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역사 오월 吳越 기원전 907년~978년 5대10국 오대십국 십국 十国 할거정권
출처:바이두백과 소스:이페어케이
오월 吳越
오월(吳越, 907~978년)은 오대십국(五代十國) 시대의 10개국 중 하나였다.통치자는 임안 전씨이다.후량개평 원년(907년)에 첸이 세운 항저우(杭州)의 수도다.오월국은 후량(後梁)·후당(後唐)·후진(後進)·후한(後漢)·후주(後周)·북송(北宋) 등 중원(中原) 왕조를 차례로 정삭(正朔)으로 높여 책봉받았다.
당나라가 멸망하기 전에, 전금은 당나라에 충직하고, 주온이 당나라를 찬탈한 후, 그는 또 뒤로 돌아갔다.양칭신 역시 후량으로부터 오월왕, 제도병마도원수의 직함을 얻었다.후당멸량(後唐灭)에 이어 후당(後唐)에도 신하를 표창하여 오월국왕(吳越國王), 천하병마도원수(天下兵馬都元首)라는 직함을 얻었을 뿐만 아니라 옥책(玉 。)의 금인(金印)까지 얻어 은총(恩 。)을 과시하였다.전장은 한 면으로는 중조(中朝)를 향해 신하를 칭하고, 다른 면으로는 조정(朝政)을 자처했다.조정(朝政)·료(僚)를 신하(官臣)로 부를 뿐 아니라 자립(立立) 연호(年號)로 천보(天寶)·보대(寶大)·보정(寶正) 등 3개의 연호를 갖고 있다가 아들 전원관(錢元 。)이 즉위하자 중원왕조(中原王朝)의 연호로 바꿨다.또 스스로 신라·발해 등을 왕래하며 제책과 가봉작(加封作)을 지어 중원 황제를 방불케 했다.
오월국은 전완만년에 남오통과 화한 이후, 민나라에 두 번 파병된 것을 제외하고,큰 전쟁은 없다. 10개국 중에서 오월국은 비교적 안정된 지역이다.전갈은 전당강 석당을 짓고, 또 도수영사를 두었으며, 수리사업을 주관하였으며, 강과 제방을 전문적으로 관리하여 태호 일대의 논밭을 발전시켰다.이를 통해 경내의 농업생산이 발전할 수 있게 하였다.
오월강성시 13주의 강역을 보유하였는데, 이는 현재 저장성 전역, 강소성 동쪽으로 약합니다.남부(쑤저우시), 상하이시, 푸젠성 동북부(푸저우시) 일대.오월국은 3대 오왕으로 태평흥국 3년(978년)에 이르러 전홍숙(錢弘俶)이 '납토귀송( 纳土歸宋)'하고 입국한 지 72년이 되었다.당경복 2년(893년) 전완위진해군 절도사(節度使)를 시작으로 멸망 전후까지 816년을 존속하였다.
중국어 이름 오월 별 명의 충국, 오월국 [1] 시간범위 907년부터 978년까지 도성 항저우(서부) [2] 주요 도시 소흥, 월주, 호주, 쑤저우, 쑤저우어, 수저우어 중국어(오어 방언) 화물, 화폐, 납질개원통보전, 인구수 550684가구(978년) 강역약 15만 평방킬로미터(945년) 개국군주 전완
카테고리
1 국호
2 역사
▪ 저장성과 저장소를 모두 차지하다.
▪ 건국 오월
▪ 왕위 교체
▪ 납토귀송
3강역
▪ 범위 구획
▪ 지방행정
4 정치
▪ 정치 체제
▪ 중앙관제
▪ 법제도
5 군사
▪ 기구
▪ 병과
6 경제
▪ 수리
▪ 수공업
7 문화
▪ 문학
▪ 종교
8 테크놀로지
9 외교
▪ 중원왕조
▪ 거란
▪ 한반도
일본. ▪
10 사회
11. 인구 민족
12국군 가계
국호
전완은 대대로 한천하였는데, 그는 두 절강성 뒤에, 탕팅에게 진해군을 항주로 옮겨 달라고 청하였다.겸진해 진동절도사.이년(902년)에 당은 전을 월왕이라 칭하였다.천우 원년(904년)에 전완은 오월왕으로, 거절당한 후 주전충주를 거쳐 오왕으로 개봉하십시오.후량이 개국하자 전대는 추대된 공로로 오월왕으로 개칭하였다. [3] 후당동광 원년(923년)," 4時建國" [4] 초기에는 정권을 수립하였다.
역사
저장성과 저장성을 모두 차지하다.
전완
전완
오월의 개국군주 전완(Liú)은 당건부 연간에 석경장 동창의부교는 점차 편장에서 한 주의 병사로 승장했다.그는 지방의 반신(反臣)들을 토벌하는 과정에서 항월(杭越)을 두 차례 격전 끝에 절강지대를 차지하며 대당(大唐)의 한 축을 지켜냈다.중화 2년(882년)에 월주의 관찰로 유한홍과 동창의 갈등이 격화되었는데, 유한홍은 그의 동생 유한유와 도우후신약을 시켜 서릉(西陵, 지금의 절강성 소산)에 진주시켰다.서북) 항주를 삼키려 한다.전완은 팔도병을 이끌고 전당강을 건너 유한유를 습격하여 그 부서를 대파하였다. 【5】 동창은 광계 2년(886년)에 전완에게 월주를 공격하라고 명하여 절동을 점거한 후 항저우를 전완에 맡기겠다고 하였다.전혁수는 군대를 이끌고 평수를 나와 개산로 500리, 직진 조아태(지금의 소흥 동남쪽 약 40여리)에 이르러 절동장령 포군복( 鲍軍福)을 하강하였다.그는 여러 차례 절동군을 뚫고 풍산에 들어가 월주를 공격하였다.저장(浙江)성 동(東)을 점거한 둥창(東昌)은 자신을 '지저둥(知浙江)성 동군부사(東軍府事)'라고 칭하며 웨저우(越州)로 옮겨 항저우(杭州 [6-7]
당경복 2년(893년) 전완은 진해군 절도사로 승진하여 항저우에 주재하였다.건녕 2년(895년)에 동창은 월주에서 자립하여 대월나평국을 건국하고 순천으로 개원하였다.같은 해 5월, 당 소종은 동창의 관작을 삭탈하고, 또 전각(錢镠)을 저장(浙江)성 동도(東道)에 사사( 。使), 팽성군왕(彭城軍王)에 봉해 동창(東昌)을 토벌하도록 했다. [8] 동창을 멸하고 월주를 얻다.건녕사년(897년) 전괴거월주(州)에서 돌아와 항저우(杭州)를 '동부(東府)'로 삼았다.이때부터 첸훙은 거의 두 저장(浙江)성을 장악하고 본격적으로 할거 세력을 형성했다. [9]
첸은 저장성 내부의 적대 세력을 평정한 후, 대규모 징집을 거의 중지하였다.토. 그러나 삼면이 적으로 인해서 여러 차례의 국경수호전을 거쳤는데, 주된 상대는 바로 회남절도사 양행밀이다. [10-12] 광복 2년(902년)에 당소종은 돈을 월왕이라고 봉하였다.천우 원년(904년)에 전장에 표정에 올라 오월왕을 봉하려 했으나, 조정에 의해 거절당하고, 후에 주온우(朱溫宇)로 인하였다.오나라 왕으로 개봉되다. [13]
나라를 건국하다.
후량 개평 원년(907년)에 주온찬당(朱溫篡唐)이 황제를 제창하고 후량(後梁)을 세워 봉했다전금은 오월왕으로 회남절도사를 겸임한다.첸은 하급 관원들의 '량밍(梁命·양량명) 거부' 권고를 듣지 않고 양조(梁朝·양조)의 책봉을 받았다.중국 역사상 첫 번째이자 유일한 첸씨 왕조는 저장(浙江)성 13주를 차지하며 저장(江浙江)성 일대 유력 할거자로 떠올랐다. [14] 첸镠링은 절강 서도, 절강 동도 두 개를 거느린다.절도사, 서부의 항주, 동부의 월주를 도치로 하여 항주를 도읍으로 하였다.오월은 동남쪽으로 치우쳐 있어 시종 중원을 정삭(正朔)으로 떠받들었고, 양조(梁朝)는 전갈을 오월왕, 제도병마도원수로 봉했다.
