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의 대다수의 학생들은 유치원에서 기본적인 교육을 받고 나아가 기초적인 학습도 이미 사교육에서 마치고 학교에 입학하지만 우리가 학교에 입학하던 때는 학교에서 하나부터 열까지 가르쳐야 했던 시절이다. 예나 지금이나 부모님의 손을 잡고 학교에 가서 입학식을 하는 것으로 학창시절이 시작된다.
입학식 날 한쪽 가슴에는 학년 반이 적힌 명찰을 달고 그 아래에 코 닦는 하얀 손수건을 달고 서 있었다. 지금 아이들은 이해조차 힘들지만 입학하는 아이들의 가슴에는 어른들의 훈장처럼 하얀 손수건을 가슴에 달고서 입학식에 가는 것이 당연한 것으로 여기던 시절이다.
그 당시에는 너나 할 것 없이 왜 그리 당시에는 나일론 재질의 옷이 많아서 코를 닦고 나면 기름칠한 것처럼 유난히도 옷깃은 까맣게 번들거렸다. 나일론 옷은 질기고 바람을 잘 막아 주는 반면에 불에 약해서 추위에 불 가까이 가면 쪼그려 붙어서 옷을 망치기 일쑤였다.
즐거운(?) 시험시간
가슴 떨리는 통지표
난로 위 도시락
추억의 시절 도시락
아...흰 쌀밥 위에 계란
추억속의 풍금
국민교육헌장
국민교육헌장 : '국민학교'에서 누구나 외워야 했던 국민교육헌장 국민교육헌장을 암기해야 했던 것은 물론 국민학생들뿐이 아니었다. 중고교생들도 암기해야 했던 것은 물론(모든 교과서 앞머리에 실리기도 했다), 입학시험과 국가고시 심지어 입사시험에도 사실상 의무적으로 관련 문제가 출제되었기 때문에, 국민교육헌장을 피할 길은 없었다.
국민교육헌장의 시대는 민주보다 반공이 앞서고 (반공 민주 정신에 투철한 애국애족이 우리의 삶의 길), 개인보다 국가가 우선시되는(나라의 융성이 나의 발전의 근본) 시대였다. 문민정부 (文民政府, 1993년~1998년, 김영삼대통령)시절인 1994년, 국민교육헌장은 교과서에서 삭제되고 공식적인 기능이 사실상 소멸됐다.
학생의 공부방
성호교 어린이들이 주로 애용한 문방구는 학교만큼이나 유명했던 학교앞 성호당과 우리문방구
미술시간에 꼭 가져가야 했던 크레파스와 미술도구들을 아침에 잊어 버리고 챙겨오지 못할때도 많았고 애들은 초록색 책상에서연필 따먹기놀이와 연필촉부러뜨리기 지우개 따먹기놀이도 많이했었지
학교 종이~ 땡땡땡!!! 어서 모이자!!! 선생님이 우리를 기다리신다~♪♬ 지난 2006년 2월 101세의 나이로 미국에서 작고한 故김메리 여사가 1945년 광복 직후 작사·작곡한 동요다.
학교 종이 땡땡땡 어서 모이자~ 동요(노래) 제목 : 학교종, (故) 김메리 작사 작곡 - 악보<
누구나 초등학교에 입학하면 제일 먼저 배우는 노래였다. 노래말에 나오는 학교 종은 銅(동)으로 만든 작은 종을 손으로 쳐서 울린다. 요즘은 학교 종 대신 차임벨 소리나 짧은 음악이 수업시간의 시작과 끝을 알린다. 우리 귀에 너무나 익숙한 동요다.몽당연필로 침을 묻혀 누런 공책에 꾹꾹 눌러 글을 쓰며 공부했던 학창시절의 추억을 떠올리게 하는 학교 종소리.
이제 학교종은 역사가 오래된 학교에 간혹 기념물로 걸려있는 골동품일 뿐이다. 학교 종소리도 동요가사에나 남아 있을까 실제로는 듣기 어렵다. 수업의 시작과 마침을 알려주는 이 종은 1970년대 이후 방송시설이 발달되면서 사라지게 되었는데 수업을 시작할 때는 들어와 세번, 수업이 끝날때는 두번, 운동장으로 모여는 다섯번씩 서너번,그리고 화재등 비상사태는 연속하여 쳤다
1. 양초로 반질반질 광을 낸 복도를 아이들이 쿵쾅거리며 뛰어 들어온다. 2. 칠판지우개를 먼지털이 뒷부분으로 두드리면 선명한 줄자국이 났다. 3. 백묵으로 칠판에 글씨를 쓰면 뽀득뽀득 소리가 났다. 4. 학교종 소리는 잃어버린 동심의 세계와 향수를 일깨운다.
첫댓글 아련한 어린시절의 추억-
한아름 가득안고 갑니다...
잘~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