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역사 남초 南楚 기원전 907년~951년 5대10국 오대십국 십국 十国 할거정권
출처:바이두백과 소스:이페어케이
남초 南楚 (5대 10국 시절 남할거정권)
남초(907년—951년 [3]), 오대 십국시 남방십국(方十國)의 하나로 역사상 유일하게 호남(湖南)을 중심으로 건국된 정권을 사명(史名)은 마초(馬草), 일명 남초(南草)로 하고, 담주( 潭州, 지금의 장사)를 수도로 하였다. 【4】 마은이 초왕을 봉한 것은 907년, 남초는 44년, 마은이 호남을 할거한 것은 896년부터 56년이다.
초나라 창건자는 허주 비야릉(지금의 하남 비야릉) 인마은( 人马 殷)이었다.[5] 건녕 3년(896년)마은지장사(馬恩至長沙)가 무안유(武安遺)된 이후 당(唐)은 그를 담주 자사( 刺史)에 임명하고 호남군부사를 판결했다. [1] 건녕 4년(897년)에 당소종은 무안군 절도사에 마은을 임명하였다. 【6】그는 호남 내의 할거 세력을 하나하나 토벌하여 섬멸하고 호남을 통일하였다.후량개평 원년(907년)에 주온은 마은을 초왕으로 봉했고 [7] 후당 천성 2년(9년)27년) 초나라를 건국하고 [8] 담주를 도읍으로 하여 장사부(長沙府)라 개명했다. [9] 마은이 정치적으론 난군(亂軍)·외어강번(外御强藩)을 다스리면서 사회경제는 비교적 빠르게 발전했다.장흥 원년(930년) 마은졸(馬恩 诸), 유명제자(遺命帝子), 형제들의 뒤를 이어 마희성(馬熙聲)이 즉위하여 사치스러웠으며, 마희범(馬熙範)의 습격 이후 오랫동안 재위(在位)가 형성되고 형제간 다툼이 일어나면서 마초 정권은 서서히 몰락하였다.천복십이년(947년) 희범졸, 마씨 형제가 잇따라 전쟁을 치렀고 호남대란이 일어났다. [10] 951년 남당파 대장인 변호가 장사를 공격하자 남초는 죽었다. [11-12]
남초 전성기에는 1부 1감 27주(州), 즉 29주(州), 부(府), 감(監)을 관할하였다.영현106. [13] 무안·무평·정강 등 5개 축진을 거느린 이곳은 현재 호남 전역과 광서 대부(大部), 구이저우 동부, 광둥(廣東) 북부다. [14] 남초는 건국 초기부터 '상봉천자(上奉天子)'의 정책을 따랐는데, 마희악(馬喜臣)이 남당(南唐)에 신하(臣)를 부른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5대 왕조를 종주국으로 인정했다. [15]
남초 정권은 호남에서 전국 때 초나라, 한나라 장사국 이후 세 번째로 짧은 번영을 구가했다.한편으로는 지역 자원을 십분 활용하여 농업을 위주로 한 사회 경제를 발전시켰다한편으로 교육을 주창하고, 샹추 문화를 계승 발전시켰다. [16]
중국어명 남초 별마초 수 도장사부(담주) 주요도시 형주영주·도주·청주·천보철전·개원통보연전·건원중보연전 등 국가수령 마은·마희성·마희범 등 국토면적 39만7000㎢(943년)가 남당에 망했다.
