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의제품으로 갖추어야 하는 필수조건인 동․ 식물성 섬유의 장점을 겸비한 섬유 임 | ||||
|
식물성 섬유의 장점
․ 흡수성 우수 ․ 썩는 기간이 짧음 |
╬ |
동물성 섬유의 장점
․ 촉감이 부드러운 점 ․ 촘촘한 원단 |
|
|
|
② 명주(明紬, silk, fabrics)
명주실로 짠 직물, 원래는 명나라에서 생산한 견직물을 가리킨 것이었으나 오늘날에는 주로 견사(絹紗)를 사용하여 짠 직물을 말한다. 명주는 다른 섬유직물이 갖지 않은 특성으로서 우아한 광택과 풍부한 촉감 및 비단소리(scrooping) 등이 있는데, 이러한 성질은 생명주(생사, 생견직물)에서는 볼 수 없고 불순물이 제거된 후에야 나타난다.
수의를 미리 준비하면 수명이 길어진다고 하여 목숨이라 했으며 누에잠을 써서 잠옷이라고 하기도 했다. 뽕잎을 먹고 자란 누에가 4일잠을 잔 뒤, 실을 뽑아 고치를 만들게 되는데 누에고치 속에서 잠을 자고 난 누에 번데기는 나비가 되어 새로운 삶을 준비하듯이 이 옷을 입고 죽음이라는 긴 잠을 잔 뒤에 새로운 환생을 염원해온 것이다.
6) 삼베의 특징
① 견고성과 내구성 - 면보다 10배정도 질긴 특성
② 숨쉬는 직물 - 면보다 20배 빠른 수분 흡수력과 배출력
③ 항균(抗菌)성과 항독(抗毒)성 - 곰팡이 균을 억제하는 수분 배출력 기능
④ 자외선(UV-Ultraviolet)차단과 전자파 차단 기능
- 자외선 99%, 전자파 86%까지 차단, 면섬유보다 5℃정도 차가움을 느끼게 하는 특성
⑤ 환경친화적인 직물 - 살충제나 제초제 없이도 잘 성장함
7) 삼베의 활용
① 삼베수의
- 시신의 뼈를 썩지 않게 하여 황골(黃骨)이 되게 하고 항균기능으로 시신에 벌레가
생기지 않게 하기 때문이다.
- 모시수의는 후손들의 눈썹을 희게 한다.
② 한약수건
- 재래식의 방법으로 한약을 다려 약을 짜낼 때 약수건으로 사용하였다. 이는 삼베가 다른 직물에 비하여 매우 질기기 때문이며 삼베는 양의 기 운이 있어 불순물을 끌어당기는 힘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삼베의 항균 기능을 이용한 용도로 고추장이나 된장항아리 덮개, 냉장고가 생산되기 전에 생선을 말릴 때 덮어두던 천, 그리고 밥상보 등으로 사용하였다.
③ 삼베이불
- 인피직물의 뛰어난 통풍성을 이용하여 삼베이불을 사용하지만 대부분이 (거의 95%이상) 삼베가 아닌 저가의 모시이불이다. 최근에는 통풍성은 물론 뛰어난 땀 흡수로 청결함과 그리고 풀 먹일 필요도 없고, 세탁기에 세탁까지 가능한 100% 삼베이불이 생산되고 있다.
④ 삼베행주
- 삼베의 항균기능이 위생적이기 때문에 행주로 사용하고 있다.
하절기 따뜻한 실내에서 물에 적신 면행주는 1시간 정도면 심한 쉰 냄 새가 난다. 이는 따뜻한 공기와 수분이 박테리아균의 증식이 최적이기 때문에 균의 번식으로 쉰 냄새가 나는 것이다. 그러나 삼베행주는 천연 의 항균 기능으로 박테리아균의 번식을 억제시킨다.
