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코티시 디어하운드 (Scottish Deerhound)
► 이 명 : 스코티시 디어하운드(Scottish Deerhound)
► 외 관 : 스코티시 디어하운드(Scottish Deerhound)의 크기는 체고가 수컷 76㎝ 이상, 암컷 71㎝ 이상이고, 몸무게는 수컷 45.5kg, 암컷 36.5kg정도되는 대형견이다. 거친 털을 하고 있으면서도 기품이 있는 대형견으로 그레이 하운드 타입의 견종이며 아이리쉬 울프하운드 다음으로 크다. 속도감이 있는 가는 신체, 긴 사지와 꼬리가 긴 것이 특징이다. 머리는 길고 두개골은 편평하다. 두개골에 난 털은 적당히 길면서 다른 부분에 난 털보다 더 부드럽다. 눈은 중간 크기로 갈색에서 어두운 갈색이며 눈 주위는 검은색이다. 코는 검은색으로 약간 매부리코이다. 귀는 크고 두꺼우며 높게 붙어 있다. 평상시에는 그레이하운드처럼 귀를 등쪽으로 접고 있지만 흥분하면 귀를 머리 위로 세우거나 반만 세운다. 꼬리는 상당히 길고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진다. 대개 꼬리를 아래로 늘어뜨리거나 말고 있지만 등 위로는 들어올리지 않는다. 몸과 목에 난 털은 거칠고 뻣뻣하며 8∼10㎝의 길이이다. 귀에 난 털은 부드럽고 윤이 나며 만지면 쥐털처럼 느껴진다. 머리, 가슴, 배에 난 털은 좀더 부드럽다. 앞다리와 뒷다리에 난 털은 술 장식처럼 보인다. 털 빛깔은 청회색, 밝은 회색, 얼룩무늬, 노란색, 황갈색, 모래빛을 띤 붉은색 등이다.
► 설 명 : 성격이 매우 좋고 조용한 편이며 위엄이 느껴진다. 행동이 빠르고 민첩하지만 공격적이거나 신경질적이지 않다. 사람들에게 우호적이고 주인에게는 순종한다. 사냥개로서의 본성이 있기 때문에 적당한 운동을 해야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다. 따라서 집에서 키우려면 이런 점을 주의해야 한다. 평균 수명은 10~14년 정도이다.
► 주 의 : 스코디시 디어하운드가 다른 견종들보다 잘 걸리는 질병으로는 확장성 심근병증, 가연골 이형성증(성장 장애 유발, 골연화증으로 인한 기형 가능) 등이 보고되어 있으므로 이들 질병에는 주의할 필요가 있다. 시스틴 결석(개들의 유전적인 질환으로 시스틴이라는 아미노산으로 된 소변 결석이 되는 증상)들도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데 이러한 질병은 스코티시 디어하운드에서 높은 비율로 나타난다고 하므로 유의하여야 한다. 눈 주위에 털이 많이 있는 관계로 백내장이나 결막염 등 안과와 관련된 질환들에 쉽게 노출이 된다고 한다. 고관절 이형성 탈구증이나 관절염 등의 다리 질환도 늘 주의 깊게 살펴보아야 하며, 특히 고관절 이형성 탈구증은 유전적인 질병이기 때문에 강아지를 분양 받을 때 유심히 살펴보아야 한다.
식탐은 어느 정도 있지만 많은 운동량과 전형적인 그레이하운드형 체형 때문에 비만견이 되는 경우는 드물다. 실내 생활도 잘 하는 편이지만 활동량이 많기 때문에 실내보다는 실외에서 키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분한 운동량과 자극이 필요하며, 질주본능이 있기 때문에 넓은 공간에서 마음껏 뛰놀게 해주는 것이 좋다. 사냥개로서의 본성이 강해서 운동량이 부족하면 스트레스를 받아서 기물 파괴행위 또는 공격성까지 보이는 경우도 있다.
털은 정기적으로 관리를 해 주는 것이 좋다. 장모종들은 규칙적인 미용이 필요로 하지만, 오히려 한 여름철에는 미용을 해 주지 않는 것이 적외선에 덜 쪼이게 되므로 더위를 잘 이긴다고 한다. 긴 털로 인하여 추위에는 비교적 잘 견디지만 무더운 여름을 보내야 하는 곳에서는 더위에 각별하게 주위를 기울려야 열사병 등으로 폐사를 하는 사례를 방지할 수 있다.
► 기 원 : 원산지는 영국이며 사이트 하운드(시각형 수렵견)의 일종으로 그레이하운드 계열이다. 스코틀랜드의 하이랜드 지방에서 오랜 옛날부터 시각형 수렵견으로 길러왔다. 매우 큰 몸집에도 불구하고 품위를 잃지 않아 귀족들에게 사랑을 받았다. 겉모습이 아이리시 울프 하운드와 많이 닮아서 같은 조상을 가진 것으로 추측되며, 사슴 사냥에 이용했다.