카테고리
1 역사
▪ 당말난정
▪ 마은입상
▪ 남초 건국
2 정치
▪ 중앙관직
▪ 절도사
▪ 지방 관직
3경제
▪ 비즈니스
▪ 세금징수
▪ 머니
4 군사
5 제왕 가계
역사
당말 난정
마은래호남 이전에는 호남이 주축이 된 마초 통치 구역에서 당나라 유산남도, 강남도를 경험하였다.화령남도 관할, 당 중기(현종 시기) 강남 서도, 験중도, 岭中道와 岭南東部 관할로 구역이 나뉘어져 있다가 안사의 난 뒤에 어악관찰사, 호남관찰사, 계관관관찰사, 행정구획이 가늘어지고, 당말의 무안절도사, 무정절도사, 정강절도사가 되었다.이 지역이 당나라의 중앙 통제를 벗어나 갈수록 뚜렷해지고, 독립 추세가 강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은래호남 이전에는 호남에 주로 무안절도사 등처눌, 정강절도사 유사정, 무정절도사가 있었다레이만 등 몇몇 세력은 복잡하기 짝이 없다.세 절도는 각각 독립된 정치세력으로서 당 왕조의 통치는 유명무실했다.그러나 등처눌은 호남의 주(主)로 명명하였으나, 실제로 장악한 것은 담(담)·소( 两) 두 주뿐이었으며, 군장도 많지 않아 실력이 부족하였고, 레이만은 야만족으로 시작하여 사방에 약탈을 일삼았으며, 성숙정권을 경영할 의도는 없었지만, 독립적으로 발전하여 어느 한쪽에 할거하였다.용관과 풍관이 있었고, 북쪽에 무안절도사가 있어 근거군의 자수에 속하였다.호남 곳곳의 지방 적수는 각 군에 따라 세력이 약했다.호남 각지의 야만족들은 활동지역이 대부분 험준하고 내지와 많이 왕래하지 않지만, 때로는 초나라의 변방을 침범하여 이후의 마초 정권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당말 호남 지역은 그야말로 지리멸렬하고, 지방 세력이 점차 대두하였으나, 각 방면에서 할거 세력 자체의 실력은 없었다.호남 전체를 장악하기에는 역부족이었고, 각 독립세력의 힘이 약해 다른 강한 군사력에 쉽게 정복당할 수 있었기 때문에 당시 호남의 정세는 장서를 거쳐 온 채주군단에 편승했다.
말은 상나라에 들어가고, 말은 상나라에 들어간다.
경복궁 원년(892년)에 채주군의 장수 손유전이 죽으면 그 병사는 양행밀에 항복할 것이요, 오직 유건만이다.예봉과 마은은 여중둔천(여중둔천)을 받고 남쪽으로 장시(江西)를 가다 10만 명 정도였다.건녕 원년(894년)에 유건봉과 마은이 채주군단을 이끌고 루링에서 호남으로 진출하면서 호남의 각 세력 정복에 나섰다.건녕 3년(896년)에 유건봉은 부하들에게 죽임을 당하고, 장은 마은을 주(主)로 삼았다.건녕 3년 8월 마은판호남군부사, 광화문 원년(898년) 진무안군 절도사, 무안군 절도사는 당시 호남지역의 최고 행정기관으로 호남의 다른 각 군 절도사를 관할했다.개평 원년(907년) 주온건량(朱溫建梁)은 마은을 초왕으로 삼았다.『십국춘추』 권6고지 『무목왕세가』에는 개평 2년(908) 9월에 "왕주는 땅이 넓고, 안민예사는 호남수안"이라고 기록돼 있다. [17] 마은은 894년부터 서기 908년 14년까지 정권을 수립하고 안정시키는 데 사용되었다.
건녕 원년(894년)에 유건봉과 마은이 덩처눌을 죽여 무안류라 칭한 후, 장려본 덩처눌이소주가 지휘사를 지휘하고 유건봉이 항복하자, 등씨가 죽자 장려구는 소주의 자사가 되어 허락하지 않았기 때문에, 소주에 근거하여 비산·매산을 연거하여 군사를 일으켜 구상담을 일으켰다.양·당·채·진·노씨 등은 모두 지방에서 도적이 많고 실력이 제한되어 있으며, 마은은 이경·진언교·장도영·이당 등 채주군의 공격을 받아 2년 동안 형·영·도·감·련 등 오주가 모두 마은의 손에 들어갔다.
천복 원년(901년) 무정절도로 뇌만사를 당하자 자언위는 뒤에 남아 낭주의 사물을 주장하였으나그는 부풍을 답습하여 늘 형과 악 사이를 노략질하였다.개평 원년(907년) 무렵, 그 아우인 언공이 쫓겼고, 개평 원년, 레이옌이 무정 절도사를 습격하였으나 언공은 화형호(禍形), 호(湖)를 공격하였다.후량견마은(後梁 合力馬恩)과 고계창(高啓昌)이 힘을 합쳐 공격하자, 개평 2년(908)에 진언오(秦彦晤)가 낭주를 공격하고 언공이 회남으로 달려갔다.마씨드랑주는 무정군을 영순군으로 개칭했다.