전단서철권
전단서철권
용덕 원년(921년)에 전려(錢镠)가 또 수례를 받았지만 조서는 불명이다. 【15】이때 전촉·남오·남한·민 등지의 통치자들이 차례로 나라를 세워 왕위에 올랐는데, 군신들이 모두 전령들에게 오월에서 제를 부르라고 권하였으나, 전령들은 거절하였다. [16]
용덕 3년(923년)에 전려가 오월왕으로 책봉되어 정식으로 오월(吳越)을 건립하였다.그는 조정으로 부서를 바꾸어 승상(承相)·시랑(市郞) 등 백관을 두었으며, 모든 예제(禮制)는 황제의 규격에 따랐다. [17] [18] 얼마 후 진왕 이존욱이 후량을 없애고 후당을 세워 동광을 개원하였다.錢镠은 또 사부를 보내 공물을 바치고 옥책을 구하였다.후당 곽숭도 등 대신들은 모두 황제만이 있을 뿐이라며 극력 반대했다.옥책을 쓸 수 있었지만 이존욱(李 李勖)은 결국 전려옥책(錢镠玉 玉), 금인(金印)을 하사하였다.신라·발해 등 해외 여러 나라들이 임금의 책봉을 받아 임금으로 떠받들었다. [19]
동광 4년(926년) 이존욱이 병변으로 살해되자 이사원이 즉위하였다.중원의 정세가 혼란하여 중원의 조정 조명은 오월까지 도달하기 어렵다.돈이 수수하다가 원보정을 고치다. 【20】전대의 개원(改元)에 대해서는 후손이 중원정삭(中原正朔)을 떠받드는 것을 꺼렸다. 【21】 홍매의 저서 『용재사필』에 따르면 전완은 보정 연호 이전에도 원천보·보대를 개간하였다고 한다. 【22】 이자원은 장흥 2년(931) 천하병마도원수(天下兵馬都元壽)·상부(尙父)·오월국왕(吳越國王)으로 전갈을 다시 임명하고, 문상 장군 장완(張篯)을 항저우(杭州)에 보내도록 했다. 【23】 장흥 3년(932년)에 전완이 사망하여 81세에 사망하자 당나라 정은 시호를 무숙으로 하사하였다. [24]
왕위가 바뀌다
전장에 이어 제5남 전원관이 즉위하고, 재위 10년, 좋은 일 중원후당후후후진나라 정권은 보토안민이다.장흥 4년(933년) 7월 13일, 후당은 전원관을 오왕으로 사봉하였다. [25] 후진천복 2년(937년) 4월, 전원관은 건국되었는데, 후당의 같은 광년(光年)과 같은 지위와 대우를 받았다.조중달·심숭·피광업을 정승으로 임용하고, 진해 절도판관임정이 교령을 관장하다. 【26】 11월, 후진의 황제 석경흔(石敬瑭)이 조서를 내려 전원관(錢元瓘)을 천하의 병마부원수로 승진시켜 오월왕(吳越王) [27] 천복6년(941) 전원관(錢元 元)이 사망하자 시호는 문목(文木)이었다. [28]
전원관이 사망한 후, 전원관 양아들 전홍유 유모와 내치를 결탁하여 운하를 지휘하게 하였다.중신 장덕안은 전원관의 죽음을 봉쇄하고 복병은 운을 뗀 채 죽였고, 폐전 홍유는 평민이 됐다.같은 날 장리는 전원관의 유명에 따라 제6남 전좌를 절도사로 받들었다. [29-30] 음력 9월 3일, 전좌가 왕위를 계승한다. [31] 후진은 여전히 전좌를 오월국왕으로 봉했다.전좌는 온화하고 공손한 성격으로 독서를 좋아하며 예현 하사를 두둔하며 정무를 직접 챙겼다.후진 개운 2년(945년) 남당출병이 민국을 공격하자 민국군주 왕연정은 사자를 보내 오월상에게 신하를 칭송하고 오월의 종속자로서 구원을 청하였다. 【32】전좌는 이웃을 구제하기 위해 신하의 반대를 무릅쓰고 3만 명의 병력을 파병하여 구원을 이루었으며, 마침내 승리를 거두어 남부 국경의 안녕을 보장하였다.전좌는 일찍 즉위한 후 아직 어려서 부하의 횡포를 제어할 능력이 없었으며, 아첨꾼을 총애하였으나 간통을 벗어버리고 용단을 잃지 않았다.후진개운 2년(945년) 11월, 전좌주살내도감사 두소달, 내치상통군사 칸판( 。 。)으로 오월리민들은 공포를 두려워했다. [33] 후한 천복십이년(947년)에 전좌가 사망하였고, 시호는 충헌왕(忠憲王), 묘호는 성종(成宗)이다.그 아들이 아직 어려서 동생의 전종(錢倧)을 이어받았다. [34]
개운 4년(947년) 8월, 후한은 전종(錢倧)을 동남 병마도원수로 임명하였다.진해·진동절도사는 중서령(中書令)·오월왕(吳越王)을 겸했다. [35] 12월에 이동을 모반하고, 전종파 동남면 위로사 포수장 등이 이동을 공격하여 사로잡은 후 주살하였다. 【36】 당시 내아통군사(內亞統軍使) 호진사(胡進思)가 발호하여 정사에 간여하였는데, 전종(錢 深感)은 심히 미움을 샀고, 내아지휘사 하승훈(河承訓)은 이를 악으로 삼았다.건의는 호진사를 주살하고 전종은 머뭇거렸다.하승훈은 일이 알려질까 봐 고민 끝에 밀고를 올렸다.호진사는 선제공격으로 제온 등 내아병을 지휘하여 난을 일으켜, 전종을 의화원에 연금시키고, 갑자기 중풍이 들어 전종이 그 동생인 전숙에게 전위하였다고 거짓 명령을 내렸다.
토지를 수용하여 송나라로 돌아가다.
오월 전 씨가 가장 기특한 것은 민본 사상이다.전씨는 "백성은 사직의 근본이다.백성은 귀하고, 사직은 그 다음이다.그는 자신이 황제라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강번을 황제로 부르는 것도 반대한다.그는 자손들에게 '중국에 선한 일은 그만두고, 쉬운 것은 큰 선물을 하지 말라'는 신하의 절을 지키라고 간곡히 타일렀다."덕성을 헤아려 세상일을 알아야 한다. [37]
전숙
전숙
송개보 8년(975년)에 전련은 조광윤의 언약에 응하여 북송의 회사 남당 금릉과 출병하였다.12월에 돈이 갑자기 입북하여 축하하였다.송태조 조광윤은 할거정권인 남당을 소멸시켰고, 10개국 중 오월만 남았다.고승의 연수는 덕소의 법사인데, 이때 중병이 몸에 배어 있다.오월왕은 전홍정이 병문안을 갔을 때 송멸남 당에 대하여 오월의 진로를 위태롭게 하여 연수의 의견을 물었고, 연수는 전홍숙에게 "납토귀송, 사별귀"를 권유하였다.총"이라고 말했다.
전숙심은 시세를 잘 다스려, 조상의 무숙왕 전완의 유훈을 따르고, 천하의 창생안위를 염원하여, 임종의 유언을 채택하고, 한쪽의 생민을 보호하기 위하여 "중민경토"의 선행을 채택하였으며, 결연히 태평흥국 3년(978년) 5월에 송경에 입관하여, 조훈을 받들어, 납토귀송을 결정하였으며, 소부 13주, 일군, 806현, 55만6천5백8백8천5백8천5백5백5백5백5백5백5백5백5백5십5십5십5십5십팔을 하였다.대국을 고려하다통의 역사 미화. [37]
이로써 오월(吳越)의 생산력은 파괴되지 않았고, 인민은 영(生令)도 피폐해짐으로써 평화통일의 정치국면을 안정·확보할 수 있게 됐다.북송의 저명한 시인 소식이 일찍이 "기민( 吴民, 오월백성을 지칭)은 노사와 군혁(兵革)을 모르고 사시희유(四時 嬉遊)하며 노래와 북소리를 듣고 지금까지도 폐를 끼치지 않아 그 덕이 백성을 더하다"고 평하였다.오월 전 씨의 역사적 공적을 객관적으로 평가한 것이다.오월 전씨는 중국의 평화 통일을 위해 하나의 성공을 제공했다.의 예. 천년 전의 옛사람이런 역사적 비전과 아량을 갖추는 일은 결코 쉽지 않다.
강역
범위 구획
오월은 지역이 협소하고 성할 때 항·월·호·소·수·무·목·구·대·온·처·명·복십삼주만 관할하고, 진해·진동·중오·선덕·무승·장무 등의 절진만 있었다. [38] 1군 13주는 다음과 같다.
●
항저우(西府) : 전당, 첸장, 옌관, 위항, 푸춘, 퉁루, 위잠, 신등, 헝산, 우캉 등 10현을 관할한다.
●
월주(越州, 동부(新昌), 신창(新昌), 섬팔( 。八)현.
●
호주: 관우정,덕청,안길,장흥4현.
●
원저우: 잉자, 라이언, 핑양, 러칭 등 4개 현 관할
●
태주: 관할은 해, 황암, 태흥, 영안, 영해 5현이다.
●
명주: 인화, 봉화, 자계, 상산, 망해, 옹산6현.
●
처주:여수,용천,수창,진운,청전,백룡6현을 관할한다.
●
취저우: 시안, 강산, 용유, 창산 4현을 관할한다.
●
무주:금화,동양,이우,난계,영강,무의,포강7현을 관할한다.
●
목주: 덕, 수창, 수안, 분수, 청계 등 5개 현을 관할한다.
●
수주:자흥,해염,화정,숭덕4현.
●
쑤저우: 오, 진저우, 쿤산, 창쑤, 우장 등 5개 현을 관할한다.
●
복주: 민·후관·장락·연강·장계·복청·고전·영태·민청·영정·녕덕 등 11현.
●
안국의금군, 즉 지금의 항저우시 임안구는 첸훙의 탄생지로서 의금군으로 특진되었다.
지방 행정
오월은 지방제도에서 전반적으로 당제를 그대로 사용하고 주·현 2급 지방행정체제를 채택하였다.5대 때 전란이 많았던 탓에 지방 행정단위인 군이 새로 생겨났다.오늘날의 경비구역 설정과 같지만 권력은 훨씬 세고 위상으로는 주(州)급 행정단위에 해당한다.
정치
편집
정치 체제
동광 원년(923년) 2월, "량주 파견 병부 시랑 최협 등이 오월 왕 첸镠을 오월 국왕, 정묘, 시건국이라 명하였다"고 하며, [39] "백관을 두고 승상, 시랑, 낭중, 원외랑, 객성 등을 두었다"고 한다. [40] 여기서 눈여겨볼 것은 승상시스템 구축이다.이렇게 오월국의 권력구조는 승상계, 양군계, 원수부계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3계통으로 이루어져 있다.복합 체제, 즉 왕국체제.
오월 건국 이후의 왕국체제는 3개의 계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승상 계통이 권력 중추를 이루고, 양군 계통이 지방 대권을 독점하지 않게 되어, 양군의 지위는 왕국으로 대체되었다. 번진도라는 이름만 있을 뿐, 그 체제는 오월국에서 이미 해체되었다.제주의 승군은 주 이상의 도급 행정실체로서의 방진의 고유한 특징과도 맞지 않았다.각종 권력관계에서 보면 오월국은 이미 집권정치를 형성하고 체제전환이 완료된 상태였다. [41]
중앙관제
중앙 제도상 오월관제는 대부분 당제를 본떠서 중원왕조를 신하하고 추밀원과 추밀사를 두지 않는 것 외에 당나라 때의 관제와 유사하다. [42] 정승 계통의 관직은 매우 많았으며, 정승 외에 사적으로만 본 사람으로는 호부상서(戶部尙書), 예부상서(禮部尙書), 공부상서(工部尙書), 형부상서(刑部尙書), 시랑(詩郞), 김부랑중(金部郞中), 직방랑중(職方郞) 중, 국자제주(國子祭酒), 염철발운사(鹽鐵發運使), 급사중( 给事中), 저술사좌랑(先事中), 사훈랑(師郞) 중(史郎郞) 중·사훈랑 [43-44]
오월의 정승 시스템은 돈 많은 건국 이후 줄곧 존재해 왔다.장흥 3년(932) 삼월 경무, 전완졸, 전원관(錢元 。)이 자리를 잡고 '유명으로 나라의(國儀)에 가서 번진법( 。鎭法)'을 썼다. [45] 천복 2년(937년) 4월, 전원관이 오월국왕에 봉해졌다.그 사이 5년간 전원관은 조중달을 권 지사로 임명하는 등 사실상 승상계통이 계속됐다.천복6년(941) 구월경신(九月慶神), 전좌(錢佐)가 왕위였고, 12월에 오월국왕(吳越國王)을 봉했다.그 사이의 석 달 동안, 정승 조중달은 정사를 섭정하였다.전원관습위 초기와 같다.원수부(元壽府) 시스템과 달리 승상(承相) 계통의 변화는 승상의 건제와 지위에 집중되었다.전완은 건국 초에 좌정승, 우정승, 두건휘, 좌정승, 두건휘를 "누종정벌(伐從政伐)하며 걸핏하면 공을 세웠다"고 하여 동창 평정, 무용도변 평화, 목주자사진문반란에서 모두 공적을 쌓았으며, "춘추고, 아직 기마사( 骑射)"라고도 하였으며, [46]군장은 분명했다.두젠후오의 위상은 실상 중요한 역할을 하지 못했다.또 다른 승상 허명(許明)은 '사부춘택위사(舍富春邸)를 '허명사(許明寺)'라 한다'는 것 외에 별다른 기록이 없다.
