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성 섬진강을 즐기는 다섯 가지 방법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ncc.phinf.naver.net%2Fncc01%2F2011%2F7%2F19%2F260%2F7px.jpg)
섬진강은 전북 진안과 장수의 경계인 팔공산에서 시작됩니다. 곡성읍 북쪽에서 남원시를 적시고 압록 근처에서 보성강과 합류하죠. 이후 강줄기는 지리산 남부 협곡을 휘돌아 경남과 전남의 도계를 이루며 광양만으로 흘러듭니다. 그 길이가 무려 212.3㎞에 달하지만 강이 ‘강다운 모양새’를 갖추는 것은 곡성에서부터입니다. 특히 옛 곡성역에서 청소년야영장이 있는 가정역까지 섬진강을 즐기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먼저 옛 곡성역에서 가정역까지 증기기관차에 몸을 싣습니다. 시속 25~30km의 느린 속도. KTX보다 10배는 느리지만 기차 밖 풍광은 10배 더 아름답게 보입니다. 조금 더 S라인 철길을 만끽하고 싶다면 침곡역에서 가정역까지 운행되는 레일바이크에 오르는 건 어떨까요. 기차 밖으로 보이던 풍광이 피부로 바로 와 닿는 느낌도 색다릅니다. 조금 더 아날로그 방식으로 섬진강을 느끼고 싶다면 자전거를 타는 것도 좋습니다. 청소년야영장과 가정마을 등에서 3,000원에 1시간 동안 자전거를 빌릴 수 있습니다. 가정마을 앞에서 두계마을로 이어지는 자전거길은 자동차가 거의 다니지 않는 조용한 마을길입니다. 강바람에 들꽃 냄새가 은은하게 퍼지죠. 청소년야영장에서는 래프팅체험도 할 수 있습니다. 섬진강 가정마을 앞에서 압록유원지까지 섬진강의 물살을 직접 맛볼 수 있죠. 또 오토캠핑객이라면 17번국도 드라이브도 추천합니다. 강과 철길 사이에서 부드러운 곡선으로 흐르는 17번 국도는 철쭉이 피는 5월에 가장 빛납니다.
텐트를 가져오지 않아도 괜찮아요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ncc.phinf.naver.net%2Fncc01%2F2011%2F7%2F19%2F260%2F7px.jpg)
곡성 청소년야영장의 장점은 텐트를 가져오지 않아도 된다는 점입니다. 40여 동의 텐트 중 10여 동은 섬진강 둔덕에 위치했습니다. 바로 옆에는 개수대와 전기 시설이 마련됐습니다. 나머지 30여 동은 청소년야영장 본관 옆 운동장에 설치됐습니다. 이곳은 그늘이 드리워 한여름에 시원하게 야영을 즐길 수 있습니다.
오토캠핑객은 섬진강 바로 앞 잔디밭에 텐트를 칠 수 있습니다. 지난해 수해로 잔디와 일부 시설이 유실됐지만 따로 구획이 나뉘지 않아 텐트와 타프를 자유자재로 칠 수 있습니다. 단 래프팅 체험을 이곳에서 하기 때문에 낮에는 조금 시끄러울 수 있습니다. 조용하게 자연을 만끽하고 싶다면 야영장에서 자전거길을 타고 두계마을 쪽으로 1킬로미터 지점에도 야영사이트가 있습니다. 청소년야영장에서 관리하는 부지인데 잔디와 들꽃이 보송하게 자라나있습니다. 조용하게 캠핑을 즐길 수 있지만 이곳에서는 전기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