개평 4년(910년)에 진주의 만묘송우, 정주의 만묘판 김성거가 위험을 무릅쓰고, 여러 차례 침범하여 소란을 피웠다.마은은 변경에서 여사주를 보내 격지하여 건화 원년(911년)에 반을 무강에서 건성시켰다.건화 2년, 진주의 만묘송예, 서주의 만묘창은 모든 군사를 거느리고 초나라로 내려갔다.길주자사 팽이, 세거적석동을 묘호, 종전 강서, 그의 동생 펑알린을 길주자사로 하고, 그 후 팽이대신 종전사로 죽은 후, 개평 3년(909) 7월에 수천 명의 장수들이 마인에게 귀순하였다.『구국지』 권11에 따르면, 펑은 호남에 진거하려고 했는데, 천우 3년(906년) 12월에 오망을 보내고, 이서청은 마은에 강하했다.나중에 돌아와서는 호남을 부도덕하게 여겨 그 족속과 부중을 수천 명이나 거느리고 말초에게 시집갔다.
남초는 나라를 세웠다.
907년 후량(後梁)은 마은(馬恩)을 초왕으로 봉하면서 호남에 대한 할거를 인정했다. [7] 927년,마은은 조정체제를 본떠서 장사부(長沙府)로 개간하여 국도(國都)로서 장사성 안에 궁궐을 짓고 백관을 두었으며, 명실상부한 독립왕국을 건설하여 5대시대 10개의 봉건할거국가 중 하나가 되었다.
930년 마은사가 죽고 마은차자 마희(馬希)가 뒤를 이었다.마희성사 932년, 마은의 넷째 아들 마희범후계. 947년 마희범이 죽고 마희광은 즉위했다.949년 마희악이 기병하여 자리를 잡았고, 이듬해 마희광병이 패하여 피살되었다.이에 마희악은 스스로 초왕으로 군림하였다.그러나 마희악이 된 지 불과 89개월밖에 안 된 초는 동생 마히숭의 쿠데타로 무너졌다.949년에서 951년 사이에 벌어진 이 왕위쟁탈전은 망아지쟁조로 불렸다.
951년 11월 남당은 초내란을 틈타 대장 변호솔병을 시켜 장사를 공격해 일거에 멸망시켰다. 【11-12】남당이 아직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마은구(馬恩舊)의 장수 류옌(劉言)이 다시 기병하여 남당군을 격파하고 호남을 점령하였다.
정치
중앙 관직
천성 2년(927년) 8월"초나라 왕 은시건국, 입궁전, 백관을 두는 것은 모두 천자와 같다.한림학사는 문원학사, 지제고는 지사제, 추밀원은 좌우기요사, 군하들은 전하, 영은 교라 부른다.야오옌장을 좌승상으로, 쉬더를 우승상으로, 리펑을 사도로, 최영을 사공으로, 다쿠바를 사신으로, 장옌야오·장잉판 기요사를 사신으로 삼았다. [18] 《십국춘추》 권1〇4 《십국백관표》에 기록된 바에 따르면 중앙에 공(公)을 설치하였다고 한다.", 좌승상우승상·복사·태보·시중·평장사 등의 직위는 우대하되, 다른 관직을 겸하지 않는 한 실질적인 권한이 없다.6부에 병부와 예부가 기록되어 있다.한편 '판기요사'는 마초(馬草) 특유의 벼슬로 '추밀원( 。密院)'처럼 군사력을 장악한 것은 아니었으며, 사료(史料)에는 장언요(張彦瑶)와 장잉(張 。)의 다른 활동이 기록되지 않았다.
절도사
마초 정권에는 둔이 있던 담주 무안 절도사 외에도 낭주에 있던 영순군 절도사가 있었다.사, 계주에 설치된 정강군 절도사와 용주에 설치된 영원절도사는 건화 원년(911년) 12월에 건화 원년 유에게 넘겨졌고, 이후 마초는 허위로 이 직위를 영위하였다.
지방 관직
마추의 지방제도는 당나라를 그대로 답습한 절도사-주-현 3급 체제였다.주는 주 자사의 주요 역사를 가지고 있다.관에는 별가·장사·사마 등이 따로 있고, 현에는 현령으로 승·주부·위를 두었다.또한 기미부주, 마초에는 소수민족이 많으며 서주자사와 예주자사, 그리고 계주자사도 그러하다
경제
상업
사료에 의하면, 말은이라고 한다."흙이 이미 넓었으니, 길러야 한다.사식민'은 정치적으로 천자를 받들고 사민을 보듬어 주는 국경과 백성을 보호하는 정책을 채택하였기 때문에 동시에 농상 장려, 찻잎 발전, 방직, 상업 무역 중시를 봉행하였다.마추는 호남이 남방의 각 정권 중심에 있는 지리적 이점을 이용해 중원과 주변의 상업무역을 크게 발전시키고, 관세 면제를 채택하며, 수출입 무역을 장려하여 각국의 상인을 끌어들였다.『십국춘추·초무목왕세제』에는 "시왕관시(時王關市)에 정(定)이 없고, 사방상여(四方商)이 풍파를 들었다"고 적혀 있다.