승상 계통의 변화는 문목왕 때 일어났다.『십국춘추·문목왕세제』에는 천복 2년(937년) 여름 4월 전원관이 나라를 재건하고 "조중달 심숭 피광업을 승상으로 삼았으며, 진해군 절도판관 임정장교령 '천복삼년(938년)' 2월에 을해(乙海) 승상 심숭졸(沈 。 。)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또 『십국춘추·문목왕세가』와 『오월사·충헌왕세가』에 따르면 천복 4년(938년)부터 천복 6년(941년)까지가 조중달·피광업·임정삼상이다.문목왕이 나라를 세운 뒤 정승의 수가 3명으로 늘었고, 이런 제도를 유지해 왔다.또한 동참상부사(同參相府事) 2인(육인장(陸仁章, 앙인전)을 새로 설치하였다.충헌왕 전좌 때 천복6년(941년)부터 천복8년(943년)까지 조중달·피광업·임정삼상이 되었다.천복팔년(天福八年, 943년) 이월(二月)부터 개운원년(開運元年, 944년) 정월삼상(正月三相)까지 연이어 죽었다.이후 정승은 원덕소(元德昭)·전종(錢倧)이었으며, 동참상부사(同參相府事) 1인(곽사종)도 있었다.충손왕 때의 승상은 원덕소(元德昭)·오정(吳程)이었고, 전종(錢倧)은 동참상부사(同參相府事)였다.충의왕 때의 승상은 원덕소·오정·전홍억·전홍경·배견·심호자·최인기였다.이 밖에 동참상부사 포수장도 있다.충의왕 때는 정승이 많았지만, 충의왕이 통치한 기간은 32년에 달해 제상의 재임기간은 짧았다.따라서 동시간대에는 보통 2~3명의 정승이, 동참부사도 있어 오월중앙집권 정도를 보여준다. [48]
법률 제도
법 제도상 오월의 법 체계는 5대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수·당 시기에 형성된 율·령·격·식의 네 가지 기본 법률 형식을 그대로 따르고, 당율에 기초하여 지방 실정에 맞게 개정하였다.
군사
기구
오월 원수부에는 군무가 적지 않다.《십국춘추·오월11·심도문전》운:심도문은 "원수의 부전을 알현하고 군무에 참화하는데 항상 도움이 된다."또 '십국춘추·오월이·무숙왕세제(武肅王世家下)'에 천보(天寶) 13년(920년) 3월 오월왕이 원수부 판관 피광업( 出光業)에게 출사(出使)를 명했고, '오월오·충의왕세제상'에 현덕 2년(955년) 12월, '왕이 원수부 판관 천희언(陳喜彦)이 출사했다.금릉을 쳐라; 오월비사 권4 《현 대원수 오월 국왕》에는 건덕오년(967년) 동십월, "왕은 원수부 서기 황이간을 보내 입공한다", [46년] 개보오년(972) 추구월, 왕은 원수부 서기 황이간을 다시 입공하고, 《십국춘추》는 《10국춘추》가 기록되어 있다. [48]
원수부에는 문무료속, [49] 원수부 판관, 장서기, 전알, 치내도 지휘사 등, 설치된 대부분의 '보수군직'이 있지만, [50] 오월원수부와 마추의 천책장군부는 확연히 다르다.마초의 천책상장부는 마초정치에서 특수한 지위에 있고, 최고 권력을 집중하여 군정 대권을 장악하였으며, 천책부학사의 정책 결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는데, 예를 들면 이고(李马)는 초왕 마희범(馬熙犯)이 18학사를 둘 때 이고(李高)를 '학사의 우두머리이자 집권자'로 하였으며, [51] 오월(吳越)이다.원수부의 대외적 기능은 마추의 천책상장부의 중요성보다 권력지위의 역할이 크게 떨어지는 것을 결정하였다.
병과
●
팔도병
오월의 군대는 이른바 항저우 8현이라는 기초 위에 황소가 건부 5년(878년) 8월에 항주를 공격하여 구월극월주(克越州)에 이르렀을 때, 소위 '양절호걸'이 조직되어 황소의군에 대항하고 의군이 남하하자 정식 팔도를 조직하였다.동창은 임안도 세력이 가장 빨리 성장하여, 동창 본인도 팔도의 실질적인 지도자가 되었고, 그래서 전완을 팔도 지휘사에 임명하였다."팔도 밖에는 자계, 보성, 용통, 삼천, 삼천 등이 있다.읍, 십삼도(三都)다." 【52】 팔도의 정확한 명칭은 임안현 석경도, 여항현 청평도, 가흥도, 於잠현 盐잠도, 염관현 염관도, 해창도, 신성현 뉴타운도, 무안도, 동안도, 탕산도, 부춘현, 부춘도, 징장도, 첸탕도 등이다.게다가 첸이 나중에 만든 5개 도(都)는 첸이 패업을 일으킬 수 있는 군사적 기반을 구축했다.첸이 패업을 세운 후에도 팔도병의 이름은 유지되었다. [53]
●
용맹하다
이 군대는 손유의 강졸을 기초로 하여 조직되었는데, 양행밀이 전대의 지원을 받아 손유부를 공격하였을 때 당소종 경복원년(892년) 6월에 손유부졸은 대부분 양행에 의해 밀집되었고, 전장은 일부만 수집되었다.무용도는 창설된 후 중군, 즉 치군으로 편입되는 번진부대의 중역으로 전투력이 다른 부대에 비해 월등히 강하다.무용도는 마침 진종권의 부장이었던 손유원과 달리 채주병을 주축으로 병졸이 용감하고 오랫동안 싸운 병사로서 군기가 무너지고 수탈을 일삼았다.첸이 무장도를 만들었을 때, 그의 행군 사마두稜은 "늑대가 야심을 부린다. 그것은 매일 반드시 화가 된다. 사인대신 싸웁시다"라고 말했다.전완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는데, 나중에 무용도 역시 반란이 일어났고, 전완은 본인도 하마터면 의외의 일을 당할 뻔하였다.무용도는 창단 이래 여러 차례 전공을 세웠으며, 많은 중대한 전투가 참가하였다.무용도 무방비 상태였던 것은 아니지만, 그는 심복애장을 보내 무용도의 도지휘사로서 이 군대를 통솔하도록 했다.무를 오나라에 포로로 잡은 뒤 첸이 천장(陳章)·허재사(許再思)를 차례로 도지휘사로 보내면서 둘 다 손유(孫遺)의 항장이었고, 이는 우융두(武勇都·무용도)의 반란에 복병을 입혔다.무용은 좌·우 두 군으로 나뉘는데, 각 군마다 1명씩 지휘사를 통솔하였는데, 서걸은 무용도우도지휘사, 허재사는 무용을 모두 좌도지휘사하였는데, 그 군사력이 나중에 보충되었다는 증거이다.
●
기타
상직·중직·우직:오월피전홍좌(吳越 避錢弘佐)의휘를피하여모두좌자(左字)를상자로바뀌었기 때문에상직은좌직도(左直都),중직(中直都)은관련기재를발견하였으나,유독우직도(右直都)에관련기재가없다는것은사재산실(史材 。失)의결과가 된다.중직은 오월 전기에 보이지 않고, 빈번하게 출정하는 것으로 보아 오월 후기에 전투력이 비교적 좋은 군대였다. [54]
진무, 진국, 향명: 향명도는 원래 전대의 적 유한홍의 옛 부(部)이며, 전완은 이를 모아 '향명(向明)'이라는 이름을 붙였다.진무와 진국 두 나라는 모두 오월 전기에 보이지 않고, 전각 이후에 새로 조직되거나 개편된 군대였다.
상우청(上右廳)·이호비(佽 。飛)·광무(匡武) : 상우청(上右廳)·이호비( 。飛)·광무(光武) 등 세 부대는 기록에 남아 출정(出行)하는 일도 드물다.
친종,친위,친종,친위군이란 당시 오월(吳越)의 친군(親軍)으로 당말의 번진( 牙鎭)에는 치군(置軍)이 있었는데, 절도사(節度使)의 측근부대로서 대우가 좋았으나, 통제가 쉽지 않아 병변(兵變)이 자주 일어났기 때문에 절도들이 치군 밖에서 친군(親軍)을 결성하여 절수의 측근부대로 삼았다. [54]
경제
수리
개평 4년(910년)에 많은 노동력을 동원하여 전당강 연안의 방석지를 쌓고, 돌덩어리를 가득 채운 거대한 돌 우리(石 。)를 말뚝으로 강가에 고정시켜 견고한 제방을 형성하여 강가의 논밭을 조수침식으로부터 보호하였다.또한 저수( 蓄水) 작용을 하는 저수( 江边水)로 인해 강변의 논밭은 관개(關開)의 이득을 보게 되었다.전조병졸민부(錢镠兵 卒民夫)는 "대죽파지(大竹破之)를 우리로 하여 길이가 수십 장, 중실거석(中實巨石), 이름하여 대목(大木)의 길이가 몇 장이고 가로(橫)을 심었다"며 "안으로는 흙으로 메우고 밖으로는 물가에 나무로써서 기슭에 있는 29척, 입구목(立九木)으로 6중(重)을 지었다"고 한다.혼주를 위하여 초석을 깔고 못을 만들다.'돌로 못을 쌓으면 오월시가 시작된다."이 방해고당은 육화탑에서 간산문까지 길이가 333만8천5백93장, 여기에 토당, 안에 석제를 쌓는 데 두 달여가 걸렸는데, 십만9천4백4십 관을 써서 거의 1억1천 위안을 썼다.
