 조건이 매우 좋을 때 Unitron 4인치 굴절 망원경으로 250배 확대한 것이다. 그러나 보통 120배 이상은 효과를 얻기 힘들다.
그림에는 성운에서 가장 밝은 부분의 별과 중앙에서 벗어난 다른 희미한 별이 있으리라고 여겨지는 부분에 X 표를 했다. 시상이 안정됐을 때에는 가는 선들이 많이 보인다. 확대해 보면 세밀한 부분이 더욱 선명히 나타난다.
오래 전 T.W. Webb는 "성운의 밝기가 불안정하다고 가끔 생각했다... 이런 착시 현상은 아마 대상에 비해 망원경의 구경이 너무 작기 때문에 일어났을 것이다." 라고 썼다. 4인치에서는 M57과 같은 행성상성운에서 이런 현상이 일어난다. M57은 약간 녹색을 띤 회색이며 6인치로는 녹색이 좀 더 선명하다.
M58 처녀자리의 은하
NGC 4579 12h 35m.1 +12˚05'
기초자료 : M58은 평방 100도 이상의 영역에 걸쳐 산재되어 있는 1000여 개의 은하로 이루어진 거대한 처녀자리 은하단 중에서 가장 밝은 것에 속한다. 이 은하단은 비록 7천만 광년이나 떨어져 있지만 우리에게는 가장 가까운 큰 은하단이다.
M58은 처녀자리 로성과 20번 별을 밑변으로 하는 정삼각형의 북쪽 꼭지점 위치에 있으므로 찾기 쉽다. 크기는 4.5' X 3.5', 밝기는 9등급에 해당한다. 사진에서는 밝은 중심 부분과 희미한 나선팔이 보인다. 이런 구조는 나선은하와 막대은하의 중간형으로 분류된다.
NGC 묘사 : 밝고 거대하며 불규칙한 원형. 중심부가 더 밝지만 불균일하다.
보이는 모습 : M58은 4인치 굴절망원경의 10 X 40 파인더로도 볼 수 있다. 서쪽으로 7' 정도 떨어져 있는 사진 가장자리의 8등성 BD +12˚ 2495가 관측에 방해가 된다. 4인치로 보면 중심부는 불균일한 밝기의 후광에 싸여 있는 빛나는 타원형으로 보인다. 그림에서 서북쪽에 밝은 것은 아마 Kreimer의 사진에 보이는 나선팔의 희미한 별들일 것이다. M58은 소구경으로 주의깊게 관측하기에 재미있는 대상이다.
M59 처녀자리의 은하
NGC 4621 12h 39m.5 +11˚55'
기초자료 : M59와 그 이웃 M60은 모두 타원은하이다. 이 둘은 1779년 4월 Dresden의 J.G. Kohler가 혜성(Bode-Messier 혜성) 관측 중 발견했으며 Messier도 며칠 후에 이 은하들을 기록했다.
사진에서 M59는 왼쪽 가장자리에 있으며 M60과 희미한 NGC 4647은 오른쪽에 있고 중간 위에 사진등급 12.2등급 정도인 타원은하 NGC 4638이 있다.
크기는 2.6' X 1.6'이지만 M59의 등급은 9.5등급에 해당할 정도로 밝다. 이것은 처녀자리 은하단에 속하며 우리 은하로부터 약 340Km/sec의 속도로 멀어지고 있다.
NGC 묘사 : 밝으며 꽤 크고 퍼져있지 않다. 중심부가 매우 밝다. 두 개의 별이 은하의 서쪽에 있다.
보이는 모습 : 이 작은 흐릿한 타원형 천체는 배경의 별들과 구별이 힘들다. M59는 M31의 두 이웃 중에서 밝은 쪽인 M32의 축소판이라 할 수 있다. 4인치 굴절망원경으로 NGC 4638은 회색의 원형으로 보인다.
M60 처녀자리의 은하
NGC 4649 12h 4m.1 +11˚39'
기초자료 : 이 9등급의 타원은하는 M59에서 동쪽으로 25' 지점에서 약간 남쪽에 있다. 직경은 약 3'이며 조금 찌그러져 있다. M60은 큰 망원경으로 장시간 노출한 사진에서 나타나는 희미한 구상성단들이 매우 많이 둘러싸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 은하의 실제 밝기는 거의 3억개의 태양 밝기와 같다. M59와 M60의 위치도는 M58 아래에 있다.
NGC 묘사 : 매우 밝으며 꽤 크고 둥글다. NGC 4647과 함께 이루는 이중 은하의 동쪽편이다.
보이는 모습 : M60의 빛은 밝은 중심부에서 비교적 선명한 경계로 갈수록 어두워진다. 아이피스의 한 시야에 11등급의 후기 나선은하인 NGC 4647이 있다. 4인치 굴절로 보면 NGC 4647은 희미하고 뿌연 별처럼 보인다.
-별을향한 마음을 하나로....................GOstars21c-우석
*****Hwang Woo-se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