마초 정권이 흥정을 중요시하기 때문이다.정책, 그때의 담주이미 남방의 최대 차시장이 되었고, 도시화 수준은 비교적 큰 발전을 이루었다.당시에 수공업과 야업도 비교적 발달했는데, 이때에 "국민에게 세금을 내는 자는 모두 백으로 돈을 대신하라"고 명령한 후 "민간기시대성"을 채택하였으며, 장사면방직업도 마초시대부터 시작하여 그 시기 초지에 이미 면화를 심었기 때문에 호삼성의 "목면"이 오늘날에는 남쪽에 많이 있다.봄에 뙈기를 만들어 심으면 여름과 가을이 되어 교제가 단단해지고, 가을에 이르면 사실 겉껍질이 사방에 갈라져 많은 사람이 끊이지 않는다.토인은 취방하여 천을 짜서 가늘고 따뜻하여 어동(御東)이 적당하다."야광업에 있어서 초나라 시대.담주 경내의 단사광산의 채굴이 한때 유행하자, 주의 동경산이 붕괴하여 "단사가 솟아올라 구릉처럼 쌓였다"고 하여, 주로 도료용으로 사용되었던 초왕 마희범 단사의 도벽, "무엇을 쓰든 수십만 근"이라고 한다.
조세
차 세금은 당시 남초주였다세입원이어야 되므로정부의 매년 세수는 모두 백만 위안이다.마초 정권은 찻잎 생산과 무역을 촉진하기 위해 '자조차(自造茶)', '차북객(茶北客)' 등 민간의 차 제조를 '통상여단'으로 확대했다.또 마초 정권은 전국 각지에 상업용 잔(회도무)을 설치하고 상인을 조직해 찻잎(차상호 '팔상주')을 구입해 중원 지역에 판매하던 상인들을 전마와 견직물로 돌려보냈다.
화폐
상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말이죠.은채납대신의납 개원통보, 철전건봉천보배천, 배책 등 납 주조, 철전화가 유통될 것을 제안했다.연철전화가 둔하고 휴대하기 불편하여 해외무역을 할 때 대부분 "무용"으로 초나라에서 많은 제품을 구입하여 각지로 판매하는데, 초나라에서 생산한 제품은 "역천하백화점"을 통해 초나라가 부유하게 된다.당시 초나라 찻잎은 주변과의 주요 무역상품이었다. [19]
군사
마초군사의 관직은 재위하고 있다.모든 관직 중에서 가장 높게 설정많음, 가장 복잡함. 엄선생은 무직의 요좌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왕종이라고 여겼다. 병마사직은 병사를 다스리고 전투를 벌이며, 압아직은 친종, 금위, 우후는 군기정련, 간교, 1사외, 1위내, 1감찰은 그 직책을 3분씩 나누어 군무를 함께 수행한다.병마사는 도지병마사가 가장 길고, 우후는 도우후가 가장 길며, 압아는 늘 좌우로 나뉘어 압아된다.마초 군호는 말(馬)·보(步)·수(水) 제군(制軍)이 다 갖추어져 있고, 치군(治軍)도 설치되어 있어 장관들이 이를 내통하여 지휘사( 。內司)라고 불렀다.《구당서》 중 "도지휘사"에 관한 기록은 《낙언돈전》에 있다.'언은 6주도 지휘사라는 명을 받고 몇 안 돼 상주 자사를 겸하고 있다'는 내용이다. [20] 자치통감(資治通監)에서 도지휘사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여정이 절제를 도지휘사, 지커장(齊克將)이 황소를 연주하여 천대장군을 칭하였다"는 것이다. [21] '도지휘사'는 만당, 특히 오대에 흔히 볼 수 있는 무직이다.두문옥은 "모두 지휘는 군사체제로서 크게 네 단계이다. 첫째는 주(州)와 읍(鎭)의 수도(都) 지휘사, 둘째는 방진(方鎭)의 수도 지휘사, 셋째는 중앙 금군(禁軍)계통의 수도 지휘사, 넷째는 행군 통수권자의 수도 지휘사" [22]라고 주장했다.그는 도지휘사를 절도사 소속의 가장 중요한 장령으로 꼽고 군대를 통솔하며, 제지휘사 중 이마보군도지휘사(以馬步軍都 。使)와 이치내도( 。內都)지휘사(都 。使)의 권임이 가장 무겁다고 했다.두문옥 선생은 마초병제에 대한 연구중에 있다.소개, 마초 결승전장직, 형산, 강노, 전멸, 의승, 은총, 정강 등의 군대, [23] 제군 지휘사는 각 군대의 지휘 장관이 되었다.
