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장3 / 깨닫고자 하는 생각을 앞 두어서 스스로 장애를 만들지만 않는다면 모두가 본래면목일 뿐 다른 일은 없다.
3. 증시랑에게 답함(2)
당신은 부귀하되 부귀에 굴복 당하지 않았으니, 전생에 반야의 종지를 심지 않았다면 어찌 이와 같겠습니까? 다만 중간에 이 뜻을 잊고 예리한 총명의 장애를 받아 얻은 것이 있다는 마음이 앞에 문득 그대로 놓여 있기 때문에 능히 고인의 바로 끊어버리는 빠르고 중요한 본분자리에서 한 칼에 두 동강을 내어서 곧 쉬어가지 못할까 염려합니다. 이 병은 현사대부뿐만이 아니라 오래된 스님들도 또 그러하여 많은 사람들이 힘을 더는 곳에 나아가 공부하지 않습니다. 다만 총명과 의식, 계교와 사량으로 밖을 향해 달려가 구하며, 선지식이 총명과 의식, 계교와 사량하는 밖을 향하여 본분을 보이는 것을 언뜻 듣고는 많은 사람들이 대면하고서도 어긋나 지나칩니다. 예부터 고덕이 실법을 사람들에게 준다고 하니 조주의 방하착과 운문의 수미산의 종류가 이것입니다.
암두 스님이 말하기를 “물건을 물리치는 것이 상이 되고 물건을 쫓아가는 것이 하가 된다”고 하였습니다. 또 말하기를 “종지는 모름지기 한 글귀를 알아야 하니, 무엇이 한 글귀인가? 아무 것도 생각하지 않을 때를 바른 글귀라고 하며, 또한 이마에 머무는 것이라 하며, 또한 머묾을 얻었다고 하며, 또한 역력하다고 하며, 또한 성성하다고 하며, 또한 이러한 때다”라고 했습니다. 이러한 때를 가지고 일체의 시비를 모두 타파하여 겨우 이러하면 문득 이러하지 않아서 옳은 것도 깎아버리고 그른 것도 깎아버려야 합니다. 한 덩어리의 불과 같아서 닿으면 바로 타버릴 것이니, 어느 곳을 향할 것입니까? 지금 사대부가 사량과 계교로 소굴을 삼아 이러한 말을 들으면 곧 말하기를 ‘공에 떨어지는 것이 아닙니까?’라고 합니다. 비유하건대 이것은 배가 전복되지도 않았는데, 먼저 물로 뛰어 들어가는 것과 같습니다. 이는 심히 불쌍한 일입니다.
최근에 강서에 이르러 여거인을 만나니 그가 마음을 이 인연에 둔 지가 오래되었으나, 또한 이 병이 깊었습니다. 어찌 그분이 총명하지 않겠습니까마는 제가 일찍이 말하기를 “당신이 공에 떨어질까 두려워하니, 능히 두려움을 아는 자는 공합니까, 공하지 않습니까? 시험 삼아 한번 일러보십시오” 하였습니다. 그 분이 생각해서 계교로 대답하고자 하기에, 이때에 바로 한 번 할을 했더니, 지금까지 아득하여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는 다 깨달음을 구하는 마음이 앞에 문득 그대로 놓여 있어서 스스로 장애와 어려움을 만든 것이지, 다른 일에 관계된 것이 아닙니다. 당신이 시험삼아 이와 같이 공부를 해 가서, 날이 가고 달이 깊어지면 저절로 잘 계합할 것입니다. 만약 마음을 가지고 깨닫기를 기다리며, 마음을 가지고 쉬기를 기다린다면ㄴ 미륵부처가 하생할 때까지 참구해 가더라도, 또한 능히 깨달음을 얻지 못하며, 또한 쉼을 얻지 못하고 점점 미혹함만 더할 것입니다.
평전화상이 말하기를 “신령한 광명이 어둡지 아니하여 만고에 아름다우니, 이 문에 들어오려면 알음알이를 두지 말라”고 하였습니다. 또 고덕이 이르기를 “이 일은 유심으로도 구할 수 없고 무심으로도 얻을 수 없으며, 말로도 지을 수가 없으며, 말 없음으로도 통달할 수 없다”고 하였습니다. 이것이 진흙에 들어가고 물에 들어가는 노파의 가장 최고의 가르침인데 가끔 참선하는 사람이 다만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여 지나치고 특별이 이것이 무슨 도리인지를 자세히 살피지 않습니다. 만약에 힘줄과 뼈가 있는 사람이 조금 거착하는 것을 듣고는 바로 금강왕의 보검을 가지고 단번에 이 네 갈래 갈등을 끊어버린다면, 생사의 길도 또한 끊어지며, 범인과 성인의 길도 또한 끊어지며, 계교하고 사량하는 것도 또한 끊어지며, 득실시비도 끊어져서 그 사람의 본분자리가 분명하고 깨끗해서 잡을 곳이 없게 될 것입니다. 이 어찌 쾌활하지 않으며, 이 어찌 통쾌하지 않겠습니까?