또한 첸훙은 간호군을 설치하고 전당호를 준설하여 관광과 관개라는 두 가지 이익을 얻었으며, 호수를 용진지로 삼아 운하와 통했다.첸은 태호 지역에 4부, 7~8천명의 물을 뿌리는 군인을 두고 준호, 제방 쌓기, 하포 준설을 전담하여 소주, 가흥, 장주 등지의 관개를 누리게 하였다. [55]
수공업
오월비교에는 전쟁이 비교적 드물기 때문에 저장성 월요의 자기 산업 생산은 계속 발전할 수 있고, 생산품의 품질은 여전히 천하제일이다.기물조형 유약, 장식 및 장소공예 등의 방면에서 당대의 풍격을 계승하여 기형이 매우 다양하고 태비가 보편적으로 감소하여 조형이 가볍고 아름답게 변하여 유약과 조형으로 승리하는 유행 스타일을 투사하였다.
오월이 보존해 놓은 인쇄물은 모두 불경이다.1917년 호주의 천녕사 개축 과정에서 석당상비(石 幢像 鼻)의 코 안에 몇 권이 숨겨져 있는 '모든 여래심 비밀 전신 사리보협인 다라니경'의 서화 앞에 '천하병마대원수 오월왕전홍정(錢弘俶)이 《보초인경(寶 发现印經)》 8만4천 권을 발견하여 탑 안에서 공양하였다.현덕삼년병진(956년)세기는 "대규모 인쇄활동이라 할 수 있는데 광순삼년(953)에 완성된 유교 경전서적만 3년 늦다.
1924년 항저우(杭州)의 뇌봉탑이 무너지면서 구멍이 뚫린 타일 안에서 보협인경이 다시 발견됐다.경권에는 '천하 병마대원수 오월왕이 전련하여 만든 경전 8만 4천 권에 관계 벽돌탑을 던져 놓고 영영 공양한다.을해팔월기(乙海八月記)로, 을해는 송태조(宋太祖)의 개보 8년(975)에 탑 안에 감춰져 있던 탑도(塔圖)의 인쇄본(印本)이 함께 발견되었다.전체 길이 1m의 탑 그림은 층마다 1탑씩 4탑이 연결돼 불경 이야기를 담고 있다.병자기의 해는 송태종의 태평흥국 원년(976년)으로 도경각인이 불경보다 1년 늦다.시대가 송나라로 접어들었지만 오월은 흙을 바치지 않고 5대 시대의 인쇄물로 남아 있다.
문화
문학
오월의 문학 발전은 오대 십국 중에서도 비교적 융성한 나라 중의 하나다.정치도 안정되고 경제도 융성했기 때문에 문화도 발달했다.인재가 배출되어 문학가로는 나은·피광업 등이 있다.나은은 평생 작품이 많았는데, 저서로는 《참서》, 《회해우화》, 《상남응용집》, 《강남갑을집》, 《영벽자》 등이 있다. 나은의 시는 경계가 있고 인생에 대한 인식도 깊는데, '맹호연 묘'처럼 당시 서생에 대한 사회적 냉대를 비판한다.녹문은 황토가 얼마 안 돼 선비총에 비해 낮다"고 했다.무덤의 높낮이는 사후 예우의 높낮이를 보여준다.
종교
비천한 출신은 중국 전통 종법제 사회에서 '군권신수(君權神修)'라고 선전하는 사상과 분명 맞지 않으며, 이는 전통 사상에 깊이 영향을 받은 신하들을 통치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그러기 위해서는 온갖 수단을 동원해 출신을 '신격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했고, 불교가 그 한 방편이었다.증국부는 '오대 오월숭불의 원인과 그 영향'이라는 글에서 "전오(錢 。)를 앞에 두고 일석(一石)으로 우뚝 서는 것은 보통의 돌이 아니라 부처의 화신이다.부처가 자신을 신격화하는 데 편승해 만들어낸 신화다. [56] 오월 통치가 100년이 채 되지 않았지만, 항저우 경내에 150여 개의 사원을 지었다수십 개의 탑들과 함께견전박은 불교를 중히 여겼다.
동시에 전완은 발적 과정에서 도사의 집요한 지지를 받았다.전완은 집권 후 도교를 숭배하는 정책을 추진하여 궁관을 세우고 도사를 회유하여 상행재찰(常行齋 蘸)을 지었다.도사 신화에 힘입어 자신의 지배를 공고히 하고, 도교를 통해 봉건적 윤리를 민중에게 주입해 도교 신령들의 군대에 대한 양조와 오월 민중의 복을 기원하기 때문이다.도교는 오월 군사, 정치, 문화에 모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57]
오월시대의 불탑에서는 사리용기, 불경, 조상 등 불교유물이 많이 발견되었는데, 특히 아육왕탑, 각본 보협인경, 금동조상이 가장 특색을 띠고 있다. 【58】 오월시대 항저우의 서호 주변 동굴에 많은 불교조상이 굴착되었는데, 이들 조상은 주로 서호남산의 석굴군, 비래봉석굴군에 분포한 것으로 보아 당시 정토종, 선종사상의 영향을 뚜렷하게 볼 수 있으며, 조상은 만당의 양식을 답습하면서 강남의 특색을 뚜렷하게 하고 있다. [59]
과학 기술
오월시대의 인쇄 기술은 매우 높다.강남 제국의 서적 간판이 흥했고 항저우(杭州)·진링(金陵)·청두(成都)가 당시 3대 인쇄업의 중심지였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오월왕 전정 시기에 항저우 등지에서는 《모든 여래심 비밀 전신 사리보협인 다라니경》 8만4000권을 인쇄하였다. [60]
외교
중원왕조
오대 십국 형세
오대 십국 형세
천우 원년(904년) "돈은 오월왕을 봉하고 조정은 불허한다.주전충이 집권을 위해 한 말은 오왕을 경봉한 것이다.주온이 왕을 칭한 후, 돈을 이용하여 양오을 견제하기 위하여 오월왕 겸 회남절도사로 봉하였다."내가 어찌 손중모사를 할 수 있겠느냐"며 거절을 권유했다. 【13】 그는 연양에서 연량공양으로 변했다.주온은 개평 2년(908)에 돈을 더하고 중령을 지키고, 개평 3년은 태보를 지키며 총애를 과시하고 포섭하였다.양오파는 주번 등을 앞세워 쑤저우(현재의 장쑤)를 포위 공격했다가 쩐의 패배를 당했다.건화 원년(911년)에 상서령을 지키고, 회남과 선을 겸하였다.윤등도 사면행영도통. 주우규가 집권했을 때 증책존전완이 상부였다.주유정은 정명 3년(917년)에 돈을 보태어 천하의 병마도 원수를 개부하여 관직자를 두었다.이듬해 양룽은 경건주(현 강서간주)를 공격해 오월(吳越)의 중원(中原) 북상(北上)을 막아냈고, 첸룽(錢 。)은 해상에서 징징(京京)사단에 입대했다.양말제는 용덕 원년(921년)에 镠조서를 하사하였다.
이존욱(李存 后)은 제건(帝建) 후당(後唐), 전려(錢镠)는 낙양( 洛陽)에 파견되어 헌납하였다고 하며 금인옥책(金印玉 。)을 달라고 청하였는데, 후당(後唐)의 신하들은 모두 요구가 지나치다고 주장하였으나 이존存曲는 그 뜻에 따라 마지못해 승낙하였다이에 첸은 "진해·진동군 절도사(節度使)로 그 아들 원관(元瓘)을 가리켜 오월왕(吳越王)이라 칭하였는데, 명소에서는 궁궐·부서(府署)를 조정(朝亭)이라 칭하고, 그 참좌(參佐)는 신하(神)로 칭하며, 참대조( 。大朝) 백료(百 。)의 호를 참람하였으나 연호를 바꾸지 않았을 뿐이었다.신라·발해에 위작( 伪作)을 붙이고, 해중이락(海中 中夷)은 모두 행봉책(行封 。)으로 보냈다.후당 명종이 즉위하던 초, 안중교가 권력을 잡자, 전완은 "오월왕은 모 관집사에게 삼가 서신을 보냈다"는 글을 보내어 언사가 느리고, 안중교는 그 무례함에 분노하여, 전대의 "원수, 상부, 국왕의 호"를 깎았다.스승으로 벼슬길에 오르다.안중교가 죽은 후에야 이사원은 원래의 관작을 회복하였다. [17]
거란
오월은 남방에서 거란과 가장 먼저 접촉한 국가다.오월은 거란으로 아홉 차례 사자를 보냈는데, 후량 건화 9년(요태조 915년), 정명 2년(신책 원년, 916년), 정명 4년(신책 3년, 918년), 정명 6년(신책 5년, 920년), 용덕 3년(천찬 2년, 923년), 오월보정 7년(천월보정)이다.
오월은 용덕 3년(923년) 4월 마지막으로 량차오(梁朝)의 번속으로 치단(契丹)에 사자를 보냈다.같은 달 리춘욱이 왕으로 칭하고 후당이 건립하였다.10월에 후당이 후량을 멸하자, 오월은 뒤따라 후당을 향해 신하를 칭송하였다.이극용, 리춘욱 부자와 거란의 갈등으로 긴장감이 감돌았다.오월과 거란은 중원왕조의 국책사업을 떠받들면서 관계가 멀어졌다.이런 상황은 후진설립에까지 이어져 비로소 개선됐다. [3]
청태 3년(936년)에 석경은 계단을 우러러 섬겼고, 태원에서 황제로 칭송하여 후진을 세우고 천복(天福)이라는 연호를 바꿔 그해에 후당을 멸망시켰다.오월(吳越)은 후진(後進)에 신하를 걸기 시작하였는데, 석경련(石敬 。)이 거란( 契丹)의 아들 황제였기 때문에 거란과의 관계도 점차 회복되었다.다시 석경당(石敬唐)이 세상을 떠나자 아들인 석중귀(石重貴)가 왕이 된 거란( 。丹)에게 애도를 표하고 거란에게 손만 신하라 칭할 뿐 이후 거란과의 관계는 악화되었다.거란과 후진이 악을 주고받자 오월은 천복팔년(943년)에 치단에게 마지막으로 사절을 보냈고, 이후 양측의 공식 교류는 끊어졌다.
