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안기태] 매크로분석■ 확신
[Web발신]
[NH/안기태] 매크로분석
■ 확신을 지운 FOMC
■ 포인트1) 성명문 변화
① 지난 9월 FOMC 성명문에는 ‘인플레이션이 2%를 향해 간다는 확신(Greater Confidence)이 있다’는 문구가 있었는데 이번 11월 FOMC에는 문구가 삭제
■ 포인트2) 확신 문구를 지운 배경
① 첫째, 데이터 때문(Data Dependent). 기자회견에서 파월 의장은 물가를 볼 때 3개월, 6개월, 12개월 전비 상승률을 모두 본다고 했음. 9월 FOMC 이후 현재까지 두 달치 Core PCE 데이터가 업데이트되었는데 3개월 전비 상승률이 2개월 연속 상승. 이를 바탕으로 인플레이션 2% 확신 문구를 삭제
② 둘째, 트럼프 당선 때문. 기자회견에서 파월 의장은 재정정책에 대한 입장은 따로 없지만, 기준금리를 결정할 때 모델에 반영된다고 언급. 트럼프 정부의 결정과 인플레이션, 성장률, 기준금리는 서로 경로를 거쳐 영향을 미침
③ 재정적자는 장기화되면 잠재 성장률을 떨어뜨려 적정 기준금리를 낮출 수 있지만, 그전에 경기부양을 통해 인플레이션과 적정 기준금리를 높일 수 있음. 관세는 시차를 두고 성장률을 떨어뜨릴 수 있지만, 그전에 인플레이션을 높일 수 있음
■ 포인트3) 트럼프 정부 정책이 Fed에 영향
① 2018년~2019년 상반기, 관세 인상과 Fed 기준금리 인상이 겹침. 두 변수가 경제 수요를 낮추면서 인플레이션이 결국에는 제자리로 돌아갔지만 초기 1년 가량은 Core PCE 물가 상승률이 높아짐. 지금은 Fed가 기준금리를 인하하는 단계이기 때문에 그때보다 인플레이션을 높일 수 있는 측면이 있음
② 당장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만을 감안하면 관세는 기준금리 인하 폭을 좁힘. Fed가 제시한 4개 적정기준금리 모델에 대입하면, 관세가 인상되면 Fed 적정 기준금리는 없을 때보다 25bp 높아짐=기준금리 인하 사이클의 경로를 복잡하게 만듦
본문보기: https://m.nhqv.com/c/qnb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