보지 않았습니까? 옛날에 관계화상이 처음 임제스님을 참례할 때 임제스님이 그가 오는 것을 보고 문득 법상에서 내려가 곧 바로 가슴을 움켜잡으니, 관계화상이 ‘알았습니다. 알았습니다’라고 했습니다. 임제스님이 그가 이미 투철히 깨달았음을 알고 곧 밀어내서 다시 말로 상량함이 없었습니다. 이때 관계화상이 어찌 알음알이로 서로 상대하여 얻었겠습니까? 옛날에는 이와 같은 모범이 있었는데, 지금 사람들은 모두 그것을 가지고 공부하지 아니하고 다만 헤아리고 비교하는 거친 마음으로 공부합니다. 관계화상이 처음에 만약 조금이라도 깨달음과 증득함과 쉬기를 기다리는 마음이 앞에 있었다면, 가슴이 움켜잡혔을 바로 그때 깨달았다고 말하지 못했을 것입니다.
일상에 계교하고 안배하는 것도 식정이며, 생사를 따라 옮겨 흐르는 것도 또한 식정이며, 두려워하는 것도 또한 식정입니다. 그런데 지금 공부하는 사람들은 이 병을 알지 못하고 다만 이 속에서 생멸하니 경교 가운데에 이른바 ‘식정을 따라 행동하고 지혜를 따르지 않는다’는 것이 이것입니다. 이 때문에 본지풍광, 본래면목에 어두우니 만약 한 때라도 놓아서 일체 헤아리고 비교하지 않으면, 홀연히 알음알이가 사라져 콧구멍을 밟아버릴 수 있을 것입니다. 곧 이 정식이 진공묘지가 되어 다시 특별히 얻을 지혜도 없습니다. 만약 특별히 얻을 것이 있으며 증득할 바가 있으면, 또한 도리어 옳지 못합니다. 어떤 사람이 미혹할 때에 동쪽을 불러 서쪽이라고 하다가, 깨닫고 나서는 곧 서쪽이 문득 동쪽이어서 따로 동쪽이 있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이 진공묘지가 태허공과 더불어 수명을 가지런히 합니다. 다만 이 태허공 가운데서 도리어 한 물건이 장애가 됩니까? 한 물건의 장애도 받지 않아서 모든 물건이 공중에 왕래하는 것이 방해되지 않습니다. 진공묘지도 또한 그러해서 생사와 범성과 垢染이 조금도 붙을 수 없습니다. 비록 붙을 수는 없으나, 생사 범성이 그 가운데서 왕래하는 것은 장애가 되지 않습니다. 이와 같이 믿음이 미치고 보기를 철저히 하면, 바야흐로 나고 죽음에 대자유를 얻은 사람이 될 것입니다. 비로소 조주의 방하착과 운문의 수미산과 더불어 조금 상응함이 있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만약 믿음이 미치지 못하고 내려놓지 못한다면 도리어 청컨대 하나의 수미산을 짊어지고 도처에 행각하여 눈 밝은 사람을 만나서 분명히 들어 보이십시오. 한 번 웃습니다.
서장 3 - 증시랑에 대한 답서(2)
깨닫고자 하는 마음이 앞을 가로막는다 많이 배운 지식인이나 선방에서 오래 참선하는 납자들이 걸리기 쉬운 선 공부의 병(病)은, 날카로운 근기와 총명함 때문에 깨닫고자 하는 마음이 앞을 가로막는것이다.
이들은 배운 지식과 총명한 생각 때문에 ‘깨달음이란 이런 것이며 화두란 이런 것이다’하는 선입견을 가지고 견주고 헤아려서 깨달음을 구하려 할 뿐, 지식과 생각을 내려놓고 쉬는 곳에서 본래면목이 바로 드러남을 알지 못한다.
