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9월 기준 26개 캐피털사 기준 태영건설 관련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익스포저(위험노출액)는 총 6522억 원이다. 이 중 AA- 이상 캐피털사가 보유하고 있는 익스포저는 6038억 원이다. A+ 이하 캐피털사의 익스포저는 484억 원에 불과하다. 캐피털사 중 태영건설 익스포저는 관련 자기자본 대비 비율은 약 3.1%에 불과하다.
문제는 중·소형 캐피털사를 중심으로 연쇄 부실 우려가 커진다는 점이다. 후순위 채권이 대부분인 중·소형 캐피털사의 경우 신규자금 부담으로 실사 과정에서 이탈할 가능성도 있다.
일부 신용등급 하위 캐피털사의 경우 손실흡수능력이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실제 한국신용평가는 최근 OK캐피탈의 신용등급을 ‘BBB+, 안정적’에서 ‘BBB+, 부정적’으로 낮췄다. 앰캐피탈의 신용등급도 ‘A-, 긍정적’에서 ‘A-,안정적’으로, DB캐피탈의 신용등급은 ‘BBB0, 긍정적’에서 ‘BBB0, 안정적’으로 일제히 하락했다.
연체채권 규모도 빠르게 늘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 OK캐피탈의 부동산 PF 대출 고정이하여신비율은 9.5%이다. DB캐피탈도 4%를 기록하며 전년 동월(1%) 대비 급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