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증권 미래산업/미드스몰캡] Analyst 허선재
▶️디어유 (376300/KQ) / Not Rated
★중국에 기대를 걸어보기 좋은 시점
[중국 노출도가 가장 큰 글로벌 팬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업체 ]
- 디어유는 17년 설립, 21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글로벌 팬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업체. 1H24 기준 동사는 613명의 입점 아티스트를 통해 215만개의 유료 구독수를 확보하며 24년 반기 매출액 394억원과 영업이익 142억원(OPM 36%) 시현
- 입점 아티스트의 80% 이상은 K팝 아티스트이며 지역별 구독자수는 중국 35%, 한국 28%, 일본 14%, 미국/기타 23%으로 구분
- 지금 디어유에 주목할만한 이유는 내년부터 ①전반적인 엔터 업황/투자심리 회복 (음반 판매량 감소/주요 엔터사 실적 부진 바텀아웃, 중국 무비자 입국 허용 등)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②지난 10/28 체결한 중국 최대 음악 플랫폼 기업 ‘텐센트 뮤직 엔터테인먼트 그룹’ (TME)과의 파트너십을 통한 큰 폭의 실적 성장이 시작될 전망이기 때문
[모두가 WIN-WIN하는 TME x 디어유 파트너십]
- 디어유는 TME가 보유한 주요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 ①QQ뮤직 ②Kugou뮤직 ③Kuwo뮤직에 인앱 형태로 버블 서비스를 제공하고 (1Q25 예상), 총판매 대금의 약 10% (일본 수준)를 로열티 매출로 인식할 전망
- TME는 QQ, Kugou, Kuwo앱 합산 MAU 5억명, 유료 구독자 수 약 1.2억명을 확보한 중국 현지 최대 (MS 80%) 온라인 음악 플랫폼으로, 디어유는 TME에게 ①500명 이상의 K팝 아티스트 풀 ②버블 시스템 개발 및 운영 노하우 등을 제공하고 TME는 현지 C-POP 아티스트 영업 및 마케팅을 담당할 예정
- TME내 버블 서비스 제공은 주요 이해관계자별 효용가치 극대화로 직결될 것으로 판단. ①아티스트 (비중국: 대규모 중국 팬 노출도 확대 / 중국: 글로벌 팬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을 통한 팬 소통 시작) ②구독자 (비중국: 플랫폼 규모 확대를 통한 소통 활성화 / 중국: 애플 유저를 제외하고 접근이 제한적이었던 안드로이드 이용자의 버블 서비스 유입 - 중국 안드로이드 비중80%) ③플랫폼 운영자 (디어유와 TME는 각각 신시장 진출, 신사업을 통한 실적 성장)
- 향후 동사의 본격적인 중국 사업 성장은 크게 3단계로 진행될 것으로 판단. ①K팝 아티스트 유입을 통한 TME 음악 플랫폼 내 버블 서비스 활성화 ②중국 현지 아티스트 확보를 통한 플랫폼 규모 확대 ③커머스 서비스 도입을 통한 매출 극대화
- 중장기적으로 TME와의 협업을 통해 창출가능한 잠재 실적 커머스를 제외하고 단순 TME의 MAU 5억명에 서비스 유입률 1%~3% 가정시, 연간 최소 200억원~600억원의 구독 수익이 더해질 것으로 예상 (국내 음악 앱 MAU 대비 국내 버블 이용자 비중 약 3% 수준). 잘 키운 중국 사업 하나로 성장의 판도가 완전히 바뀔 수 있는 상황이라고 판단
[24년 영업이익 282억원 전망, 내년부터 본격적인 성장 구간 진입]
- 디어유 24년 예상 실적은 매출액 784억원 (+3.5% YoY)과 영업이익 282억원 (-1.3% YoY)으로 전망
- 올해까지는 부진한 엔터 업황, 일부 아티스트 계약 만료(제로베이스원 등) 영향으로 실적 성장이 다소 둔화될 예정
- 하지만 내년부터는 ①신규 아티스트 입점 효과 (RIZZE, NCTWISH, 블랙핑크 리사, 배우 김수현 등) ②중국, 일본, 미국 등 신시장 진출 ③AI펫 버블, 굿즈 판매 등 신사업 영향으로 유의미한 실적 성장 흐름이 재개될 전망
▶️보고서 원문: https://buly.kr/6ifv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