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4년 지방직 지적측량학 기출 총평
2014년 지방직 지적직공무원 준비하신 수험생 여러분 그 동안 고생 많으셨습니다.
합격을 위해 열심히 공부한 만큼 좋은 결과가 있기를 기대하며 잠시나마 무거운 짐을 내려 놓고 힐링하시기 바랍니다.
지적측량학 20문항(법과 관련 8문항, 계산문제 6문항, 기타 6문항이 출제되었으며 계산문제 6문항에서도 법에서 명시한 기준으로 풀 수 있는 문제가 2문항 출제되었다.) 중에 기본적인 문제가 몇 문제 출제되지 않아 체감하는 난이도가 예전보다 높다고 볼 수 있으나 기본서와 문제풀이, 모의고사를 통해 다양한 문제를 접한 수험생들은 80점 이상 득점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나 시험 당일의 특수성을 감안하면 약간의 가감이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1. 계산문제(6문항)
계산문제의 경우 모두 과거 기출문제에서 거의 수치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하게 출제되었으며 난이도는 높지 않아 쉽게 맞힐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2. 지적재조사 특별법(2문항)
지적재조사 측량시 위성측량으로 일필지 경계점측량을 실시할 경우의 기준에 대한 문제와 지적재조사측량의 방법과 검사측량에 대한 문제로 충분히 재조사측량규정은 출제가 예상되었던 만큼 이 부분을 정리하고 학습하였다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됨
3. 총론(5문항)
총론의 경우 측량의 기준 및 원점, 기준점, 지적측량의뢰 및 검사등이 중요한 부분이라고 강조하였으며 과거 기출문제와 비슷한 형태로 문제가 출제되었다.
4. 오차론(1문항)
정규분포와 오차에 대한 문제로 표준편차, 확률오차, 표준오차에 대한 정의를 묻는 문제로 기존의 문제풀이와 모의고사에서 다뤘던 문제임.
5. 측지학(1문항)
지구타원체에 대한 문제로 타원체의 성질 및 활용부분에 대한 지문으로 출제되었음
6. 사진측량(2문항)
공선조건, 공면조건, 기복변위, 에피폴라기하에 대한 정의 및 특징을 묻는 문제로 난이도가 높게 느껴진 문제이지만 답을 찾는데는 큰 무리가 없었을 것으로 판단됨
7. 위성측량(2문제)
GPS초기화 문제와 오차를 묻는 문제로 이번시험에서 고득점을 할 수 있느냐는 이 두 문항에 의해 좌우될 만큼 난이도가 높게 출제되었음
8. 기타(1문항)
합병요건에 대한 문제로 평이하게 출제되었음
2014년 6월23일
송 용희
2014년 지방직 지적측량학 기출문제 정답
문 1. 정규분포와 오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표준편차(σ)는 정규분포곡선 전체의 약 68% 범위를 나타내는 오차이다.
② 확률오차는 정규분포곡선 전체의 50% 범위를 나타내는 오차이다.
③ 확률오차는 0.6745 σ이다.
④ 최확값의 표준오차(σm)는 표준편차(σ)를 관측횟수(n)로 나눈 값이다.
문제풀이 교재 오차론 문제5번
표준 편차와 표준 오차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표준 편차는 관측값으로부터 최확값을 해석하는 방법으로 사용한다.
② 표준 오차는 독립 관측값의 정밀도를 의미하고, 최확값에 대한 정밀도는 표준편차로 나타낸다.
③ 측량 분야에서 넓은 의미로 표준 편차와 표준 오차는 같이 사용한다.
④ 표준 오차는 표준 편차를 관측 횟수의 제곱근으로 나누어 구한다.
문 2. 우리나라 측량기준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위성기준점은 지리학적 경위도, 직각좌표 및 지구중심 직교 좌표의 측정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경위도원점을 기초로 정한 기준점이다.
② 통합기준점은 지리학적 경위도, 직각좌표, 지구중심 직교좌표, 높이 및 중력 측정의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위성기준점, 수준점 및 중력점을 기초로 정한 기준점이다.