아이리쉬 울프 하운드와 많이 닮아 있고 고대의 울프 하운드에서 분파하여 사슴 사냥에 적합한 타입으로 개량되었다고 여겨진다. 중세(10~14세기)에는 백작 이상이 아니면 이 견종을 사육 할 수 없었고 서민과는 관계가 먼 견종이었다. 가격도 비쌌으며 사형을 선고 받은 귀족이 집행유예를 얻기 위해 소요되는 돈이 디어 하운드 세 마리 가격과 거의 같을 정도였다.
19세기 말이 되어 스코틀랜드가 개발되고 사슴의 수가 줄어들게 되어 급격히 인기가 떨어졌다. 한때는 멸종의 위기에 처했으나 영국의 "Archibald"와 "Duncan mcneill"라는 두 형제의 헌신적인 노력으로 스코티시 디어하운드는 다시 부활할 수 있었다. 1948년 챔피언 견이 되면서 인기가 회복됐으며, 최근에는 미국이나 북유럽에서도 사육자가 늘어 쇼 독으로 활약하고 있다.
► 비 고 : 스코티시 디어하운드는 2012년 10월 8일일자로 FCI(세계 애견연맹) 분류 그룹 10 사이트 하운드 그리고 섹션 2 러프 헤어드 사이트 하운드 스탠다드 No. 164로 등록이 되었다. 이 외에도 세계 유수의 켄넬 클럽 및 각종 애견 단체에 대부분 등록이 되어 있다.
► 참 고 : 2011년도 세계 3대 도그쇼의 하나인 미국 웨스터민스터 도그쇼에서 영예의 최종 우승을 한 견종이다. 2011년 뉴욕에서 열린 제135회 웨스트민스터 도그쇼에서 우승한 5살 짜리 스코티시 디어하운드 ‘힉토리’는 우선 하운드 그룹에서 우승한 뒤 각 그룹의 우승견들이 겨루는 결승전에서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영국의 빅토리아 여왕은 스코티시 디어하운드의 대단한 애호가였다고 하며, 월터 스콧 경 또한 이 개를 소유했다고 알려져 있다.
□ 공식 견종 표준
► 외형 : 스코티시 디어하운드의 체고는 암컷은 최저 최고가 71㎝ 이상, 수컷은 76㎝ 이상 이어야 하고, 체중도 최저 체중이 암컷은 36.5kg 이상, 수컷은 45.5kg 이상 이어야 한다. 체고나 체중의 차이를 보더라도 수컷이 암컷보다는 많이 큰 편이다. 외모는 아이리시 울프 하운드와 흡사한 견종으로 아주 많이 닮았다. 날렵해 보이는 몸매와 긴 네 다리와 꼬리가 특징이다.
► 머리 : 머리는 길쭉하고, 두개골은 둥글지 않고 납작한 편이나 눈 윗부분은 아주 약간 볼록하며, 양쪽 귀가 있는 부분이 가장 넓고, 폭은 눈과 가까워질수록 좁아진다. 부드럽고 적당히 긴 털로 덮여 있으며, 스톱이 거의 없는 편이다.
• 코 : 코는 약간 매부리코에 가깝고, 색깔은 검은색이다. 주둥이는 코와 가까워질수록 확연히 폭이 좁아지고, 모색이 옅은 경우에도 코는 검은색이 적절하다.
• 입 : 입술은 평평하고, 실크 같은 털로 콧수염이 두툼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턱수염도 적당히 존재한다. 턱이 튼튼하고, 이빨은 구성이 완벽하게 갖추어져 있어야 하며, 치열이 고른 편이다. 교합은 주로 윗니가 아랫니를 덮고 있으면서 턱과 정사각형을 이루는 협상교합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 눈 : 눈의 색이 짙은 편이며, 보통은 짙은 갈색이나 녹갈색이다. 눈은 적당히 큰 편이며, 쉬고 있을 때는 눈매가 부드럽지만 흥분하면 눈빛이 예리해지고 먼 곳까지 볼 수 있으며, 눈 가장자리는 검은색이다.
• 귀 : 귀는 두개골에서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고, 쉬고 있을 때는 뒤로 접혀 있으며, 흥분하면 귀가 위로 올라가지만 완전히 펴지지는 않으며, 일부의 경우는 반만 직립해 있다. 두툼하고 큼직한 귀가 두개골에 납작하게 붙어 있거나 위로 쫑긋 서 있는 형태는 매우 부적절한 요소로 평가된다. 귀는 말랑말랑하고 표면에 윤기가 흐르며, 만져보면 생쥐의 털과 비슷한 촉감이 느껴지며, 귀는 작을수록 좋고, 긴 털이나 장식 모가 없어야 하며, 귀의 색깔은 검은색이나 짙은 색이다.