마추의 관직에는 '육이 있다군사'의 설정, 5시대 각 정권의 금군은 흔히 6군과 시위친군 두 종류로 나뉘는데, 6군의치는 당나라를 습격한 것으로 후량에는 좌우천위, 좌우용호, 좌우천무, 좌우우림, 좌우영무, 좌우신무 등 6군이 설치되어 있다.《자치통감》 권276에 천성 2년(928년) "초왕은 악주처럼 은여악하고, 6군은 원도, 부사왕환, 감군마희첨은 수군을 형남으로 격파한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24] 권278에 장흥 3년(932년) "희성졸, 6군은 원론, 반요 등 영진남절을 기록하였다.도사 희범이 랑저우에 세웠다"고 주장했다. [25] 그러므로 마초(馬草)에 관한 사료에는 이 6군들의 구체적인 명칭이 기록되어 있지 않고, 패부에 소속된 1개 군대 혹은 수비절도사의 중책을 가리키는 '6군사'만 보인다.
제왕 가계
谥号姓名生卒年份在位时间备注
文肃王 | 马筠 | - | 马殷称楚国王时追封 | |
庄穆王 | 马正 | - | 马殷称楚国王时追封 | |
景庄王 | 马元丰 | - | 马殷称楚国王时追封 | |
武穆王 | 马殷 | 852——930 | 927年8月-930年11月 | 后梁开平元年封楚王 后唐天成二年封楚国王 |
马希声 | 898——932 | 930年11月-932年7月 | 未称王,仅称武安、静江节度使 后唐长兴三年追封衡阳王 | |
文昭王 | 马希范 | 899——947 | 932年8月-947年5月 | 后唐长兴三年封楚王 |
马希广 | ?——950 | 947年5月-950年12月 | 后汉天福十二年封楚王,史称废王 | |
恭孝王 | 马希萼 | 900——953 | 950年12月-951年9月(271天) | 南唐保大九年封楚王 |
- | 马希崇 | 不详 | 951年9月-10月(26天) | 未称王,仅称武安留后,史称后主 |
注:초나라를 세운 마은실제 896년부터 할거, 역대 군주는 중원 연호를 그대로 따왔다.
2.
마희광은 후한 건우 3년(950년) 12월 12일에 마희악에 잡혀, 합양되었다.951년 1월 22일을 경과한 후, 이틀 후에 마희악이 왕위에 올랐다
南楚 (五代十国时期南方割据政权)
南楚(907年 [1-2] —951年 [3] ),五代十国时期南方十国之一,历史上唯一以湖南为中心建立的政权,史称马楚,又称南楚,以潭州(今长沙)为首都。 [4] 自907年马殷受封楚王开始,南楚共44年,若从896年马殷割据湖南开始计,为56年。
楚国创建者是许州鄢陵(今河南鄢陵)人马殷, [5] 乾宁三年(896年),马殷至长沙,自为武安留后,唐朝任命他为潭州刺史、判湖南军府事。 [1] 乾宁四年(897年),唐昭宗任命马殷为武安军节度使。 [6] 他逐个讨伐消灭了湖南境内的割据势力,统一了湖南。后梁开平元年(907年),朱温封马殷为楚王, [7] 后唐天成二年(927年)建立楚国, [8] 以潭州为都城,改名长沙府。 [9] 马殷在政治上内靖乱军、外御强藩,使社会经济得到了较快的发展。长兴元年(930年),马殷卒,遗命诸子,兄弟相继,马希声随即继位,希声奢侈无度,马希范袭位后在位时间较长,期间出现兄弟内争,马楚政权已经慢慢走下坡路。天福十二年(947年)希范卒,马氏兄弟相继为战,湖南大乱。 [10] 951年,南唐乘机派大将边镐攻下长沙,南楚亡。 [11-12]
