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날 안(安)정승이 길가는 스님을 불렀다.
"스님, 여쭐 일이 있습니다."
"무슨 일이옵니까?"
"나는 안(安)정승인데,이웃의 권(權)정승이 자꾸만 농담으로,계집이 갓을 쓴 성(安)이라 놀리면서 나를 욕보이는데 이 권 정승을 어떻게 욕을 보일 방책이 없겠는지요?"
"그러면 날을 정해 권(權)정승을 댁으로 청해 주시지요.
그럼 소승이 그때 나으리 댁 앞을 지나갈 테니까, 소승을 불러 주시면 알아서 조처하겠습니다."
안(安)정승은 스님에게 이 같은 약속을 받았다.
그리고 드디어 약속한 그 날 스님이 안(安)정승 집 앞을 지나가고 있었다.
"여보시오, 여보시오, 대사."
안(安)정승이 급히 스님을 불렀다.
"예."
"이리 오시오. 우리 술이나 한 잔 합시다"
스님이 안(安)정승의 사랑채에 들어가서 술을 한잔했다.
한참 있다가 동석한 권(權)정승이 스님에게 물었다.
"대사, 성씨가 어떻게 되오?"
"예, 소승은 성이 복잡합니다.
어머니가 소승을 성태(成胎)할 적에,네 사내와 관계를 하였기에 소승의 성을 알기가 곤란하였던지라, 네 사내의 성인 이씨, 노씨, 엄씨, 최씨를모두 끌어들여 소승의 성을 만들었다 하옵니다."
"그래, 어떻게 됐소?"
"말씀드리기 심히 부끄럽습니다.
이(李)씨에게서는 나무 목(木)자를 하나 따오고,노(蘆)씨에게서는 풀 초(艸)자를 하나 따오고,관계를 두 차례 가졌던 엄(嚴)씨에게서는 입 구(口)자 두 개를 따오고,최(崔)씨에게서는 새 추자를 하나 따와, 합쳐서 권(權)씨 성을 만들었다 하옵니다."
자신의 성씨를 욕보이는 스님의 이야기를 들은 권(權)정승은 분기가 탱천하여,
"에이, 천하 불상놈 같으니라고."하고 스님을 욕하며 얼굴을 붉혔다.
그러자 오래간만에 권(權)정승을 욕보인 안(安)정승은 속이 시원하고 후련해졌다 한다.
새로나온 漢字工夫

샤워 샤
'물수' 밑에 '사람인'을 써서 샤워하는 형상을 나타낸 글자.
키스 키
'입구' 두 개에 '합할 합'을 써서 '키스키''라고 함.
뻔할 뻔
'수풀림' 가운데 '사내남'과 계집여'가 들어가 있는글자임.
숲 속에 남여 한쌍이 들어가 있으면 그 속에서 무슨일이 벌어질까
뻔하기 때문에 '뻔할 뻔'이라함.
돌에깔릴 꽥
'돌석' 밑에 '사람인'을 써서 사람이 돌에 깔리는 순간
'꽥'소리도 지르지 못하고 죽는 모습을 상징한 글자임.
쉬할쉬
'사람인' 밑에 '내천'자를 쓴 글자로 사람이 모두 쉬를 하면
시냇물처럼 변하게 된다는 것을 상상하여 만든 글자임.
공처가 남
'계집여' 밑에 '사내남'을 조립하여 만든 글자로
여자 한테 눌려 사는 사내, 즉 공처가를 의미함.
첫댓글 우물정(井)자 한가운데 점(*) 하나 찍으면 무슨자가 되나요?
퐁당 퐁자입니다
정답 입니다. 경품 타 가세요.
國無城하고 月門入이거던 貳日貳時요.~~~옛날 어떤 한량이 예뿐 기생에게 문자를 보냈더니 앞 글과 같은 답신이 왔대요...무슨 뜻인지 해석해 보셔요........흐음~~~
퐁당퐁자는 오영수님이 맞췄는데, 밑엣글은 좀 어렵나 보지요...직역하면 재미가 없고, 한문 字形을 분해해 보셔요...힌트:國無城은 或자 입니다...기생이 넌지시 한량을 유인 하는 내용인데~~~ㅎ ㅎ ㅎ
혹(或)시 한(閒)가하시거던 오십시(五十時)요....<저 혼자 있어요 ㅎ ㅎ ㅗ 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