한반도
중국이 5대 난세에 들어섰을 때 한반도 역시 전쟁이 많았던 후삼국 시대에 접어들었다.바로 고려, 후백제, 신라입니다.
삼국 중에서 후백제는 오월(吳越)과 가장 가까운 사이였고, 후백제의 왕 견훤도 오월(吳越)에게 여러 차례 사신을 보냈다.그 이유는 당시 고려와 후백제 사이에 조선반도의 전쟁이 많이 일어났고, 후백제와 신라에서도 작은 전쟁이 끊이지 않았기 때문에 견훤의 정치적 의지가 절실하였기 때문이다.
한 해 후백제가 신라의 수도를 함락시키면서 고려 왕건흥병토벌이 이루어졌고, 후백제는 고려와 교전 중 열세를 당해 고려와 화해를 구하게 되었고, 후백제 왕은 전완에게 중재를 요청하였다.전완은 이들에게 준 문서를 조서(趙書)뿐 아니라 견훤·왕건 등을 경(京)으로 불렀는데, 오월은 종주국으로서 일을 처리한 것이 분명하다.
당시 중원을 5개 왕조가 모두 차지하면서 그 역할을 더 할 수 있었지만 오랜 내란으로 외국과의 교류가 줄거나 중단되기도 했다.오월(吳越)은 연안 국가로서 특별한 시기에 중국을 대표한다.
일본
당나라의 중·일 정상에서 교통의 역사, 즉 일본이 있는 공식, 견당사 파견되고 있는 상인들과 민간 학자와 스님이 있다.당시 일본인 중국 문화의 학습 열의가 대단하다.하지만 개성은, 일본)원년으로 선포한 마지막 ( 838 한번, 견당사 파견한 뒤 일본과 중국의 공식 종료됐다. 전혀 왕래이로써 일본의 민간인들도 중국에 와서 줄고 있다.일본 시절부터 성장에 대한 5대 중·일 관계는 이미 당나라 시절처럼 보이지 못한 것의 시각이다.오, 모두 대부분의 경우 먼저 일본에 파견할수록으로 사자는, 일본, 사자가 오는 답방이다. 북송
사회
편집
오월 시기의 사회 번화도는 비교적 높다.아침저녁으로 시간과 지역에 구애받지 않고 가게를 열고 하루 종일 영업을 할 수 있으며, 테이블·의자·의자 등이 많이 이용된다.상점의 영업 시간은 완전히 상업의 번화한 상황에 근거하여 정하는데, 일반 상점의 대부분은 날이 밝으면 영업을 시작하여 날이 어두워지기 전에 영업을 끝낸다. 음식점과 술집, 다방의 영업 시간은 더욱 길다. 특히 번화한 도시는 새벽 5시부터 밤 3시까지이다. 어떤 것은 심지어는 밤을 새서 영업을 하여 도시민들의 획기적인 새로운 생활 풍속을 형성한다. [61]
인구 민족
편집
민족은 한인을 주체로 하며, 문화는 신석기시대의 양저문화에서 비롯하여 5000년부터 문화공동체가 되었다.오월국이 사용하는 언어는 '강남어', 학술적으로는 '오어', '오언', '휘주 사투리'로 중국어 오방언의 한 갈래(휘엄영화)로 불린다. [62]
장쑤성과 저장성 지역은 당말 전란으로 인해 인구 손실이 크다.전 씨가 오월정도를 항저우로 정한 뒤에야 인구는 늘기 시작했다.항저우 성의 경우 왕밍칭(王明淸) '옥조신지(玉照新志)' 권오칭(權五 。)이 "항주는 당(唐)에 있고, 번웅은 고모소( 会蘇)·회계2군보다 못하며, 첸(錢)이 나라를 세웠기 때문"이라고 했다. [63]
오월 100년 가까운 국경에서 안민(安民)이 지켜낸 국책사업으로 생산을 늘려 재적 55만684가구를 보유해 당나라 천보(天寶) 때의 재적가(在籍)에 근접했다.건국의 초기보다 인구가 많이 늘어났고, 북송의 저장성 지역의 높은 인구 증가를 위해 높은 인구 기반을 제공했다는 설명이다.
국군 가계
编辑
吴越王列表庙号谥号姓名生卒年年号及使用时间
编辑
吴越王列表庙号谥号姓名生卒年年号及使用时间
太祖 | 武肃王 | 852年-932年 | 开平(907年-911年)(使用后梁纪年) 乾化(911年-913年)(使用后梁纪年) 凤历(913年)(使用后梁纪年) 乾化(913年-915年)(使用后梁纪年) 贞明(915年-921年)(使用后梁纪年) 龙德(921年-923年)(使用后梁纪年) 同光(923年-926年)(使用后唐纪年) 天成(926年-930年)(使用后唐纪年) 长兴(930年-932年)(使用后唐纪年) | |||||||||||||||||||||||||||||||||||||||||||||||||||||||||||||||||||||||||||||||||||||||||||||||||||||
世宗 | 文穆王 | 887年-941年 | 长兴(932年-933年)(使用后唐纪年) 应顺(934年)(使用后唐纪年) 清泰(934年-936年)(使用后唐纪年) 天福(936年-941年)(使用后晋纪年) | |||||||||||||||||||||||||||||||||||||||||||||||||||||||||||||||||||||||||||||||||||||||||||||||||||||
成宗 | 忠献王 | 928年-947年 | 天福(941年-944年)(使用后晋纪年) 开运(944年-946年)(使用后晋纪年) 天福(947年)(使用后汉纪年) | |||||||||||||||||||||||||||||||||||||||||||||||||||||||||||||||||||||||||||||||||||||||||||||||||||||
- | 忠逊王 | 929年-975年 | 天福(947年)(使用后汉纪年) | |||||||||||||||||||||||||||||||||||||||||||||||||||||||||||||||||||||||||||||||||||||||||||||||||||||
- | 忠懿王 | 929年-988年 | 乾佑(948年-950年)(使用后汉纪年) 广顺(951年-953年)(使用后周纪年) 显德(954年-960年)(使用后周纪年) 建隆(960年-963年)(使用北宋纪年) 乾德(963年-968年)(使用北宋纪年) 开宝(968年-976年)(使用北宋纪年) 太平兴国(976年-979年)(使用北宋纪年编辑 吴越王列表庙号谥号姓名生卒年年号及使用时间
|
吴越 (十国之一)
吴越(907年~978年),是五代十国时期的十国之一,统治者为临安钱氏。由钱镠在后梁开平元年(907年)所建,定都杭州。吴越国先后尊后梁、后唐、后晋、后汉、后周和北宋等中原王朝为正朔,并且接受其册封。
在唐亡之前,钱镠忠于唐朝;在朱温篡唐建梁以后,他又向后梁称臣,由是亦从后梁得到了吴越王、诸道兵马都元帅的头衔。后唐灭梁以后,钱镠又向后唐上表称臣,不仅得到了吴越国王、天下兵马都元帅的头衔,而且还得到了玉册金印,以示恩宠。钱镠一面向中朝称臣,一面则自为朝廷。其府署不仅称朝廷、僚属称臣,而且还自立年号,共有天宝、宝大、宝正等三个年号,直到其子钱元瓘继位,才改用中原王朝的年号。同时,他还自行与新罗、渤海等国往来,又给他们行制册、加封爵,俨然中原皇帝。
吴越国自钱镠晚年与南吴通和以后,除两度遣兵入闽国外,并无重大战争。在十国中,吴越国是比较安定的地区。钱镠修筑钱塘江石塘,又置都水营使,主管水利事业,专管治河筑堤,发展了太湖一带的圩田。通过这些措施,使境内农业生产获得发展。
吴越强盛时拥有13州疆域,约为现今浙江省全境、江苏省东南部(苏州市)、上海市和福建省东北部(福州市)一带。吴越国历三代五王,至太平兴国三年(978年)钱弘俶“纳土归宋”,立国七十二年。从唐景福二年(893年)钱镠为镇海军节度使算起,至灭亡前后存八十六年。
中文名吴越 别 名义忠国、吴越国 [1] 时间范围907年 至 978年 都 城杭州(西府) [2] 主要城市绍兴、越州、湖州、苏州、秀州 语 种汉语(吴语方言) 货 币铅质开元通宝钱 人口数量550684户(978年) 疆 域约15万平方公里(945年) 开国君主钱镠
目录
1 国号
2 历史
▪ 囊括两浙
▪ 建国吴越
▪ 王位更替
▪ 纳土归宋
3 疆域
▪ 范围区划
▪ 地方行政
4 政治
▪ 政治体制
▪ 中央官制
▪ 法律制度
5 军事
▪ 机构
▪ 兵种
6 经济
▪ 水利
▪ 手工业
7 文化
▪ 文学
▪ 宗教
8 科技
9 外交
▪ 中原王朝
▪ 契丹
▪ 朝鲜半岛
▪ 日本
10 社会
11 人口民族
12 国君世系
国号
编辑
钱镠世代寒微,他得两浙后,请求唐廷将镇海军移至杭州,自兼镇海、镇东节度使。天复二年(902年),唐封钱镠为越王。天祐元年(904年),钱镠请改封为吴越王,遭拒后经朱全忠奏请,改封吴王。后梁开国,钱镠以拥戴之功,改封为吴越王。 [3] 后唐同光元年(923年),“镠始建国”, [4] 初步建立了政权。
历史
编辑
囊括两浙
钱镠
钱镠
