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암리(九岩里)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에 위치한 리(里).
서쪽은 산지이고 동쪽에는 북한강이 있다. 강을 따라 경춘선이 나있고 북쪽에는 대성리역이 가까이 있다.
자연마을에는 갬벌, 매바위 등이 있다. 갬벌은 마을 뒷산에 개암나무가 많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매바위는 매처럼 생긴 매바위가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북한강을 따라 관광지가 조성되어 식당과 모텔 휴게소가 늘어서 있다.
구암리(龜岩里)
경기도 양주시 남면에 있는 리(里).
동쪽으로는 망당산이 위치하며 남쪽에는 효촌저수지가 있다.
자연마을로는 구배미, 큰말, 모래말 등이 있다. 굿배미는 거북과 같은 바위가 있어 구바위라 칭하던 것이 바뀌어 부르게 된 이름이다. 큰말은 구암리에 있는 큰 마을이라 하여 이름 붙여졌다. 모래말은 마을에 모래가 많다 하여 이름 붙여졌다.
남면지방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구암리(九岩里)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국토정중앙면에 있는 리(里).
밭농사를 주로 하는 산지 마을이다. 마을에 거북바위가 있어 거북바우 또는 구암(龜岩)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구암리라 하였다.
자연마을로는 밧막골 등이 있다. 밧막골 막골 바깥쪽에 있는 마을로 외막동(外幕洞)이라고도 한다.
구암리(九岩里)
충청북도 보은군 탄부면에 있는 리(里).
탄부면의 동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구병산, 주산, 운무산이 사방을 감싸며 삼가천이 흘러 보청천과 합쳐진다. 벼를 주로 재배하는 전형적인 농촌 마을이다.
자연마을로는 구바우(龜岩, 九岩, 귀바위, 거북바위), 안말(안뜸), 중관말, 하관말 등이 있다. 구바우는 옛날에 거북처럼 생긴 바위가 있어 거북바위, 구바우 또는 구암이라고 불렸다. 그러던 것이 1914년 행정구역통폐합 때 큰 바위가 아홉 개가 있는 구암(九岩)이라고 변하였다. 안뜸은 구암리 마을중 가장 안쪽에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중관말, 하관말은 각각 마을 중간과 아래쪽에 해당된다.
지석묘군과 가평이씨 비각터가 있다.
구암리(鳩岩里)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에 있는 리(里).
마을 동남쪽에 구암저수지가 있어 영농에 큰 구실을 하며 낚시터로도 쓰인다.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구항리, 무수리, 중암리 일부를 병합하여 구항과 중암의 이름을 따서 구암리라 했다.
자연마을로는 구암, 감자골, 구항, 무수 등이 있다. 구암은 비둘기같이 생긴 바위가 있다 하여, 비둘기 구(鳩) 자와 바위 암(岩) 자를 써서 구암이라 한다. 한때 중암(中岩)이라고도 했다. 병무관(兵武館) 또는 병목안이라고도 하는데, 여기가 신라시대 병무관터라고 하며 화랑들의 연무대(鍊武대)로 사용하였다는 설이 있다. 감자골은 원래 암자(庵子)골이라 불리던 곳이며, 절이 있었던 곳이다.
동쪽으로는 광혜원산업단지가 있다.
구암리(九岩里)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에 있는 리(里).
남쪽에 낮은 산지와 대부분 구릉지이며 북쪽으로 농경지가 펼쳐진다.
자연마을로는 구암리(거북바위, 구암), 부숫골, 새터말 등이 있다. 구암리는 거북바위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고, 부숫골은 뒷산에 연화부수혈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새터말은 구암 서북쪽에 새로 된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혜화학교가 있고 경부고속도로 동쪽에 있으며 남이분기점이 가까이 있다.
구암리(九岩里)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에 있는 리(里).