③ 지적삼각점은 지적측량 시 수평위치 및 높이 측량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국가기준점을 기준으로 하여 정한 기준점이다.
④ 지적도근점은 지적측량 시 필지에 대한 수평위치 측량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국가기준점, 지적삼각점, 지적삼각보조점 및 다른 지적도근점을 기초로 하여 정한 기준점이다.
문제풀이 교재 총론34번
지적기준점에 대한 용어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지방직 기출)
① 지적기준점은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적측량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시행하기 위하여 국가기준점을 기준으로 하여 따로 정하는 측량기준점이다.
② 지적삼각점은 지적측량 시 수평위치 측량의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국가기준점을 기준으로 하여 정한 기준점이다.
③ 지적삼각보조점은 지적측량 시 수평위치 측량의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국가기준점과 지적삼각점을 기준으로 정한 기준점이다.
④ 지적도근점은 지적측량 시 필지에 대한 수평위치 측량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국가기준점, 지적삼각점, 지적삼각보조점 및 다른 지적도근점을 기초로 하여 정한 기준점이다.
문 3. 측량․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령상 토지소유자가 합병신청을 할 수 있는 경우는?
① 합병하려는 토지의 소유자별 공유지분이 다르거나 소유자의 주소가 서로 다른 경우
② 합병하려는 토지의 지적도 및 임야도의 축척이 서로 다른 경우
③ 합병하려는 토지가 등기된 토지와 등기되지 아니한 토지인 경우
④ 합병하려는 토지에 소유권․지상권․전세권 또는 임차권의 등기가 있는 경우
문 4. 경위의측량방법으로 세부측량을 할 때 경계점 간 실측거리가 60m인 경우, 경계점 좌표로 계산한 거리와의 교차 한계는
① 5 cm ② 7 cm
③ 9 cm ④ 11 cm
문제풀이 교재 세부측량 49번
경위의 측량방법으로 세부측량을 할 때 측량결과도에 기재하는 경계점간 실측거리와 경계점의 좌표에 의한 계산거리와의 차는?(단, 실측거리는 50m이다.) (07서울)
① 8㎝ ② 10㎝
③ 12㎝ ④ 14㎝
문 5. 측량․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 상 측량의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위치는 세계측지계에 기준한 지리학적 경위도와 기본수준면 으로부터의 높이로 표시한다.
② 섬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지역에 대하여는 국토교통부장관이 따로 정하여 고시하는 측량의 원점을 사용할 수 있다.
③ 수로조사에서 간출지의 높이와 수심은 평균해수면을 기준으로 측량한다.
④ 해안선은 해수면이 약최저저조면에 이르렀을 때의 육지와 해수면과의 경계로 표시한다.
2103년 서울시 기출문제 6번
문제6. 측량기준에 대한 설명이다. 이 중 옳은 것은?
① 위치는 세계측지계에 따라 측정한 지리학적 경위도와 최저저조면으로부터의 높이로 표시한다.
② 대한민국 경위도원점(經緯度原點) 및 기본수준면으로 한다.
③ 섬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지역에 대하여는 국토교통부장관이 따로 정하여 고시하는 원점을 사용할 수 있다.
④ 해수면이 약최저저조면에 이르렀을 때의 육지와 해수면과의 경계로 표시한다.
⑤ 국토교통부장관은 수로조사와 관련된 평균해수면, 약최저저조면 및 약최고고조면에 관한 사항을 정하여 고시하여야 한다.
문 6. 축척 1/1,000 지역에서 지적도근점측량을 실시할 때, 2등도선의 수평거리 총합계가 900 m인 경우 연결오차의 허용범위는
① 45 cm ② 46 cm
③ 50 cm ④ 51 cm
문제풀이 교재 지적도근점측량 문제 97번
축척이 1/500 지역에서 1등도선으로 지적도근점측량을 실시할 경우 연결오차에 대한 허용범위는? (단, 도선의 수평거리의 총합계는 800m이다.)