吴越的开国君主钱镠(Liú)在唐乾符年间为石镜将董昌的部校,后渐由偏将而升掌一州之兵。他在剿灭地方叛臣的过程中,经过两次杭越之战占有了两浙之地,维护大唐一统。中和二年(882年),越州观察使刘汉宏与董昌矛盾激化,刘汉宏命其弟刘汉宥与都虞候辛约进驻西陵(今浙江萧山西北),欲吞并杭州。钱镠率八都兵渡过钱塘江,偷袭刘汉宥,大破其部。 [5] 光启二年(886年),董昌命钱镠进攻越州,表示自己占据浙东后会将杭州授于钱镠。钱镠遂率军出平水,开山路五百里,直趋曹娥埭(今绍兴东南约四十余里),收降浙东将领鲍君福。他屡破浙东军,进屯丰山,而后攻破越州。董昌占据浙东,遂自称“知浙东军府事”,移镇越州,将杭州让于钱镠。 [6-7]
唐景福二年(893年),钱镠升任镇海军节度使,驻杭州。乾宁二年(895年),董昌在越州自立为帝,建立大越罗平国,改元顺天。同年五月,唐昭宗削除董昌官爵,又封钱镠为浙江东道招讨使、彭城郡王,令其讨伐董昌。 [8] 遂灭董昌,得越州。乾宁四年(897年)钱镠前往越州,而后返回杭州,以越州为“东府”。从此,钱镠基本控制了两浙,正式形成割据势力。 [9]
钱镠在平定了两浙内部的敌对势力后,基本停止了大规模的征讨。但由于三面受敌,仍经历了多次边境保卫战,主要对手就是淮南节度使杨行密。 [10-12] 天复二年(902年),唐昭宗封钱镠为越王。天佑元年(904年),钱镠上表朝廷,求封吴越王,却被朝廷拒绝,后因朱温斡旋,被改封为吴王。 [13]
建国吴越
后梁开平元年(907年),朱温篡唐称帝,建立后梁,并封钱镠为吴越王,兼任淮南节度使。钱镠不听属下官员“拒梁命”的建议,接受了梁朝册封。中国历史上第一个也是唯一一个钱氏王朝,占据了两浙十三州,成为江浙一带颇有实力的割据者。 [14] 钱镠领浙江西道、浙江东道两道节度使,设西府杭州、东府越州为道治,定都杭州。由于吴越一隅偏安东南,吴越始终尊奉中原为正朔,梁朝封钱镠为吴越王、诸道兵马都元帅。
钱镠丹书铁券
钱镠丹书铁券
龙德元年(921年),钱镠又获赐殊礼,可“诏书不名”。 [15] 此时,前蜀、南吴、南汉、闽等地统治者先后建国称帝,群臣都劝钱镠据吴越称帝,钱镠拒绝。 [16]
龙德三年(923年),钱镠被册封为吴越王,正式建立吴越。他改府署为朝廷,设置丞相、侍郎等百官,一切礼制皆按照皇帝的规格。 [17] [18] 不久,晋王李存勖灭后梁,建立后唐,改元同光。钱镠又遣使进贡,并求取玉册。后唐郭崇韬等大臣都极力反对,认为只有皇帝才可以用玉册。但李存勖最终还是赐予钱镠玉册、金印。新罗、渤海国等海外诸国皆接受钱镠册封,尊其为君长。 [19]
同光四年(926年),李存勖在兵变中遇害,李嗣源即位。中原局势混乱,中原朝廷诏命难以到达吴越。钱镠遂改元宝正。 [20] 关于钱镠改元一事,因后人尊奉中原正朔,对此颇有讳言。 [21] 而洪迈所著《容斋四笔》则称,钱镠在宝正年号之前,还曾改元天宝、宝大。 [22] 长兴二年(931年),李嗣源重新任命钱镠为天下兵马都元帅、尚父、吴越国王,并命监门上将军张篯前往杭州谕旨。 [23] 长兴三年(932年),钱镠去世,终年八十一岁,后唐朝廷赐谥号武肃。 [24]
王位更替
钱镠之后,第五子钱元瓘即位,在位十年,善事中原后唐、后晋政权,保土安民。长兴四年(933年)七月十三日,后唐赐封钱元瓘为吴王。 [25] 后晋天福二年(937年)四月,钱元瓘恢复建国,地位和待遇如同后唐同光年间一样。任用曹仲达、沈崧、皮光业为丞相,镇海节度判官林鼎掌管教令。 [26] 十一月,后晋皇帝石敬瑭下诏,加任钱元瓘为天下兵马副元帅,进封为吴越王。 [27] 天福六年(941年)钱元瓘去世,后晋赐谥号文穆。 [28]
钱元瓘去世后,钱元瓘养子钱弘侑的乳母勾结内牙指挥使戴恽,重臣章德安把钱元瓘去世的消息封锁,伏兵将其戴恽杀死,废钱弘侑为平民。同日,将吏根据钱元瓘的遗命,奉第六子钱佐为节度使。 [29-30] 九月初三日,钱佐继承王位。 [31] 后晋仍封以钱佐为吴越国王。钱佐性格温和谦恭,喜好读书,礼贤下士,亲自勤理政务。后晋开运二年(945年),南唐出兵攻打闽国,闽国君主王延政派遣使者向吴越上表称臣,请求作为吴越的附庸以求得救援。 [32] 钱佐为恤邻保境,不顾臣下反对,下令发兵三万相救,终于取得胜利,保障南部边境安宁。钱佐早年即位后,因尚年幼,无力控制下属的骄横,又曾宠信谄媚之人,然而终能摘奸发伏,亦不失果断。后晋开运二年(945年)十一月,钱佐诛杀内都监使杜昭达、内牙上统军使阚璠,由此吴越吏民都畏惧恐慌。 [33] 后汉天福十二年(947年),钱佐去世,谥号忠献王,庙号成宗。因其子尚年幼,故由其弟钱倧继位。 [34]
开运四年(947年)八月,后汉任命钱倧为东南兵马都元帅,镇海、镇东节度使兼任中书令、吴越王。 [35] 十二月,李孺赟谋反,钱倧派东南面安抚使鲍修让等人攻打李孺赟,将其擒获后诛杀。 [36] 当时内衙统军使胡进思跋扈,干预政事,钱倧深感厌恶,内衙指挥使何承训建议诛杀胡进思,钱倧犹豫不决。何承训怕事情泄露,向胡进思告密。胡进思先发制人,和指挥使诸温等以内衙兵发难,将钱倧软禁在义和院,假传命令,说钱倧因突然中风,传位给其弟钱俶。
纳土归宋
吴越钱氏最难能可贵的是他的“民本”思想。钱镠常说:“民为社稷之本。民为贵,社稷次之,免动干戈即所以爱民也。”他不仅自己不称帝,还反对强藩称帝。他谆谆地教诫子孙要恪守臣节,要“善事中国,勿以易姓废事大之礼”。“要度德量力而识时务,如遇真主,宜速归附。” [37]
钱俶
钱俶
宋开宝八年(975年),钱俶应赵匡胤约,出兵与北宋会师南唐金陵。十二月,钱俶入朝表贺。宋太祖赵匡胤最后消灭了割据政权南唐,十国之中仅剩吴越。高僧延寿乃德韶之法嗣,此时沉疴在身。吴越王钱弘俶前往探病时,对宋灭南唐危及吴越走向,征询延寿的意见,延寿则尽力劝谕钱弘俶“纳土归宋,舍别归总”。
钱俶审时度势,遵循祖宗武肃王钱镠的遗训,以天下苍生安危为念,采纳了延寿临终遗言,为保一方生民,采取“重民轻土”之善举,毅然于太平兴国三年(978年)五月入宋京开封,遵从祖训,决定纳土归宋,将所部十三州,一军、八十六县、五十五万六百八十户、十一万五千一十六卒,悉数献给宋朝,成就了一段顾全大局、中华一统的历史佳话。 [37]
由此,吴越的生产力免遭破坏,人民也免遭生灵涂炭,从而稳定和巩固了中国和平统一的政治局面。北宋著名诗人苏轼曾评说:“其民(指吴越百姓)至于老死,不识兵革,四时嬉游,歌鼓之声相闻,至今不废,其有德于斯民甚厚。”这是对吴越钱氏历史功绩的客观评价。吴越钱氏为中国的和平统一提供了一个成功的范例。千年前的古人具有如此的历史远见和宏大胸怀,实属不易。
疆域
范围区划
吴越地域狭小,极盛时,只辖有杭、越、湖、苏、秀、婺、睦、衢、台、温、处、明、福十三州;另又设有镇海、镇东、中吴、宣德、武胜、彰武等节镇。 [38] 一军十三州分别是:
●
杭州(西府):辖钱塘、钱江、盐官、余杭、富春、桐庐、于潜、新登、横山、武康十县。
●
越州(东府):辖会稽、山阴、诸暨、余姚、萧山、上虞、新昌、剡八县。
●
湖州:辖乌程、德清、安吉、长兴四县。
●
温州:辖永嘉、瑞安、平阳、乐清四县
●
台州:辖临海、黄岩、台兴、永安、宁海五县。
●
明州:辖鄞、奉化、慈溪、象山、望海、翁山六县。
●
处州:辖丽水、龙泉、遂昌、缙云、青田、白龙六县。
●
衢州:辖西安、江山、龙游、常山四县。
●
婺州:辖金华、东阳、义乌、兰溪、永康、武义、浦江七县。
●
睦州:辖建德、寿昌、遂安、分水、青溪等五县。
●
秀州:辖嘉兴、海盐、华亭、崇德四县。
●
苏州:辖吴、晋洲、昆山、常熟、吴江等五县。
●
福州:辖闽、侯官、长乐、连江、长溪、福清、古田、永泰、闽清、永贞、宁德等十一县。
●
安国衣锦军。即今杭州市临安区,是钱镠的诞生地,故特升为衣锦军。
地方行政
吴越在地方制度上,总的来说沿用唐制,采用州、县两级地方行政体制。由于五代时期战乱较多,又滋生出一个崭新的地方行政单位——军。它如同今日的警备区设置,但权力更大,在地位上相当于州级行政单位。
政治
政治体制
同光元年(923年)二月 ,“梁主遣兵部侍郎崔协等册命吴越王钱镠为吴越国王,丁卯,始建国”, [39] “置百官,有丞相、侍郎、郎中、员外郎、客省等使”。 [40] 这里值得注意的是丞相系统的建立。这样,吴越国的权力结构由丞相系统、两军系统、元帅府系统构成,形成了由三系统构成的复合体制,即王国体制。
吴越建国后的王国体制由三个系统构成,丞相系统成为权力中枢,两军系统不再专擅地方大权,两军的地位为王国所取代,藩镇徒有其名,其体制在吴越国已经解体。诸州升军,也不符合方镇作为州以上的道级行政实体的固有特征。从各种权力关系来看,吴越国已形成集权政治,体制的转换已经完成。 [41]
中央官制
中央制度上,吴越官制大抵仿效唐制,除了对中原王朝称臣,不设枢密院与枢密使以外,和唐朝时期的官制相似。 [42] 丞相系统的官职甚多,丞相之外,仅见于史籍的就有户部尚书、礼部尚书、工部尚书、刑部尚书、侍郎、金部郎中、职方郎中、国子祭酒、盐铁发运使、谏议大夫、给事中、著作佐郎、司勋郎中、通儒院学士、客省使、右补阙、内供奉等。 [43-44]