평지가 대부분의 지역을 이루고 있는 전형적인 농촌 마을이다. 마을 서쪽 뒷편은 산지이며 동쪽으로 용성천이 흐른다. 그 지류가 마을 남쪽으로도 흘러가고 있다.
자연마을로는 구암, 구란이, 당말 마을 등이 있다. 구암 마을은 거북 바위가 있다는 뜻에서 붙여진 지명이며, 구란이 마을은 거북바위 안쪽에 위치한다 해서 이름 붙여지게 되었다. 당말 마을은 작은말 앞들 건너에 있는 마을로 당집이 있었다 해서 당말 마을이라 불린다.
40번 도로가 지난다.
구암리(龜岩里)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에 있는 이(里).
거북모양의 바위가 있어 마을이름을 구암리라 한다. 주변은 낮은 구릉지로 둘러쌓여 있고 구릉지를 지나면 논산평야가 펼쳐진다.
자연마을로는 칠부정이 있다. 귀야앞에 있는 마을로 일곱주의 느티나무가 있다. 고령 김씨들이 이곳에 살면서 가문을 빛냈는데 당시 칠부정에 병부를 걸어놓고 노목인 느티나무 밑에서 장기 바둑을 두며 쉬던 곳으로 지금도 병부 7개를 걸어놓았다는 망부석이 있고 노목인 느티나무가 있는 정자가 있는 곳이라 하여 칠부정이라 부른다.
구암리(龜岩里)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에 있는 리(里)
마을의 뒷산은 낮은 구릉지이며 동쪽으로는 넓은 농경지(구암들판)가 펼쳐지고 그 앞에는 판교천이 흐른다. 본머골, 참자골 등이 있다.
자연마을로는 구암리(거북바위, 구암)이 있다. 구암리는 거북바위가 있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구암리(九岩里)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에 있는 리(里).
봉명산, 수정봉, 수창봉 등의 산으로 둘러싸인 산촌마을이다. 골짜기와 고개가 발달해 있고 평지도 조금 분포한다. 식암리, 구산리, 군대리 등을 병합하여 구산과 식암의 이름을 따서 구암리라 하였는데 거북이 모양의 자연암석이 있어 구암(龜巖)리로 부르기도 한다.
자연마을로는 구암, 거북미, 식암마을 등이 있다. 구암마을은 본 리가 시작된 마을로, 지명 유래 또한 구암리의 그것과 같다. 거북미마을은 거북모양의 산 앞에 자리한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식암마을은 대원군이 친산 참묘차 이곳의 바위에서 쉬어갔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주민은 38가구 약 80여명이 거주하며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한다. 구암리의 소하천이 정비되어 자연친화적인 하천으로 조성되어 있고 구암마을공원이 만들어져 있다. 여름에는 체험마을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도 한다.
구암리(龜岩里)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에 있는 리(里).
구암리는 논이 많은 지역이다. 구암리의 지명은 마을에 거북이처럼 생긴 바위가 있는 것에 연유하여 구암이라 칭하였다.
구암리의 자연마을은 장동, 성재동, 이심동, 마래, 다옥, 구지기, 구수, 용흥 마을이 있다. 마래(馬來)마을은 1600년대에 경주최씨(마래마을의 중시조)가 말을 타고 이 곳을 지나가다 어느 주점에서 하룻밤을 묵었는데 꿈의 선봉을 받고 터를 잡아 마을을 이루게 된 곳이다. 구수마을은 저수시설이 없을 때 9곳에서 물이 흘러 이 물로 농사를 지으니 구시내라고 부르다가 그 뒤에 구수로 개칭하였다. 다옥마을은 용흥 서쪽에 있는 다옥산에 밑에 있는 마을이라 명명되었다. 용흥마을은 뒷산의 형국이 용이 머리를 들고 일어나는 것 같다 하여 용흥이라 명명하였다.
구암리(九岩里)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에 있는 리(里).
마을 전체가 선운산 도립공원의 일부로 산지지형이다.