① 24cm 이하 ② 14cm 이하
③ 22cm 이하 ④ 12cm 이하
문 7. 기지점 A의 평면직각좌표가 XA=187m, XB =532m, 기지점 B의 평면직각좌표가 XB =-798 m, YB =-453 m일 경우 ?AB의 방위각은
① 0 ° ② 45 °
③ 135 ° ④ 225 °
문제풀이 지적도근점측량 71번
71번 두 점 A(400,100) B(300,200)인 경우 AB의 방위각은?
① 45° ② 60°
③ 135° ④ 225°
⑤ 315°
문 8. 그림과 같은 토지에서 ?AB =22m, ?AD =15m, ?AC =15m이고, 사각형 DBCE와 삼각형 ADE의 면적비가 m: n=4 : 1일 때 ?AE의 길이는
① 4.0 m
② 4.2 m
③ 4.4 m
④ 4.6 m
모의고사 서울시 2013년 기출
07 AB의 길이 21m, AD길이 14m, AC의 길이 21m인 경우 n : m = 2.5 : 1로 등분하고자 한다. AE의 길이는?
① 8m ② 9m
③ 10m ④ 11m
⑤ 12m
문 9. GPS측량 오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GPS 위성시계오차와 GPS 수신기시계오차는 이중차에 의한 해석처리(double differencing)로 소거할 수 있다.
② 전리층에 의한 전파지연에 따른 오차는 표준 대기모델에 의해 지연량을 계산하여 보정할 수 있다.
③ 다중경로(multi-path)에 따른 영향은 위상측정방식보다 코드 측정방식에서 더 크다.
④ GPS 안테나는 위상특성이 있기 때문에 다른 기종을 혼합한 정지측량에서 정확도가 낮아지므로 수신중심 위치를 보정해야 한다.
해설
전리층에 의한 전파지연에 따른 오차는 L1, L2주파수를 조합하여 처리한다.
문 10. 사진측량의 기하학적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공액선(epipolar line)을 이용한 영상정합(image matching)은 탐색영역을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② 공면조건은 입체사진에서 공간상 임의의 점과 각각의 사진에서 그에 대응하는 점이 동일한 평면에 있어야 한다는 조건을 말한다.
③ 공선조건은 공간상 임의의 점과 그에 대응하는 사진상의 점 및 사진기의 촬영중심이 동일직선에 있어야 한다는 조건을 말한다.
④ 기복변위를 이용하여 사진상의 탑, 굴뚝, 건물 등의 높이를 구할 수 있다.
해설
공액선(epipolar line)을 이용한 영상정합(image matching)은 탐색영역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문 11. 축척 1/3,000 지역에서 등록전환될 토지의 면적이 2,500
① 101.4
③ 304.2
지적측량학 기본서 면적 및 제도 문제28번
28. 등록전환 시 임야대장의 면적이 3,000
① 111
③ 333
문 12. 다음은 우리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는 평면직각좌표의 기준이다. 투영원점의 명칭과 가산수치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서부원점: X=500,000 m, Y=200,000m
② 망산원점: X=500,000 m, Y=200,000m
③ 동해원점: X=600,000 m, Y=200,000m
④ 수치지도 직각좌표계 원점: X=600,000m, Y=200,000 m
해설
수치지도의 경우 좌표계 및 좌표의 기준은 단일평면직각좌표계의 경우는 투영원점의 수치를 X(N) 2,000,000m, Y(E) 1,000,000m로 하며, 좌표계 X축상에서의 축척계수는 0.9996으로 한다.
지적측량학 기본서 제2장 측지학 문제24번 참고
24. 우리나라 평면직각좌표계의 원점을 기준으로 모든 지역에 대한 좌표를 정(+)으로 하기 위해 정한 기준으로 틀린 것은?
① 종선에는 (+)500,000m ② 횡선에는 (+)200,000m
③ 제주도의 종선에는 (+)550,000m ④ 제주도의 횡선에는 (+)250,000m
문 13. 거리측량의 상대오차가 1/10,000일 때, 거리와 각의 오차가 위치 측정에 미치는 영향이 같게 되는 각오차는
① 약 11″ ② 약 14″
③ 약 17″ ④ 약 21″
문제풀이 각측량 63번
각측량에서 각오차가 10초 발생하였다면 거리의 정도는?
