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열린 이세돌 9단과 알파고의 구글 딥마인드 챌린지 매치 최종 5국에서 알파고는 5시간 만에 이세돌 9단에 불계승을 거뒀다. 이번 매치 5국은 모두 불계(不計)와 초읽기까지 가는 접전 끝에 승부가 결정지어졌다. 5번기 전적은 알파고의 4승 1패.
이세돌 9단은 본인이 원한대로 흑번으로 경기를 시작한다. 알파고가 백일 때 강점을 보인다는 것을 알면서도 스스로 원한 것이었다. 이9단은 4국 승리 후 “백돌로 이겼으니, 5국에는 흑돌로 경기를 하고싶다. 알파고는 백으로 뒀을 때 강점이 있다. 내가 흑으로 이기는 것이 조금 더 가치가 있다고 본다.”고 딥마인드에 제안했고, 데미스 하사비스 딥마인드 대표가 그자리에서 승락하면서 이루어졌다. 이번 대국은 백을 잡은 기사에게 덤 7.5집을 주는 중국 바둑 규칙에 따라 진행된다.
시작은 이세돌 9단이 좋았다. 이세돌 9단은 이전 4국에서 알파고를 상대하는 방법을 터득한 듯 과감한 수를 두며 초반 우세를 점했다. 데미스 하사비스 딥마인드 대표는 알파고의 승률 계산 그래프가 초반에 매우 낮았다고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실리적으로 봤을 때 전체 판세는 양쪽 누구도 확실히 치고 나가지 못 한 팽팽한 형국이었다.
이세돌 9단은 5번기 중 이날 경기를 가장 여유있게 두는 모습이었다. 바둑TV 해설을 맡은 유창혁 9단은 경기 중 “처음으로 이세돌처럼 바둑을 두고있다. 앞선 대국을 통해 알파고를 파악했고, 5국에 그것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승리를 거두는 데는 실패했다.
앞선 대국과 마찬가지로 승부는 중반 이후에 났다. 이세돌 9단은 초반 유리한 상황에서 더 나아가지 못 하고 중반 몇몇 안정을 꾀하는 수를 두었고 알파고는 이러한 부분을 파고들어 미세하게나마 앞서나가기 시작했다. 뼈아팠던 것은 초반 알파고의 실수였던 포석이 이세돌 9단의 중후반 행보로 실수가 아니게 된 상황이 연출된 것이었다.
하지만, 후반에 절대우위를 보이던 인공지능 알파고도 끝내기에서 실수를 범했다. 이세돌 9단은 이 결정적 실수를 파고들어 열세를 만회해 나가는 모습이었다. 이전 4국과 마찬가지로 5국 역시 초읽기까지 가는 난전이 펼쳐졌고, 이9단은 경기를 뒤짚으려 했으나 280수만에 결국 돌을 던졌다. 이9단은 경기 직후 매우 아쉬워하며 자책하는 모습이었다.
이번 구글 딥마인드 챌린지 매치는 알파고가 4승을 거두며 앞선 경기를 펼쳤지만, 이세돌 9단의 1승은 의미가 있다. 대국 우승이 넘어간 상황에도 포기하지 않고 거둔 승리이며, 현 시점의 인공지능은 완벽하지 않다는 것을 증명해낸 한 판이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1승은 알파고가 공식 대전을 펼친뒤 당한 첫 패이기도 하다. 알파고는 이날 승리로 총 전적 10전, 9승 1패를 기록하게 되었다.
한편, 한국기원은 딥마인드에 인간 프로기사와 알파고 간 2차 매치 의향을 전한 상황이다. 하지만 재대결이 이루어질 확률은 그리 높지 않다는 것이 중론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이 14일 ‘VIP REPORT’를 통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인공지능 시장 규모는 2013년 3.6조원에서 2017년 6.4조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IT기업을 필두로 일부 대기업이 인공지능 산업 투자 및 연구를 추진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인터넷과 게임 등 특정 사업에 한정되어 있는 실정인 것이다. 반면에 세계 인공지능 시장 규모는 2015년 약 1,270억 달러에서 2017년 약 1,650억 달러로 연평균 14.0%의 고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 인공지능 관련 스타트업 투자 규모는 2010년 4,500만 달러에서 2015년 3억 1,00만 달러, 투자 건수는 6건에서 54건으로 급증하였다.
현경연에서는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를 줄이고 인공지능(AI) 시장에 조기 진입하기 위해서는 전면적인 산업 기반 확충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개방과 공유의 패러다임으로 정책 방향을 전환하는 한편, 공공부문의 선도적 투자를 확대해야 하며, 민간부문의 인공지능 산업 생태계가 형성될 수 있도록 기업의 투자를 적극 유도하는 데 주력해야 하는 한편, 인공지능 기술 발전에 따른 사회적 부작용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선제적인 대응책을 마련 및 인공지능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R&D) 투자 확대 및 인재 육성에 주력해야 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