자연마을로는 반곡, 구암, 노평 등이 있다. 원래는 '사기점'이라 불렸으나 지금으로부터 80여년 전 사기점 흔적이 없어지자, 바위가 많다 하여 9개 바위(안장바위, 선바위, 형제바위, 별바위, 탕건바위, 병바위, 소반바위, 사자바위, 병풍바위)를 뜻하는 '구암' 이라 하였다.
마을의 동쪽에는 농경지가 펼쳐지고 그 앞으로 인천강이 흐른다.
구암리(龜岩里)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에 있는 리(里).
북으로 사가제라는 저수지가 있고 사창산이 있는 낮은 언덕지형이다. 주변은 넓은 평야지대로 농경지가 대부분이다.
자연마을로는 평고, 명당, 거북 등이 있다. 평고는 마을 지대가 평평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기도 하고, 고려시대 평고현의 소재지가 이곳에 있었기 때문에 지어진 이름이기도 하다.
용지면사무소가 있고 용지초등학교가 있다.
구암리(龜岩里)
전라북도 순창군 구림면에 있는 리(里).
서쪽으로 무이산(557m)에서 북쪽으로 뻗어내린 산인 태봉(泰峰,285m) 아래 마을들이 형성되어 있다.
봉곡, 둔기 등의 자연마을이 있다. 봉곡은 한때 사곡(沙谷)이라 불렸는데 그 이유는 태봉에서 서북쪽으로 뻗어내린 산맥이 모래밭에 기러기가 내려앉은 평사낙안(平沙落雁)의 형상이라 이 모양을 따라 사곡이라 불렀다가 그 후 다시 봉곡으로 고쳐 부르게 되었다. 둔기(屯基)는 무이산의. 형상이 장군이 진을 친곳이라 하여 붙여진 것이며 둔터우라고도 불린다.
구암리(九岩里)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에 있는 리(里).
서쪽으로 익산시 왕궁면과 경계를 이루는 낮은 언덕지형으로 밭농사지대를 이룬다. 동쪽으로는 농경지가 펼쳐지고 제네리 탑제에서 흘러내리는 하천이 있다.
자연마을로는 통정, 구정, 원구암이 있으며 이 지역의 으뜸 마을인 원구암의 이름을 따 구암리라 하였다. 원구암 마을의 뒷산에는 거북이 모양의 바위가 있으며, 예전에는 여우가 많이 살아서 여우골이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마을 동쪽에는 전주산업공단이 있다.
구암리(九巖里)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에 있는 리(里).
마을 뒷산에 거북처럼 생긴 큰 바위가 있어 귀암이라 하였으나 아홉 구(九)자를 사용해 구암이라 부르게 되었다. 본래 해안가에 위치한 어촌 마을이었으나 간척사업으로 인해 산업구조가 반농반어로 바뀌었다.
자연마을로는 사동, 하동, 상동, 단장, 내촌이 있다. 사동은 과거에 모래가 인상적이었으므로 지어진 이름이고 하동과 상동은 각각 윗마을, 아랫마을이라 붙여진 이름이다.
활개바위가 유명하며 해안 낚시터가 있다.
구암리(龜巖里)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에 있는 리(里).
사방으로 봉우리와 재, 낮은 산이 있다. 구암리(龜巖里)란 지명은 구암(龜巖) 마을의 이름에서 유래하였다.
자연마을로는 구암, 주산, 축동, 용지가 있다. 구암은 마을에 굴바위가 있었다 하여 이름 붙여졌고, 주산은 마을 뒷산이 배의 형국을 하고 있어서 생긴 지명이다. 축방은 저수지를 막으면서 생긴 제방 부근에 있는 마을이란 뜻에서 방죽골이라 부르던 것을 한자로 표기해 방축동이 되었다. 나중에 이것이 다시 방축으로 축약되었다. 용지는 마을 안 골짜기에 용툼벙이 있는 것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구암리에는 축동제 저수지가 있다.