①
③
문 14. 지구타원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타원체면의 법선방향은 중력방향과 일치한다.
② 타원체의 장반경(a)과 편평률(f)에 의해 기하학적으로 정의된다.
③ 위도가 ?φ인 지점의 평균곡률반경(
④ 지리학적 경위도 결정 및 지도제작의 기준면이다.
문제풀이교재 측지학 문제12번
다음 중 지오이드에 대한 설명이 타당하지 못한 것은?
① 수준측량에서 기준면으로 평균해수면을 하고 그 높이를 해발 0m로 한다.
② 지오이드는 대륙쪽 높은 산에서는 지구타원체보다 낮게 내려가고 해양에서는 지구타원체보다 높이 올라간다.
③ 지오이드는 위치에너지가 0이 되는 등포텐셜면으로 지구타원체와 해안부근에서 교차한다.
④ 지오이드는 지구타원체와 편차를 나타내며 해수면과 중력은 직각이므로 지오이드는 중력에 수직인 면이다.
⑤ 지오이드는 내부 밀도의 불균일로 인해 표면이 불규칙적이다.
문 15. 아래의 지적기준점측량과 계산법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ㄱ. 지적삼각점측량 a. 교회법, 다각망도선법
ㄴ. 지적삼각보조점측량 b. 평균계산법, 망평균계산법
ㄷ. 지적도근점측량 c. 도선법, 교회법, 다각망도선법
① ㄱ-a, ㄴ-b
② ㄱ-c, ㄷ-b
③ ㄴ-a, ㄷ-b
④ ㄴ-a, ㄷ-c
기출문제 2005년 서울시 기출
문제6. 다음 중 측량 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한 지적측량 계산에 관한 기준으로 바르게 설명된 것은?
① 지적삼각측량의 계산은 전방교회법으로 한다.
② 지적삼각보조측량의 계산은 결합도선법으로 한다.
③ 지적도근측량의 계산은 다각망도선법으로 한다.
④ 세부도근측량의 계산은 평균법으로 한다.
⑤ 세부측량의 계산은 망평균계산법으로 한다.
문 16. 키네매틱(Kinematic) 측량의 초기화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안테나 swap 방법
② 단독측위 방법
③ 기지점 출발 방법
④ OTF 방법
해설
GPS 초기화 방법
1. 정적 초기화
미지정수 결정을 위한 초기화의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이미 좌표를 알고 있는 두 측점에
기지국 수신기와 이동국수신기를 위치 시키는 기지 노선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기지 노선의
길이는 전리층과 대류권 굴절 오차를 무시하기 위해 짧은 기선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검색 범위의 결정은 실수의 미지 정수와 이동국 수신기의 1차 조정 좌표를
확정하기 위해 1차 조정의 통계값을 이용하는데 이는 후처리 키네마틱측량에서 주로
활용하는 초기화 기법이다.
2. 동적 초기화
OTF (On the fly) 기법은 초기화의 단점을 보완한 것으로 미지점에서 뿐만 아니라
이동중에도 초기화를 실시할 수 있는 기법이며 후처리와 실시간 키네마틱 GPS에
모두 응용 가능한 기법이다.
3. 안테나 swap 방법
문 17. 지적재조사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기초측량은 위성측량, 토털 스테이션측량 방법으로 한다.
② 세부측량은 위성측량, 토털 스테이션측량, 항공사진측량 등의 방법으로 한다.
③ 지적소관청은 위성측량, 토털 스테이션측량, 항공사진측량 등의 방법으로 지적기준점측량성과를 검사하여야 한다.
④ 지적기준점의 경우 지적재조사측량성과와 그 검사의 연결 교차가 ± 0.03m 이내일 때에는 최종성과로 결정한다.
모의고사 1회 9번
09 지적재조사측량에 따른 측량성과 검사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이 중 옳은 것은?
