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락사 /전통사찰
- 강원도 평창군 평창읍 중리
평창 읍내 있다. 월정사 포교당일까? 유치원도 운영하는 것 같은데 원아가 있을까?
비구니, 사찰은 갈금한 느낌, 가끔 주민들을 위해 공연도 하는 모양이다. 상설(?) 무대가 있다. 평창 교육청 뒤.
유동리 오층석탑(강원도 문화재자료)
- 강원도 평창군 평창읍 유동리
평창 도돈리에서 평창 읍내로 들어오는 길에 유동리가 있다. 네비게이션은 아무런 말이 없다. 읍내까지 갔다. 돌아나왔다.
평창 이씨 재실 뒤, 시조묘지 앞에 오층석탑이 있다. 고려시대 석탑. 탑 높이 2.8m
평창향교(강원도 유형문화재)
동재와 서재가 없다. 동재가 있어야할 자리에 명륜당이 있다.
평창군 대화면을 지나니 진부/정선 이정표가 있다.
장평을 지나 진부로 갔는데 내가 다닌 적이 없는 길이다. 네비게이션이 가르쳐 주니 지름길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삼거리, 청심대가 나온다. 진부에서 정선 가는 길이다. 낯익은 길이다. 길을 이해할 수 있었다.
청심대에서 본 정선 가는 길
청심대
오대산에서 발원한 물이 내를 만들어 진부를 지나 정선으로 들어가 조양강이 된다. 진부 방향이다.
청심대, 이 경치를 왕의 명령으로 단원 김홍도가 그림을 그렸다고 한다.
탑동 삼층석탑(강원도 유형문화재)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면소재지에서 춸정사 가기 전에 방아다리약수 이정표가 나온다. 월정사 근처일 것이라 생각하였는데 아닌 것 같다.
해발 750m쯤, 오대산 자락이다. 아니면 방태산 자락이다.
목적지에 다 왔는다는 네비게이션 안내, 둘러보아도 탑은 보이질 않는다.
이리저리 찾아다니다가 거눔ㄹ 앞에 있는 탑을 만났지만 보수 중이다.
탑동마을에 옛날 절이 있었다. 그 절은 없어졌지만 탑은 남았다. 고려시대 탑이다.
시작은 알 수 있지만 언제 끝날 것인지는 알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