구암리(龜岩里)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에 있는 리(里).
구릉성 평지에 자리한 마을로, 들이 넓게 펼쳐져 있어 논농사가 주로 이루어지며 마을 왼편으로 작은 하천이 흐른다. 구복동과 가암동을 병합하면서 두 마을의 이름을 따 구암리라 하였다.
자연마을로는 가암, 뽕나무골, 못안, 신동마을 등이 있다. 가암마을은 구암리에서 으뜸되는 마을로, 둘레에 아름다운 바위가 많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뽕나무골마을은 가암 북쪽에 있는 마을로, 본래 뽕나무밭이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못안마을은 청못이라는 연못이 있는 곳이라 하여 칭해진 이름이며, 신동마을은 남쪽에 새로 된 마을이라 하여 불리게 된 이름이라 한다.
구암리( 龜岩里)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에 있는 리(里).
산간지역으로서 능선사이에 좁은 평지에 농경지가 조성되어 있다. 구암이란 이름은 마을 뒷산에 거북모양의 바위가 있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자연마을로는 부처목, 증암, 신현이 있다. 부처목은 임진왜란 당시 한 장군이 이곳을 지나다가 말이 움직이지 않아 주위를 살펴보니 돌부처가 있어 칼로 부처목을 치고 지나갔다 하여 목이 없는 돌부처, 즉 부처목이란 이름이 붙었다. 증암은 마을 입구에 시루떡 같은 암석이 있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또 신현은 새로운 땅이란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구암초등학교가 있다.
구암리(龜岩里)
경상남도 사천시 사천읍에 있는 리(里).
마을 앞으로 중선포천이 흐르며, 비교적 평지에 위치하고 있어 들이 넓다. 신기소류지, 토촌소류지 등이 있는 농촌 마을이다.
자연마을로는 구암(자래바우), 방골, 뱁수골, 서원골, 심숙골, 텃골, 토촌 등이 있다. 구암은 본래 거북처럼 생긴 바위가 있으므로 붙여진 이름으로, 자래바우(자라바위)라고도 하였는데 후에 구암리가 되었다. 방골은 방골이라는 골짜기에 있는 마을이며, 서원골에는 예전에 서원이 있었다고 한다.
구암사라는 사찰이 있고 구암저주지가 있다.
구암리(九岩里)
평안북도 천마군 남동부에 있는 리.
북쪽은 삼송리(三松里), 동쪽은 구성시 운풍리(雲豊里)·백상리(白上里), 남쪽은 선천군 원창리(院倉里)·장요리(長腰里), 서쪽은 백자리(栢子里)·송현리(松峴里)와 접한다.
구성군 사기면 구암동·석현동·독송동이었다가,
-1949년 10월 동이 리로 개편되면서 석현리 일부가 군산리가 되었다.
-1952년 12월 구성군 사기면 구암리와 독송리가 통합되어 천마군 구암리가 되었다.
지명은 큰 바위가 9개 있어 구암산이라 불리는 산에서 유래되었다.
천마산맥의 높은 산들로 둘러싸여 있어 대부분의 지역이 산지를 이룬다. 북쪽으로 삼송리와의 경계에 구대봉(720m)이 솟아 있고, 남쪽으로 원창리와의 경계에 가인봉(535m)이 솟아 있다. 중앙으로 삼교천의 지류인 경자천이 동서쪽으로 흐른다.
전체 면적의 84%가 산림으로, 주요 수종은 참나무와 소나무인데, 그중 특히 참나무가 많다. 경작지는 전체 면적의 13.6%로 천마군에서 가장 적으며, 그중 90%가 밭이다. 옥수수를 많이 심고, 소를 많이 기른다. 고등중학교·인민학교·병원 등의 기관이 있으며, 군 소재지인 천마읍까지의 거리는 18km이다.
구암리-북한 지역에 다수의 마을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