南楚全盛时,辖1府1监27州,即29州、府、监。领县106。 [13] 下设武安、武平、静江等5个节镇,即今湖南全境和广西大部、贵州东部和广东北部。 [14] 南楚在建国之初就奉行“上奉天子”的政策,除马希萼向南唐称臣外,其余都承认五代各朝为宗主国。 [15]
南楚政权创造了湖南自战国时的楚国、汉代长沙国后的第三次短暂繁荣。一方面充分利用地方资源,发展了以农业为主的社会经济。另一方面倡导教育,继承和发展了湘楚文化。 [16]
中文名南楚 别 名马楚 首 都长沙府(潭州) 主要城市衡州、永州、道州、郴州 货 币乾封泉宝铁钱、开元通宝铅钱、乾元重宝铅钱等 国家领袖马殷、马希声、马希范等 国土面积39.7万平方公里(943年) 亡 于南唐
目录
1 历史
▪ 唐末乱政
▪ 马殷入湘
▪ 南楚建国
2 政治
▪ 中央官职
▪ 节度使
▪ 地方官职
3 经济
▪ 商业
▪ 税收
▪ 钱币
4 军事
5 帝王世系
历史
编辑
唐末乱政
在马殷来湖南之前,以湖南为主的马楚统治区域,经历了唐朝由山南道、江南道和岭南道管辖,唐中期(玄宗时期)江南西道、験中道和岭南道东部管辖,区域分隔更明显,再到安史之乱后建立鄂岳观察使、湖南观察使和桂管观察使,行政区划更细,再到唐末的武安节度使、武贞节度使、静江节度使。可见这块区域脱离唐朝中央控制愈来愈明显、独立趋势愈强。
马殷来湖南之前湖南主要有武安节度使邓处讷、静江节度使刘士政、武贞节度使雷满等几种势力,可谓纷繁复杂。三个节度使各自为政,实际上己是独立的政治势力,唐王朝的统治是名存实亡。然而邓处讷名为湖南之主,但实际所控只有潭、邵两州,且本身军将不多,实力不足;雷满以蛮族起家,领着蛮军四处抢掠,并无经营成熟政权之意,但也独立发展、割据一方;刘士政南有容管和豊管,北有武安节度使,属于据军自守。湖南各处的地方贼帅各自据郡为帅,势力薄弱。湖南各地蛮族活动区域较大也大都据险自守,与内地往来不多,但有时"侵扰楚边",对后来的马楚政权有着很重要的影响。
唐末湖南地区可谓分崩离析,地方势力逐步兴起,但是各方割据势力自身实力不够,还不足以控制整个湖南地区,并且正因为各独立势力实力较弱,所很容易被其他较强的军事势为所征服,因此当时湖南的政治局势就给经由江西过来的蔡州军团可乘之机。
马殷入湘
景福元年(892年),蔡州军将孙儒战死后,其兵将多投降于杨行密,惟刘建锋和马殷收余众屯千,南走江西,后来规模至十万左右。乾宁元年(894年),刘建锋和马殷带着蔡州军团从缕陵进入湖南,随后开始征服湖南各方势力。乾宁三年(896年),刘建锋被部下杀死,张估推马殷为主。乾宁三年八月马殷判湖南军府事,光化元年(898年)进武安军节度使,武安军节度使是当时湖南地区最高行政机构,辖管湖南其他各军节度使。开平元年(907年)朱温建梁,以马殷为楚王。《十国春秋》卷六古《武穆王世家》中记载,开平二年(908年)九月"王主地既广,息民礼士湖南遂安"。 [17] 从894年到公元908年十四年时间,马殷用来建立并稳定政权。
乾宁元年(894年),刘建锋和马殷杀死邓处讷自称武安留后,蒋励本邓处讷邵州指挥使,后降刘建锋,邓氏死后,蒋励求为邵州刺史,不许,故据邵州,连飞山、梅山蛮起兵寇湘潭,马殷破之。杨、唐、蔡、陈、鲁氏等皆地方贼帅,实力有限,马殷遗李琼、秦彦巧、张图英、李唐等蔡州军将攻之,两年内衡、永、道、柿、连等五州悉数入马殷之手。
天复元年(901年)武贞节度使雷满死,子彦威自称留后,主掌朗州事物,但他沿袭父风,常焚掠荆、鄂之间。大约开平元年(907年)左右,彼弟彦恭所逐,开平元年,雷彦恭袭任武贞节度使,彦恭依旧攻于焚掠,为祸荆、湖。后梁遣马殷和高季昌合力攻讨,开平二年(908年)秦彦晤攻破朗州,彦恭奔淮南。马氏得朗州后,奏改武贞军为永顺军。