► 목 : 목은 매우 탄탄하면서 길고, 때때로 갈기에 가려져 있는 경우도 있다. 머리를 들고 있을 때는 목덜미가 상당히 도드라진 모습이며, 살이 늘어진 부분은 없으며, 만약 늘어진 부분이 있을 경우에는 감점요인에 해당이 된다.
► 몸통 : 몸통과 전체적인 형태가 그레이하운드와 비슷하며, 크기와 뼈가 그보다 큰 편이다. 등에서 등선이 납작한 경우에는 부적절한 요소로 평가된다고 하며, 허리는 매우 둥근 아치형이고, 꼬리까지 비스듬하게 이어져 있다. 엉덩이는 아래로 처진 편인데 넓적하고 탄탄하며, 엉덩이 양쪽 뼈의 간격이 넓다. 가슴은 너비보다 깊이(세로길이)가 더 긴 편이고, 폭이 너무 좁거나 측면이 납작하지 않아야 한다.
► 꼬리 : 꼬리는 뿌리가 길고 두툼하며,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진다. 끝이 거의 바닥에 닿을 정도로 긴 편이며, 서 있을 때는 일자로, 또는 휘어진 형태로 바닥에 늘어뜨리고 있다. 움직일 때는 둥글게 휘지만 등선 위로 들어 올리지 않아야 하며, 털이 충분히 덮여 있다. 뿌리 쪽은 털이 굵고 뻣뻣하며, 끝으로 갈수록 털이 길어진다. 꼬리 끝에는 장식 털이 약간 있어도 부적절하게 평가하지 않으며, 꼬리가 돌돌 말려 있거나 고리처럼 둥근 형태는 부적절하다.
► 사지 : 앞다리의 전체적인 모습은 일자로 뻗어 있으며, 넓적하고 평평하다. 어깨는 뒤로 충분히 젖혀져 있고, 양쪽 어깨뼈의 간격이 너무 넓지 않아야 하며, 어깨가 두껍거나 일자로 뻗은 경우 부적절한 요소로 평가된다. 무릎은 너비가 충분히 길어야 한다. 전완은 너비가 충분히 길어야 하며, 앞발은 작고 다부진 모양으로 발가락은 꼭 쥐고 있는 형태이며, 발톱은 단단한 편이다.
뒷다리의 전체적인 모습은 엉덩이부터 비절까지 상당히 길며, 뼈가 넓적하고 납작하다. 무릎은 충분히 굽어 있으며, 뒷발은 작고 다부진 모양으로 발가락은 꼭 쥐고 있는 형태이며, 발톱은 단단한 편이다.
► 털과 색 : 털은 덥수룩한 편이지만 숱이 과도하게 많지는 않으며, 양털처럼 곱슬곱슬한 형태는 부적절하고 하고, 굵은 털이 피부에 밀착되어 불규칙하게 덮여 있는데 만져보면 거칠고 빳빳한 느낌이 드는 것이 적절하다. 몸통, 목, 다리의 털은 거칠고 뻣뻣하며, 길이는 8~10㎝ 정도이다. 머리, 가슴, 복부에 덮인 털은 그보다 훨씬 부드러운 편이고, 그리고 귀에 난 털은 부드럽고 윤이 나며 만지면 쥐 털처럼 느껴진다. 머리, 가슴, 배에 난 털은 좀 더 부드럽고, 앞다리와 뒷다리 안쪽에는 장식 털이 약간 형성되어 있으며, 대게 앞다리와 뒷다리에 난 털은 술 장식처럼 보인다.
모색은 진한 청회색(dark blue-grey), 진한 회색이나 옅은 회색(darker and lighter grey), 얼룩무늬(brindle), 황색, 적색을 띄는 황갈색(sandy-red) 또는 황갈색을 띄는 적색(red fawn)에 몸의 말단 부위는 검은색(black)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가슴과 발이 흰색이거나, 엉덩이 끝부분에 흰색이 약간 나타나는 것은 허용되며, 스코티시디어 하운드는 단색 견이 원칙이므로 흰색 부위가 좁을수록 좋다. 두 눈 사이에 흰색 띠(white blaze)가 형성되거나 목덜미에 흰색 깃 모양의 털(white collar)이 형성된 경우에는 부적절한 요소로 평가된다.
► 걸음걸이 : 걸음걸이는 편안하고 활기차게 안정적으로 걷는 편이며, 보폭이 넓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