본래 면목은 언제 어디서나 빛을 발하며 처음부터 한 번도 어두워 본 적이 없는데도, 본래면목을 찾는다는 생각에 가로막혀서 바로 그 찾는 생각 속의 본래면목을 보지 못하는 것이다.
이런 사람은 ‘수미산(須彌山)’ ‘방하착(放下著)’이야말로 조사가 전한 진실한 말씀이라고 생각하면서도, 다시 “모든 시비분별을 부수어 버리고 이렇다는 생각도 놓아버리고 이렇지 않다는 생각도 놓아버려서 활활 타고 있는 불덩이처럼 어떤 생각도 가까이 가지 못하게해야 한다”라는 말을 들으면, 곧 “ 공(空)에 떨어진 것이아닌가?”라고 말한다.
이것은 헤아리고 비교하는 생각에 의지하기 때문이니, 마치
“배는 뒤집어지지도 않는데 스스로 물 속으로 뛰어드는 것과 같이 매우 불쌍한 일”이다.
이들은 “공(空)에 떨어진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바로 ‘수미산’이며, “공에떨어질까봐 두려워할 줄 아는 그 곳”에서 ‘방하착’해야 함을 알지 못하고 있다.
생각에 의지하여 보면 시비분별도 생각이요 공(空)도 생각이며 ‘수미산’도 생각이요 ‘방하착’도 생각 이지만, 본래면목에서보면 시비분별도 본래면목이요 공도 본래면목이며 ‘수미산’도본래면목이요 ‘ 방하착’도 본래면목이다.
깨닫고자 하는 생각을 앞에 두어서 스스로 장애를 만들지만 않는다면 모두가 본래면목일 뿐 다른 일은 없다.
그러므로 깨달음을 기다리거나 쉬기를 기다리는 생각에 매여 있는 한, 아무리 오래 기다린다하더라도 깨달을 수도 쉴 수도 없다.
깨달음을 기다리고 쉬기를 기다리는 그 생각이 바로 본래면목의 드러남임을 알지 못하고 생각에 막혀서 본래면목을 찾고 있으니, 오히려 어리석음과 번뇌만 더할 뿐이다.
그러므로 “신령스런 빛이 어둡지 않으니 영원히 쓸 수 있는 훌륭한 꾀이다.
이 문으로 들어오려 한다면 알음알이로 이해하지 말라”고 하는 것이다. 또 “이 일은 마음을 가짐으로써 구할 수도 없고 마음을 버림으로써얻을 수도 없으며, 언어로써 이룰 수도 없고 침묵을 가지고 통할 수도 없다”라고도 하는데, 이러한 취사간택(取捨揀擇)은 모두 생각을 따라다니는 일이기 때문이다.
그러면 결국 어떻게 해야 하는가? 스스로가 ‘중생은이렇고 부처는 저렇다’ ‘생각은 이렇고 본래면목은 저렇다’라고생각하고 추구하고 있지만, 이렇게 생각하고 추구하는 그것이 모두 본래면목의 일이고 본래면목을 벗어난다른 일이 아니다.
지금 여기서 이렇게 저렇게 생각할 수 있고, 추구할 수 있는 그것이 본래면목일 뿐이다.
지금 찾고 있는 이것이 찾고자 하는 목적물이므로, 스스로가 스스로를 찾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생각을 일으킬 줄도 알고 생각을 놓을 줄도 안다. 생각을 일으키면 세상의 모든것이나타나며 생각을 비우면 아무것도 없는 허공이다.
마치 우주가 별들로 꽉 차 있기도 하고 허공이기도 하듯이, 생각이 있어도 본래면목 그대로이며, 생각이 없어도 본래면목 그대로이다.
그러므로 이러니 저러니 라고 생각할 이유가 없는 것이고, 이러니 저러니 라는 생각을 놓을수만 있다면 본래면목이 달리 없다.
따라서 대혜는 이렇게 말한다.
“만약 일시에 생각을 놓아버리고 아무것도 사량하거나 헤아리지 않을 수 있다면, 문득 본래면목을 깨달을 것이니, 그 때에는 이 생각이 바로 진공의 묘한 지혜(眞空妙智)이고 달리 얻을 지혜는 없습니다.
만약 따로 얻을 것이 있고 따로 깨달을 것이 있다면, 이것은 도리어 옳지 못합니다. 마치 사람이 어리석을 때에는 동쪽을 일컬어 서쪽이라 하다가, 깨달음에 이르러서는 서쪽이 그대로 동쪽일 뿐 따로 동쪽이 없는 것과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