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트 매물대
1. 매물대 값 계산 방식
네 질문에 답변하기 전에 먼저 매물대 값을 계산하는 방식을 이해해야 합니다. 매물대 값은 단순히 거래된 주식의 수량만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거래된 주식의 가격도 함께 고려합니다.
따라서 A라는 주식이 30,000원에서 다음과 같이 거래된 경우, 각 상황의 매물대 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상황 1: 1주가 100번 거래된 경우
매물대 값 = (거래된 주식 수) * (거래 가격) = 1주 * 30,000원 = 30,000원
상황 2: 100주가 1번 거래된 경우
매물대 값 = (거래된 주식 수) * (거래 가격) = 100주 * 30,000원 = 3,000,000원
따라서 상황 1과 2의 경우, 거래된 주식의 수는 다르지만 거래된 총 금액은 동일하기 때문에 매물대 값도 동일하게 30,000원으로 계산됩니다.
2. 매물대의 역할
매물대는 주가의 지지선과 저항선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지지선: 과거에 주가가 하락했을 때 멈췄던 가격대를 의미하며, 이 가격대까지 하락하면 다시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저항선: 과거에 주가가 상승했을 때 멈췄던 가격대를 의미하며, 이 가격대까지 상승하면 다시 하락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하지만, 상황 1과 같이 단 한 주의 주식만 거래된 경우에는 실제로 지지선이나 저항선 역할을 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단 한 주의 거래만으로는 시세에 큰 영향을 미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매물대가 지지선 또는 저항선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거래량이 존재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거래량이 많은 상위 10%~20% 정도의 가격대가 지지선 또는 저항선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 매물대 산출 방법
매물대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산출됩니다.
자신이 보고있는 차트의 기간이 기준
차트를 넓게 보면 기준 변화
기간 설정: 매물대를 분석할 기간을 설정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일간, 주간, 월간 등으로 설정합니다.
거래 데이터 수집: 설정된 기간 동안 해당 주식의 거래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가격 구간 설정: 분석에 사용할 가격 구간을 설정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일정 금액 간격(예: 100원, 500원 등)으로 설정합니다.
거래량 계산: 각 가격 구간에서 거래된 주식의 수량을 계산합니다.
매물대 그래프 작성: 가격 구간별 거래량을 막대 그래프 형태로 작성합니다. 높이가 높을수록 해당 가격 구간에서 거래량이 많았음을 의미합니다.
참고:
자신이 보는 차트 기간에 따라 매물대가 달라지므로
자신의 포지션 단타, 중기, 장기에 따라 매물대 가격이 달라 모든 사람에게 공통으로 적용되지는 않는다.
주식 차트에서 제공하는 매물대는 기본적으로 거래량 기반으로 산출됩니다. 하지만 일부 플랫폼에서는 거래대금 기반으로 매물대를 산출하기도 합니다.
매물대 분석은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미래 주가를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매물대는 다른 기술 지표와 함께 종합적으로 활용해야 정확한 주가 예측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