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생각: 지나친 걱정도, 막연한 기대감도 둘 다 금물 - 부양책의 효과를 일부 확인 가능 - 미국 대선 결과가 나오는 11월이 1차 분수령이 될 것 - 순수 철강업체보다는 4분기 기업가치제고계획 발표 예정인 POSCO홀딩스의 투자매력도 높음
▶️'미봉책'이라는 시장의 평가 vs. '꺼낼 카드는 많다'는 中 정부 - 9월 중국 정부의 경기부양책 발표 이후 기대감으로 철강재 가격 급등 - 하지만 구조적 문제 해결에 부족하다는 평가로 상승세 오래 이어가지 않음 - 21일 5년물 LPR 인하에도 3분기 GDP가 5%를 하회해 21일 철강재 가격은 소폭의 상승에 그침
▶️부양책 발표 이후 나타난 철강재價 급상승이 오히려 공급 과잉 우려↑ - 10월 초순 중국 일평균 조강 생산량 +1.7% MoM 기록 - 건설용 철강재 수요는 -9.9% MoM, 철강재 재고 +3.2% MoM으로 수요가 증산을 뒷받침하지 못함 - 중국 철강업체들의 채산성 증가는 공급 과잉문제를 악화시키는 요인
▶️기대감을 접기에는 조금 이른 시점 - 철강재 가격 고점 대비 약 10% 하락했으나 부양책 이전 수준까지의 되돌림은 아님 - 추가적인 경기부양책 발표 기대감이 가격 레벨 상승 견인한 것으로 추정 - 국내 업체들의 3분기 실적에 대한 우려 있으나 現 밸류 수준에서는 매수 기회로 활용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