开平四年(910年),辰州蛮苗宋邮,靖州蛮苗潘金盛据险自居,数次侵扰楚的边境,马殷遣将吕师周击之,乾化元年(911年),斩潘金盛于武冈。乾化二年,辰州蛮苗宋邺、溆州蛮苗昌师益皆帅众降于楚。吉州刺史彭玕,世居赤石洞为苗豪,钟传据江西,以其弟彭碱为吉州刺史,后以彭玕代之,钟传死后,开平三年(909年)七月帅众数千人归附马殷。据《九国志》卷十一的记载,彭玕本想进据湖南,天佑三年(906年)十二月遣敖瞻、李绪请降于马殷,目的是探湖南虚实。瞻等回来后,认为湖南不可图,之后才帅其族和部众数千归附马楚。
南楚建国
907年,后梁封马殷为楚王,承认其对湖南的割据。 [7] 927年,马殷仿效朝廷体制,改潭州为长沙府,作为国都,并在长沙城内修宫殿,置百官,建立了一个名副其实的独立王国,成为五代时期10个封建割据国家之一。
930年马殷死,马殷次子马希声继位。932年马希声死,马殷第四子马希范继位。947年马希范死,马希广继位。949年马希萼起兵夺位,次年马希广兵败被杀。于是马希萼自立为楚王。但马希萼仅当了八九个月的楚王又被弟弟马希崇发动政变推翻。949年到951年的这段争夺王位的战争,被称为众驹争槽。
951年11月,南唐乘楚内乱,派大将边镐率兵攻占长沙,一举灭楚。 [11-12] 南唐还未站稳脚跟,马殷旧将刘言又起兵击败了南唐军,继续据有湖南。
政治
编辑
中央官职
天成二年(927年)八月"楚王殷始建国,立宫殿,置百官,皆如天子,或微更其名:翰林学士曰文苑学士,知制诰曰知辞制,枢密院曰左右机要司,群下称之曰殿下,令曰教。以姚彦章为左丞相,许德就为右丞相,李锋为司徒,崔颖为司空,拓跋恒为仆射,张彦瑶、张迎判机要司。" [18] 根据《十国春秋》卷一〇四《十国百官表》中记载,中央设置公"、左丞相、右丞相、仆射、太保、侍中、平章事等职位,但多是优待,并无实际权力,除非兼任其他官职。史料记载六部中有兵部、礼部。另外"判机要司"是马楚特有的官职,并非真如"枢密院"那样掌军事,史料中均未记载张彦瑶和张迎的其他活动。
节度使
除了马楚政权中屯、所在的潭州武安节度使外,马楚还有设在朗州的永顺军节度使、设在桂州的静江军节度使和设在容州的宁远节度使,但宁远军节度使在乾化元年(911年)十二月被刘䶮所得,此后马楚一直虚领此职。
地方官职
马楚的地方制度沿袭唐朝,是节度使—州—县三级的体制。州以州刺史为主要长官,另有别驾、长史、司马等;县有县令,设丞、主簿、尉。另外还有羁糜府州,马楚境内少数民族众多,溆州刺史和邺州刺史以及溪州刺史都是如此。
经济
编辑
商业
据史料记载,马殷“土宇既广,乃养士息民”,由于政治上采取上奉天子、下抚士民的保境息民政策,同时奉行奖励农桑、发展茶叶、倡导纺织、重视商业贸易。马楚利用湖南地处南方各政权中心的地理优势,大力发展与中原和周边的商业贸易,采取免收关税,鼓励进出口贸易,招徕各国商人。《十国春秋·楚武穆王世家》载:“是时王关市无征,四方商旅闻风辐。”
由于马楚政权重商政策,那时的潭州已成为南方最大的茶市,城市化水平有了较大的发展。当时手工业和矿冶业也比较发达,其时采取“命民输税者皆以帛代钱”后“民间机抒大盛”,长沙棉纺业也始于马楚时期,其时楚地已种棉,故有胡三省之“木棉,今南方多有焉。于春中作畦种之,至夏秋之交结实,至秋丰其实之外皮四裂,中踊出自如绵。土人取而纺之,织之以布,细密厚暖,宜以御冬。”矿冶业方面,楚时潭州境内丹砂矿的开采风行一时,据说州的东境山崩,“涌出丹砂,委积如丘陵”,主要用于作为涂料之用,楚王马希范丹砂涂壁,“凡用数十万斤”。
税收
茶税为当时南楚主要税收来源,因此政府每年税收“凡百万计”。为促进茶叶的生产与贸易,马楚政权采取“令民自造茶”、“听民售茶北客”的宽松政策,让百姓自己制造茶叶“以通商旅”。同时,马楚政权全国各地设置商业货栈(回图务),组织商人收购茶叶(茶商号“八床主人”),销往中原地区的商人,换回战马和丝织品。
