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www.sme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0168
정부가 태영건설 워크아웃을 계기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과 연관된
부실기업 정리 의사를 보이면서 그 여파가 어디까지 미칠지 주목되고 있다
28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부동산 PF 대출잔액 규모는
130조원 중반이며 이중 브릿지론이 약 30조원, 본 PF가 약 100조원 정도로 추정된다.
국내 PF 시장은 착공 이전 단계에서 시행사가 토지매입을 위해 조달하는 자금인 브릿지론과
사업 인허가와 시공사 선정이 이뤄진 이후 브릿지론 상환과 건축비용 조달을 위한 본 PF를 기반으로 한다.
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증권사 등 제2금융권에서 취급한 PF의 만기 연장 비율은
브릿지론은 70%, 본 PF는 50%로, 이는 부동산시장 회복이 지연될 경우
부실 발생 규모가 커질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혁준 나이스 신용평가 금융평가본부장은
"재작년 레고랜드 사태 이후 정부가 수습했고 지난해 PF 대주단 협약 등을 통해
시간을 벌어주는 동안 PF 축소와 정리를 추진했는데 결과적으로 그냥 만기 연장만 하고
별로 줄지는 않았다"며
"계속 이런 방식으로 올해는 갈 수 없다고 보고, 이제 좀 정리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사업성을 엄격히 평가해 충당금 적립을 강화하고,
그렇지 못한 부실 PF는 정리하겠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금융감독원은 지난 25일 캐피탈사와 저축은행 담당 임원을 소집해
본 PF 전환이 안 되는 브릿지론에 대해서는 손실을 100% 인식해 충당금을 적립하라고 전했다.
정부는 공사지연 또는 분양률이 낮은 본 PF 사업장은 단계적인 충당금 적립으로
손실 흡수능력을 높일 것도 주문했다.
금융당국은 충당금 적립 압박을 통해 경공매나 매각 등 재구조화까지 유도하겠다는 계획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브릿지론 상태에서 본 PF로 전환이 안 되고
그냥 계속 지금 시간만 끌고 있는 것들은 충분히 손실 인식을 하라는 것"이라며
"사업장들이 땅이 그대로 있는 상태에서 돈도 묶여 있고 사업도 안되고 하는 상태여서,
그것을 지금 빨리 적정한 가격에 팔고 이를 낮은 가격에 산 사람들이 다시 사업을 진행해야
건설경기가 일어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출처 : 중소기업신문(http://www.sme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