① RTK 위성측량으로 측정할 경우 데이터 수신간격은 1초 단위로 하며 측정시간은 고정해를 유지한 상태로 10초 이상으로 한다.
② 정지측위 위성측량으로 할 경우 데이터 수신간격은 15초 단위로 하며 측정시간은 10분 이상으로 한다.
③ 토털스테이션으로 측정할 경우 수평각은 배각법으로 하며, 수평거리는 1회 이상으로 한다.
④ 지적소관청은 토털스테이션측량으로 현지검사측량을 하되, 시준이 불가하여 측량이 곤란한 경우 위성측량으로 할 수 있다.
문 18. 지적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지적측량의 방법 및 절차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② 지적측량의 측량기간은 동지역은 4일, 읍․면지역은 5일로 한다.
③ 경계복원측량 및 지적현황측량성과는 시․도지사, 대도시 시장 또는 지적소관청의 검사를 받지 않는다.
④ 지적측량성과를 전자계산기로 계산하였을 때에는 그 계산성과 자료를 측량부 및 면적측정부로 인정할 수 없다.
문제풀이교재 총론 54
적측량은 지적측량수행자에게 의뢰하여야 한다. 지적측량수행자가 실시한 지적측량 중 지적소관청 또는 시ㆍ도지사에게 측량검사를 받지 않아도 되는 것은?
① 지적확정측량, 경계복원측량 ② 축척변경측량, 지적삼각점측량
③ 지적현황측량, 경계복원측량 ④ 지적분할측량, 지적현황측량
⑤ 지적도근점측량, 지적삼각점측량
문 19. 지적측량성과의 검사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면적측정검사는 필지별로 한다.
② 측량성과를 검사할 때에는 측량자가 실시한 방법을 우선으로 한다.
③ 세부측량 결과를 검사할 때에는 새로 결정된 경계를 검사한다.
④ 지적도근점을 검사할 때에는 주요 도선별로 후방교회법으로 검사할 수 있다.
문제풀이 총론 60번
지적측량성과의 검사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못한 것은?
① 세부측량을 하기 전에 기초측량을 한 경우에는 미리 지적기준점성과에 대한 검사를 받은 후에 세부측량을 하여야 한다.
② 측량성과를 검사하는 때에는 측량자가 한 측량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한다.
③ 세부측량은 새로이 결정된 경계를 검사한다.
④ 면적측정검사는 필지별로 한다.
⑤ 시․도지사 또는 지적소관청은 측량성과 검사결과 측량성과가 부정확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지적측량수행자가 제출한 측량성과를 보완하도록 조치하고, 측량성과검사정리부에 그 사유를 기재한다.
문 20. 지적재조사측량규정 상 RTK 위성측량에 의한 일필지 경계점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측정시간은 고정해를 얻고 나서 30초 이상으로 하며, 데이터 수신간격은 1초로 한다.
② 위성수신기에서 표시하는 PDOP이 3 이하인 경우이거나 정밀도가 수평 4 cm 이상 또는 수직 5 cm 이상인 경우 관측을 중지한다.
③ 위성수신기 초기화 시간이 2회 이상 2분을 초과할 경우 관측을 중지한다.
④ 위성수신기의 정밀도가 ± (20mm± 1 ppm․) 이상인 장비를 사용한다. (단, D는 기선거리(km)이다)
모의고사 6회 15번 문제
15 지적재조사 측량을 RTK 위성측량으로 실시할 경우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동시 수신 위성수는 5개 이상 이어야 한다.
② 위성의 최저 고도각은 15°를 기준으로 한다. 다만, 상공시야의 확보가 어려운 지점에서는 최저 고도각을 30°까지 할 수 있다.
③ 위성수신기에서 표시하는 PDOP이 5이상인 경우 또는 정밀도가 수평 3cm 이상 또는 수직 5cm 이상인 경우 관측을 중지 한다.
④ 위성수신기 초기화 시간이 3회 이상 3분을 초과할 경우 관측을 중지한다.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