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로부터 영웅은 모두 시를 알았다는 뜻으로, 문무(文武)를 겸비해야만 진정한 영웅이라는 말이다.
自 : 스스로 자(自/0)
古 : 예 고(口/2)
英 : 꽃부리 영(艹/5)
雄 : 수컷 웅(隹/4)
盡 : 다할 진(皿/9)
解 : 풀 해(角/6)
詩 : 시 시(言/6)
출전 : 임관(林寬)의 시 가풍대(歌風台)
중국 한(漢)나라를 세운 고조(高祖) 유방(劉邦)은 처음 별 볼 일없는 사람이었다. 농민의 아들로 태어나 가업을 돌보지도 않고 시시껄렁한 불량배와 어울려 다녔다.
그래도 의협심은 남달라 진승(陳勝)의 난 때 호응해 기반을 닦고, 힘이 산을 뽑는 항우(項羽)와 겨뤄 마침내 천하를 손아귀에 넣었다.
유방이 예상외의 통일을 이루게 된 것은 그가 밝힌 대로 한흥삼걸(漢興三傑)로 불리는 장량(張良), 소하(蕭何), 한신(韓信) 등 명신의 도움을 받았기 때문이다.
당(唐)나라의 시인 임관(林寬)은 유방과 관계 깊은 시 ‘가풍대(歌風臺)’에서 그를 높이 치하했다.
莫言馬上得天下(막언마상득천하)
말 위에서 천하를 얻었다고 말하지 말라.
自古英雄盡解詩(자고영웅진해시)
예부터 영웅들은 모두 시를 알았다네.
가풍대와 마상천하(馬上天下)의 유래를 간단히 보자. 유방은 항우를 물리칠 때 큰 도움을 줬던 영포(英布)가 통일 후 반란을 일으키자 친히 군사를 이끌고 나가 진압했다.
돌아가는 길에 고향인 패현(沛縣)에 들러 주연을 베풀고 그 자리에서 대풍가(大風歌)를 읊었다. 후세 사람들이 이 곳에 누대를 짓고 가풍대라 불렀다.
유방은 자신의 배움이 짧은데다 장광설만 늘어 놓는다며 선비들을 무척 싫어했다. 지모가 뛰어난 역이기(酈食其)를 처음 만날 때 두 여인에게 발을 씻기는 무례를 보였다.
변설에 능한 육가(陸賈)가 자신에게 진언을 할 때 옛 고전을 들먹이는 것을 보고 아니꼬워 자신은 말의 등을 타고 천하를 얻었다고 했다. 그래도 잘 참고 받아들였기 때문에 대업을 이룰 수 있었다.
후일 임관은 가풍대를 지나면서 시를 지어 유방이 천하를 통일할 수 있었던 것은 시도 이해하는 문무의 겸비라고 높인 것이다.
임금으로서 문학에도 큰 족적을 남긴 사람으로는 위(魏)나라의 조조(曹操), (曹丕) 부자가 있고 남당(南唐)의 후주(後主) 이욱(李煜)이 있다.
영웅으로 치면 우리의 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 장군이 왜군을 섬멸하면서 남긴 난중일기(亂中日記)가 첫 손에 꼽힐 만하다.
예로부터 영웅은 모두 시를 알았다는 것은 무력뿐만이 아닌 문장에도 뛰어났다는 이야기다. 문(文)은 어디서나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