钱币
为了发展商业,马殷采纳大臣高郁的建议,铸造铅、铁钱币在境内流通,如铅钱开元通宝、铁钱乾封泉宝背天、背策等。由于铅铁钱币笨重,携带不便,商旅出境外贸易,大都“无所用钱”,往往在楚就地购买大量产品销往各地,这样楚地境内生产的产品通过“易天下百货”,楚因而变得富饶。当时楚国茶叶为与周边的主要贸易产品。 [19]
军事
编辑
马楚军事的官职在所有官职中设置最多、最复杂,严先生认为武职僚佐中最重要的有王种:兵马使职在治兵、作战,押衙职在亲从、禁卫,虞候在整军纪、刺奸滑;一司外,一卫内,一督查,三分其职,共治军务。兵马使以都知兵马使为最长,虞侯以都虞候为最长,押衙常分左右押衙。马楚军号繁多,马、步、水诸军齐全,另外还置牙军,其长官称牙内都指挥使。《旧唐书》中关于"都指挥使"的记载在《乐彦顿传》中"彦被因命为六州都指挥使,未几又兼相州刺史"。 [20] 《资治通鉴》中关于"都指挥使"的最早记载是"汝郑把截制置都指挥使,齐克让奏黄巢自称天大将军"。 [21] "都指挥使"是晚唐尤其是五代常见的武职。杜文玉认为"都指挥使从军事体制上大体分为四个层次:一是州镇之都指挥使,二是方镇之都指挥使,三是中央禁军系统之都指挥使,四是作为行军统帅之都指挥使" [22] 。他指出都指挥使是节度使所属最重要的将领,统帅军队,而诸指挥使中以马步军都指挥使和牙内都指挥使权任最重。杜文玉先生在对马楚兵制的研究中介绍,马楚有决胜、长直、衡山、强弩、战掉、义胜、银枪、静江等军队, [23] 诸军指挥使为各军队的指挥长官。
马楚官职中有"六军使"的设置,五代时期各政权的禁军常分为六军和侍卫亲军两类,六军之置是因袭唐朝,后梁有设左右天威、左右龙虎、左右天武、左右羽林、左右英武、左右神武等六军。《资治通鉴》卷二七六中记载,天成二年(928年)"楚王殷如岳州,遣六军使袁途、副使王环、监军马希瞻将水军击荆南", [24] 卷二七八中记载长兴三年(932年)"希声卒,六军使袁论、潘约等迎镇南节度使希范于朗州而立之。" [25] 因此有关马楚的史料中未见这些六军具体名称的记载,只见"六军使",盖是隶属于霸府的一支军队抑或有着守卫节度使的重任。
帝王世系
谥号姓名生卒年份在位时间备注
文肃王 | 马筠 | - | 马殷称楚国王时追封 | |
庄穆王 | 马正 | - | 马殷称楚国王时追封 | |
景庄王 | 马元丰 | - | 马殷称楚国王时追封 | |
武穆王 | 马殷 | 852——930 | 927年8月-930年11月 | 后梁开平元年封楚王 后唐天成二年封楚国王 |
马希声 | 898——932 | 930年11月-932年7月 | 未称王,仅称武安、静江节度使 后唐长兴三年追封衡阳王 | |
文昭王 | 马希范 | 899——947 | 932年8月-947年5月 | 后唐长兴三年封楚王 |
马希广 | ?——950 | 947年5月-950年12月 | 后汉天福十二年封楚王,史称废王 | |
恭孝王 | 马希萼 | 900——953 | 950年12月-951年9月(271天) | 南唐保大九年封楚王 |
- | 马希崇 | 不详 | 951年9月-10月(26天) | 未称王,仅称武安留后,史称后主 |
注:楚的建立者马殷实际自896年开始割据,历代君主均沿用中原年号
2.
马希广于后汉乾祐三年(950年)十二月十二日被马希萼所擒,合阳历951年1月22日,两日后马希萼登楚王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