8) 현행 기성수의의 특징
① 1990년대 이후, 장례식장에서 판매하는 기성수의 구입 증가
- 남자용은 表衣로 도포(홑)와 도포 끈이 있고, 內衣로 속저고리(홑)와 속바지(홑),
겉저고리(겹), 겉바지(홑), 두루마기(홑) 등이 있으며, 그 밖에 천금(天衾), 지금(地
衾), 베게, 염포, 교포(멧베), 멱목(면목), 악수, 버선 등의 부속품이 있다.
- 여자용은 표의로 원삼(홑)과 대대, 내의로 속저고리(홑)와 속곳(홑), 단속곳(홑), 속치
마(홑), 겉저고리(겹), 겉치마(홑) 등이 있다. 그 외에 천금, 지요, 베게, 염포, 교포,
멱목, 악수, 버선 등의 부속품 이 있다.
② 천금 외에 소렴금이나 대렴금 중에 하나를 더 갖추기도 한다.
③ 겉옷인 남자의 도포와 여자의 원삼을 없애고 두루마기로 포를 대신한다,根熙
① 수의
② 죽은 사람에게 입히는 옷
③ 그 옷을 보내는 일
④ 옷
[부수]衤
[총획]18획
요즈음은 壽衣라고 잘못 사용을 많이 한다. 바로잡아야----.根熙
♡ 수의에는 주머니가 없습니다...♡
사람이 한평생을 살며
여러 종류의 옷들을 입습니다.
하지만 사람이 죽어 이 세상을 떠날 때는
같은 옷을 입습니다.
그것을 우리는 "수의"라 부릅니다.
값으로 치면 삼베로 만든
몇백만원짜리 수의가 있는가 하면
인조 삼베로 된 몇 만원에서
몇 십만원하는 수의도 있습니다.
가격의 차이는 있으나
그 모양은 대부분 비슷합니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수의의 형태는
한복 정장과 비슷합니다.
지방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수의에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그것은 수의에는 주머니가 없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마지막 입고 갈 옷이
바로 이 옷입니다.
그런데 어떤 사람들은
수의에도 주머니가 있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수의를 입어야 할 시간이
점점 다가오는데도
계속 주머니를 만들고 채우는 일에만
매달려 있습니다.
얼마 전에 일본의 부동산 재벌이
심장병으로 죽었다는 기사가 신문에 났습니다.
부동산 값이 비싼 일본에서
사무실용 빌딩 80개를
소유하고 있던 사람이었습니다.
신문에서 그의 죽음을 알리는 기사는
일단을 차지했으나
그 일단을 마저 다 쓰지 못하고
몇 줄 가다가 멎었습니다.
그 사람이 입어야 할 수의에도
역시 주머니는 없었습니다.
난 그 사람의 이름을 모릅니다.
신문에서 읽기는 했는데 잊어 버렸습니다.
그러나 나는
'노벨' 이라는 사람의 이름은 기억합니다.
'유일한' 이라는 이름도 기억합니다.
수의에는 주머니가 없습니다.
이것은 진리입니다.
그런데도 사람들 중엔 자신의 수의에다만은
주머니를 달려고 하는 이가 있습니다.
혹 이 글을 읽고 계신 분 중에도
주머니가 달린 수의를 입고 싶으신 분이 계십니까?
인생은 모태에서 벌거벗고 나왔은즉
그 나온대로 돌아가고 수고하여 얻은 것을
아무 것도 가지고 가지 못합니다.
인생이 어떻게 왔던지
그대로 가는 것입니다.
우리는 세상에 가지고 온 것이
아무 것도 없습니다.
또한 우리는 아무것도
가지고 가지 못하지 않습니까?
이것은 성경의 가르침입니다.
수의에 주머니가 있다고 생각한다면
이것은 착각입니다.
수의에 주머니를 달려고 시도를 한다면
이것은 바람을 잡으려는 수고에 불과합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립니다.
불행하게도 수의에는 주머니가 없습니다.斷惡
|
첫댓글 좋은자료잘보고가내요 건강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