自钱镠建国后,吴越的丞相系统是一直存在的。长兴三年(932年)三月庚戊,钱镠卒,钱元瓘袭位,“以遗命去国仪,用藩镇法”。 [45] 天福二年(937年)四月,钱元瓘进封吴越国王。其间的五年中,钱元瓘任命曹仲达为权知政事,丞相系统实际上仍在继续运转。天福六年(941年)九月庚申,钱佐即王位,十二月,进封吴越国王。其间的三个月中,丞相曹仲达摄政事,与钱元瓘袭位之初的情况相同。与元帅府系统不同的是丞相系统发生过变化,变化集中在丞相的建制和地位上。钱镠建国之初,仅设左丞相、右丞相两名,左丞相为杜建徽,史称杜建徽“累从征伐,所至辄取立功”,在讨董昌、平定武勇都之变和睦州刺史陈询叛乱中都建有殊功,“及春秋高,尚能骑射”, [46] 显然是军将出身,擢任丞相的实质是酬功。杜建徽身居相位,实际上并没有起重要的作用。另一位丞相许明除了“舍富春宅为寺,名曰许明寺” [47] 外也别无记载。
丞相系统的变化发生在文穆王时期。《十国春秋·文穆王世家 》载,天福二年(937年)夏四月,钱元瓘复建国,“以曹仲达、沈崧、皮光业为丞相,镇海军节度判官林鼎掌教令”天福三年(938年)“二月乙亥,丞相沈崧卒”。又据《十国春秋·文穆王世家》与《吴越四·忠献王世家》可知天福四年(938年)到天福六年(941年)是曹仲达、皮光业、林鼎三相。文穆王复建国后,丞相人数增加到三名,而且始终保持这样的建制。此外,又新置同参相府事二人(陆仁章、仰仁诠)。忠献王钱佐时期,天福六年(941年)到天福八年(943年)仍为曹仲达、皮光业、林鼎三相。天福八年(943年)二月到开运元年(944年)正月三相相继而亡。此后的丞相为元德昭、钱倧,也有同参相府事一人(郭师从)。忠逊王时期的丞相为元德昭、吴程,钱倧则为同参相府事。忠懿王时期的丞相是元德昭、吴程、钱弘亿、钱弘儇、裴坚、沈虎子 、 崔仁冀。此外,又有同参相府事鲍修让。忠懿王时期的丞相虽多,但由于忠懿王统治时期长达三十二年,诸相任职时间有先后长短。所以,同一时段里一般仍是两至三名丞相,也有同参相府事,体现了吴越中央集权的程度 。 [48]
法律制度
法律制度上,吴越的法律体系同五代其他国家一样,沿用隋唐时期形成的律、令、格、式四种最基本的法律形式,在唐律基础上进行修改,以适应地方实际。
军事
机构
吴越元帅府有不少军务。《十国春秋·吴越十一·沈韬文传》云:沈韬文“为元帅府典谒,参画军务,时时有所裨益”。此外,元帅府在平时也常负有外交使命,如《十国春秋·吴越二·武肃王世家下》载,天宝十三年(920年) 三月,吴越王命元帅府判官皮光业出使于吴;《吴越五·忠懿王世家上》载,显德二年(955年)十二月,“王遣元帅府判官陈彦禧入贡于周,周谕我出兵会击金陵” ;《吴越备史》卷4《今大元帅吴越国王》载:乾德五年(967年) 冬十月,“王又遣元帅府掌书记黄夷简入贡”; [46] 开宝五年(972年)秋九月,王遣元帅府掌书记黄夷简再次入贡;《十国春秋》卷82《吴越六·忠懿王世家下》载,开宝九年(976年)十一月,王遣元帅府牙内都指挥使子惟渲赍通天犀带、金器五百斤、玳瑁五百斤、涂金银香笼等诣宋称贺 。 [48]
元帅府有文武僚属, [49] 如元帅府判官、掌书记、典谒、牙内都指挥使等,所置官属大多“补授军职”, [50] 但吴越元帅府与马楚的天策上将军府有明显不同。马楚的天策上将府在马楚政治中有特殊的地位,集中最高权力,掌握军政大权,天策府学士在决策中起关键作用,如李皋,在楚王马希范置十八学士时,以李皋为“学士之首,且执政柄”, [51] 而吴越元帅府的对外职能决定 它的权力地位作用远不如马楚的天策上将府重要。
兵种
●
八都兵
吴越的军队是在所谓杭州八县的基础上建立起来的,黄巢于乾符五年(878年)八月攻杭州,九月克越州,当时所谓“两浙豪杰”于此时组织起来对抗黄巢义军,义军南下后,他们随之组建了正式的八都。董昌的临安都势力发展最快,董昌本人也成为八都的实际领袖,于是任命钱镠为八都都指挥使。钱镠最后在八都的基础上发展到了十三都,所谓“八都之外有紫溪、保城、龙通、三泉、三镇,是为十三都。” [52] 八都正确名称应该是:临安县为石镜都,余杭县为清平都、嘉兴都,於潜县为於潜都,盐官县为盐官都、海昌都,新城县为新城都、武安都、东安都,唐山县为唐山都,富春县为富春都、静江都,钱塘县为钱塘都,浙江都等。再加上钱镠后来组建的五个都,构建了钱镠创建霸业的军事基础。钱镠创建霸业后,八都兵的名号仍然保留。 [53]
●
武勇
这支军队是以孙儒的降卒为基础组建的,杨行密在钱镠的支持下攻破孙儒部,时在唐昭宗景福元年(892年)六月,孙儒部卒大部分被杨行密收编,钱镠只收编一小部分。武勇都组建后编入中军,中军即牙军,是藩镇部队的中坚力量,战斗力往往强于其他部队。而武勇都恰好具备这样的条件,孙儒原为秦宗权的部将,其军队以蔡州兵为核心,士卒勇悍,为久战之兵,但军纪败坏,掠夺成性。钱镠组建武勇都的时候,其行军司马杜稜说:“狼子野心,它日必为祸,请以士人代之”。钱镠不以为然,后来武勇都果然发生了叛乱,钱镠本人也险遭不测。武勇都自组建以来屡立战功,许多重大战役其都有参加。当然钱镠对武勇都也不是不加防备,他派心腹爱将顾全武为武勇都的都指挥使,统率这支军队。顾全武被吴国俘后,钱镠才先后派陈章、许再思为都指挥使,这两人均为孙儒的降将,这就为武勇都后来的叛乱埋下隐患。武勇都分为左、右两军,每军各有都指挥使一人为统帅,如徐绾曾任武勇都右都指挥使,许再思任武勇都左都指挥使,说明其军力后来有所补充。
●
其他
上直、中直、右直:吴越避钱弘佐之讳,凡是提到左字,均改为上字,故上直都为左直都,中直都已见相关记载,唯独没有右直都的相关记载,应为史材散失的结果。中直都不见于吴越前期,从频繁出征的情况来看,它应该是吴越后期比较有战斗力的军队。 [54]
镇武、镇国、向明:向明都本是钱镠的敌人刘汉宏的旧部,钱镠将其收编后取名“向明”。镇武、镇国二都在吴越前期不见出现,应该是在钱镠之后新组建或者改编的军队。
上右厅、佽飞、匡武:上右厅、佽飞、匡武这三支部队很少见于记载,也很少参加征战。
亲从、亲卫:所谓亲从、亲卫等军,是当时吴越的亲军,唐末的藩镇皆置有牙军,作为节度使的亲信部队,牙军待遇优厚,但不易掌控,经常发生兵变,所以节度使们纷纷在牙军之外,另组建亲军,作为节帅的亲信部队。 [54]
经济
水利
开平四年(910年),钱镠动员大批劳力,修筑钱塘江沿岸捍海石塘,用木桩把装满石块的巨大石笼固定在江边,形成坚固的海堤,保护了江边农田不再受潮水侵蚀。并且由于石塘具有蓄水作用,使得江边农田得获灌溉之利。钱镠命兵卒民夫以“大竹破之为笼,长数十丈,中实巨石;取名大木长数丈,植之横为塘”;“内又以土填之,外用木立于水际,去岸二九尺,立九木,作六重”,称为“混柱”,奠基作成石塘。“筑塘以石,自吴越始”。这条捍海古塘,从六和塔筑到艮山门,长三十三万八千五百九十三丈,外加土塘,内筑石堤,费时两个多月,耗资十万九千四百四十缗,近一亿一千钱。
此外,钱镠设撩湖军,开浚钱塘湖,得其游览、灌溉两利,又引湖水为涌金池,与运河相通。钱镠还在太湖地区设“撩水军”四部、七八千人,专门负责浚湖、筑堤、疏浚河浦,使得苏州、嘉兴、长洲等地得享灌溉之利。 [55]
手工业
由于吴越较少有战争,浙江越窑的瓷业生产能够继续发展,产品质量仍独步天下。器物造型釉色、装饰及装烧工艺等方面继承唐代风格,器形繁多,胎比普遍减薄,造型变得轻巧优美,折射出以釉色和造型取胜的时尚风格。
吴越保存下来的印刷品,所见的都是佛经。1917年湖州天宁寺改建过程中,于石幢象鼻内发现了数卷藏存的“一切如来心秘密全身舍利宝箧印陀罗尼经”卷首扉画前有“天下兵马大元帅吴越王钱弘俶印《宝箧印经》八万四千卷,在塔内供养。显德三年丙辰(956年)岁记”可谓是大规模的印刷活动,仅此广顺三年(953年)完成的儒家经典书籍略晚三年。
1924年杭州雷峰塔倒塌,在有孔的塔砖内再次发现《宝箧印经》。经卷有题记“天下兵马大元帅吴越王钱俶造此经八万四千卷,舍入关系砖塔,永充供养。乙亥八月记”。乙亥是宋太祖开宝八年(975年)同时还发现了藏在砖塔内的塔图印本。塔图全长一米,每层画一塔,四塔连接,画有佛经故事。记文中有丙子记年,为宋太宗太平兴国元年(976年),图经刻印比佛经晚一年。论时代已入宋朝,但这时吴越并未纳土,仍应为五代时期的印刷品。
文化
文学
吴越的文学发展,在五代十国中也是比较兴盛的国家之一。由于政治的安定,经济的景荣,所以文化也发达。人才辈出,文学家有罗隐、皮光业等。罗隐一生作品很多,著作有《谗书》、《淮海寓言》、《湘南应用集》、《江南甲乙集》、《灵壁子》等。 罗隐的诗很有境界,对人生的认识也很深刻,如《孟浩然墓》批判了当时社会对书生的冷遇:“数步荒榛接旧蹊,寒郊漠漠雨凄凄。鹿门黄土无多少,恰到书生冢便低。”坟墓的高低显示了人死后礼遇的高低。
宗教
