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리세린:계면 활성제,유화제,보존제
무색투명하고 단맛이 나는 끈기 있는 액체로 흡습성(吸 濕性)이 강하다.
아주 순수한 글리세롤을 강하게 냉각하면, 녹는점 18℃의 결정을 얻는데, 과냉각을 일으키기 쉽다.
물과 알코올에는 임의의 비율로 섞이지만, 탄화수소에는 녹지 않는다.
고순도의 글리세린은 보존제로서 쳔연 방부 역할을 한다.
식물성 오일과 당분 효소 분해에서 얻어지는 시럽과 같은 액체, 비누제조의 부산물로 피부를 매끄럽게 하고 제품의 퍼짐성을 높여줍니다.
지방산 에스테르는 친수기로서 글리세린, 친유기로서 지방산이 에스텔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동식물 유지나 그것들로부터 유래한 지방산과 글리세린을 반응시켜 제조됩니다. 모노글리세라이드는 그 함량, 지방산의 종류에 따라 특성이 있으므로 목적에 따라 제품을 선택할 필요가 있습니다. 일반적인 유화제로서 사용되어지며, 유지의 개질제, 전분 식품의 기포제, 소포제, 보존제등에 사용되어지고 있습니다.
글리세린의 중합도, 지방산의 종류, 에스테르화의 정도에 따라 글리세린의 특성도 다양하다. 글리세린의 중합도가 클수록, 지방산의 탄소수가 적을수록, 에스텔화 정도가 적을수록 수용성이 높은 친수성 유화제가 되고, 반대의 경우에는 친유성 유화제로 사용됩니다.
가용화제, 기포제, 소포제, 유지의 결정조정제, 전분, 식품의 개질제, 생지조절제 등에 이용되며, 코팅제, 세정제, 보존향상제 등으로 이용됩니다.
공업용 : 무적제, 대전방지제 등에 이용됩니다.
지방족 3가 알코올의 하나.
글리세린은 지방산과의 에스테르로서 유지(油脂)나 지질(脂質) 등의 형태로
동 ·식물계에 널리 분포한다.
비누 제조시의 부산물인 폐액(廢液)에서 제조되었으나, 근년에는 석유의 크래킹(분해증류)에 의해 생기는 프로필렌에서 염화알릴을 거쳐 합성하는 방법이나, 효모(酵母)의 글리세롤발효(알코올발효의 한 변형)의 생성물로서 얻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약제로서 관장제(灌 腸劑) ·습윤제 ·점활제(粘滑 劑)로 사용되는 외에, 니트로글리세린의 제조원료로도 쓰인다.
니트로글리세린 제조에 쓰이는 글리세롤은 수분이 포함되어 있으면 부적당하므로, 비중 1.26 이상, 수분 1.5% 이하인 고순도(高 純度)의 것이 사용된다. 이 밖에 프탈산무수물이나 말레산무수물과의 축합(縮合 )에 의한 알키드수지(樹脂)의 제조, 식품 ·화장품의 건조방지제 ·정미제(呈味劑), 도료 ·인쇄잉크 ·투명비누의 제조원료, 분석시약 등에 널리 이용된다. 글리세롤을 약용으로 쓰는 경우는 주로 외용(外 用)인데, 사용할 때는 희석하여 국부에 바르거나 글리세롤연고로 사용한다. 또, 변비에는 보통 50% 희석액 10∼20cc를 관장제로 쓰고, 글리세롤좌약(坐藥)을 사용한다.
<주요 용도>
각종 화장품, 용제, 인쇄잉크, 탄약, 부동액, 제약, 셀로판, 투명비누, 접착제, 알키드수지, 안료, 다이나마이트 등
출처:네이버카페 http://cafe.naver.com/skynlandnyou/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