卑微出身的钱镠,显然不符合中国传统宗法制社会所宣扬的“君权神授”思想,这也必然不利于钱谬对深受传统思想影响的臣民们的统治。为此,他必须努力通过各种手段来“神化”自己的出身,佛教便是他利用的一种手段。曾国富在《五代吴越崇佛的原因及其影响》一文中认为,“面对钱谬,一石屹然而立,这不是普通之石,它是佛的化身。这显然是钱谬有意借助佛以神化自己而炮制出来的神话。 [56] 吴越统治不到百年,可在杭州境内却兴建了150多座寺院与数十座塔幢,可见钱镠对佛教的重视。
同时,钱鏐在发迹过程中,得到道士的秉力支持。钱鏐执政后,推行崇奉道教的政策,兴建宫观,笼络道士,常行斋蘸。其崇道的原因,是要借助道士神化自身,巩固其统治;借道教向民众灌输封建伦理道德,祈求得到道教神灵对其军队的襄助及对吴越民众的福佑。道教对吴越军事、政治、文化都有重要的影响。 [57]
吴越时期的佛塔内往往发现有众多佛教遗物,包括舍利容器、佛经、造像等,尤以阿育王塔、刻本《宝箧印经》、金铜造像最富特色。 [58] 吴越时期杭州西湖周边洞窟开凿了大量的佛教造像,这些造像主要分布在西湖南山石窟群和飞来峰石窟群,从题材上看,明显可见当时净土宗、禅宗思想的影响,造像风格上袭晚唐,同时具有明显的江南特色。 [59]
科技
编辑
吴越时期的印刷技术非常高。历史记载,江南诸国的书籍刊刻曾十分兴盛,杭州、金陵和成都是当时三大印刷业中心。吴越王钱俶时期,杭州等地印制了《一切如来心秘密全身舍利宝箧印陀罗尼经》8.4万卷。 [60]
外交
中原王朝
五代十国形势
五代十国形势
天祐元年(904年),“钱镠求封吴越王,朝廷不许。朱全忠为之言于执政,乃更封吴王”。朱温称帝后,为了利用钱镠牵制杨渥,封钱镠为吴越王兼淮南节度使。有人劝他拒绝梁命,“镠笑曰:‘吾岂失为孙仲谋邪!’遂受之。” [13] 于是他由联杨转变为联梁攻杨。朱温则于开平二年(908年)加钱镠守中书令,开平三年加守太保以示荣宠和拉拢。杨渥派周本等围攻苏州(今属江苏),结果为钱镠所败。乾化元年(911年),加镠守尚书令,兼淮南、宣润等道四面行营都统。朱友珪上台时曾册尊钱镠为尚父。朱友贞于贞明三年(917年)加钱镠天下兵马都元帅,开府置官属。次年,杨隆演攻取虔州(今江西赣州),阻断了吴越北上中原的陆路交通,钱镠就从海上入贡京师。梁末帝于龙德元年(921年)赐镠诏书不名。
李存勖称帝建后唐,钱镠遣使到洛阳贡献,求赐金印玉册,后唐群臣都认为要求过分,但李存勗曲从其意,勉强答应。钱镠于是“以镇海、镇东军节度使名目授其子元瓘,自称吴越王,命所居曰宫殿、府署曰朝廷,其参佐称臣,僭大朝百僚之号,但不改年号而已。伪行制册,加封爵于新罗、渤海,海中夷落亦皆遣使行封册焉”。后唐明宗即位之初,安重诲当权,钱镠遣使致书称“吴越王谨致书于某官执事”,言辞悖慢,安重诲怒其无礼,削去钱镠的“元帅、尚父、国王之号,以太师致仕”。安重诲死后,李嗣源才恢复其原有官爵。 [17]
契丹
吴越是南方最早与契丹接触的国家。吴越共向契丹遣派使者九次,分别在:后梁乾化五年(辽太祖九年,915年)、贞明二年(神册元年,916年)、贞明四年(神册三年,918年)、贞明六年(神册五年,920年)、龙德三年(天赞二年,923年)、吴越宝正七年(天显七年,932年)、后晋天福四年(会同二年,939年)、天福五年(会同三年,940年)、天福六年(会同四年,941年)、天福八年(会同六年,943年)。
龙德三年(923年)四月,吴越最后一次以梁朝藩属的身份,向契丹遣派使者。同月,李存勖称帝,后唐建立。十月,后唐灭后梁,吴越随向后唐称臣。因为李克用、李存勖父子和契丹的矛盾很深,关系紧张。再由于吴越尊奉中原王朝的国策,所以吴越与契丹的关系也就渐渐疏远。这种情况持续至后晋建立才得以改善。 [3]
清泰三年(936年),石敬瑭仰仗契丹,在太原称帝,建立后晋,改年号天福,同年灭后唐。吴越开始向后晋称臣,由于石敬瑭是契丹扶持起来的儿皇帝,吴越与契丹的关系也慢慢恢复从前了。再到石敬塘去世,其子石重贵继位,向契丹告哀,表示对契丹只称孙不称臣,从此后晋与契丹的关系恶化。在契丹和后晋交恶后,吴越于天福八年(943年)最后一次向契丹遣使,此后双方的官方交往便终止了。
朝鲜半岛
在中国进入五代乱世时,朝鲜半岛同样进入了战争繁多的后三国时代。即高丽、后百济、新罗。
三国之中,后百济与吴越的关系最为亲密,后百济国王甄萱也多次向吴越遣使。原因就是因为当时朝鲜半岛的战争多发生于高丽与后百济之间,后百济与新罗也小战不断,甄萱迫切需要寻找一个政治依靠。
因一年,后百济攻陷新罗的首都,导致高丽国王王建兴兵讨伐,后百济在与高丽交战中处于劣势,被迫同高丽求和,后百济国王则请求钱镠出面调停。钱镠不仅把颁发给他们的文书称作诏书,还在诏书里把甄萱、王建等称之为卿,显然吴越是以宗主国的身份在处理事情的。
当时先后占据中原的五个王朝,虽然更有能力担任这个角色,可由于常年处于内乱中,与外国的交往了相对减少,甚至是中断。吴越作为沿海地区的国家,在这个特殊时期下便代表中国担任这个角色了。
日本
唐朝是中日交通史上的一个高峰,即有日本官方遣派的遣唐使,又有民间的学者、商人和僧人。当时日本人学习中国文化的热情非常高涨。但自开成元年(838年),日本最后一次派出遣唐使后,日本与中国的官方往来完全终。至此,日本民间来华的人也逐渐减少。至五代时期,日本对发展中日关系已不再像唐朝时期那样采取积极的态度。大多数情况,都是吴越先派遣使者到日本,出于礼尚往来,日本在遣使者回访。
社会
编辑
吴越时期社会繁华程度较高。人们早晚活动不受时间和地区的限止,商店可以随处开设并全天甚至通宵营业,人们普遍使用桌、椅、凳等。商店营业的时间完全依商业的繁华情况而定,一般商店大多是天明后营业,天黑前息业,而饮食店、酒楼、茶坊的营业时间更长,尤其是繁华的城市自早晨五更到半夜三更,有的甚至通宵营业,形成城镇居民划时代的新的生活习俗。 [61]
人口民族
编辑
民族以汉人为主体,文化源于新石器时代的良渚文化,自5000年起就已成为文化共同体。吴越国所使用的语言被称为“江南话”,学术上称为“吴语”、“吴言”,“徽州方言”则也是汉语吴方言的一个分支(徽严片)。 [62]
江浙地区因唐末战乱,人口耗损大。钱氏建立吴越定都杭州后,人口才开始增长。以杭州城为例,王明清《玉照新志》卷五曰:“杭州在唐,繁雄不及姑苏、会稽二郡,因钱氏建国始盛。” [63]
在吴越近百年保境安民的国策下,发展生产,拥有在籍户55万684户,接近唐朝天宝时的在籍户。说明这里的人口比其建国之初有很大的增长,为北宋江浙地区人口的高增长,提供了较高的人口基数。
国君世系
编辑
编辑
吴越王列表庙号谥号姓名生卒年年号及使用时间
太祖 | 武肃王 | 852年-932年 | 开平(907年-911年)(使用后梁纪年) 乾化(911年-913年)(使用后梁纪年) 凤历(913年)(使用后梁纪年) 乾化(913年-915年)(使用后梁纪年) 贞明(915年-921年)(使用后梁纪年) 龙德(921年-923年)(使用后梁纪年) 同光(923年-926年)(使用后唐纪年) 天成(926年-930年)(使用后唐纪年) 长兴(930年-932年)(使用后唐纪年) | |||||||||||||||||||||||||||||||||||||||||||||||||||||||||||||||||||||||||||||||||||||||||||||||||||||
世宗 | 文穆王 | 887年-941年 | 长兴(932年-933年)(使用后唐纪年) 应顺(934年)(使用后唐纪年) 清泰(934年-936年)(使用后唐纪年) 天福(936年-941年)(使用后晋纪年) | |||||||||||||||||||||||||||||||||||||||||||||||||||||||||||||||||||||||||||||||||||||||||||||||||||||
成宗 | 忠献王 | 928年-947年 | 天福(941年-944年)(使用后晋纪年) 开运(944年-946年)(使用后晋纪年) 天福(947年)(使用后汉纪年) | |||||||||||||||||||||||||||||||||||||||||||||||||||||||||||||||||||||||||||||||||||||||||||||||||||||
- | 忠逊王 | 929年-975年 | 天福(947年)(使用后汉纪年) | |||||||||||||||||||||||||||||||||||||||||||||||||||||||||||||||||||||||||||||||||||||||||||||||||||||
- | 忠懿王 | 929年-988年 | 乾佑(948年-950年)(使用后汉纪年) 广顺(951年-953年)(使用后周纪年) 显德(954年-960年)(使用后周纪年) 建隆(960年-963年)(使用北宋纪年) 乾德(963年-968年)(使用北宋纪年) 开宝(968年-976年)(使用北宋纪年) 太平兴国(976年-979年)(使用北宋纪年编辑 吴越王列表庙号谥号姓名生卒年年号及使用时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