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이천시 도지리
|
인공습지
|
1,741㎥/일
|
5,010㎡
|
354백만원 |
처리시설 설치위치
|
|
처리시설 개요도 (장치형시설) |
|
유역면적
|
22㏊ |
대상지 특성
|
- 도.농지역으로 도시 35%, 농경지 및 임야 65% 구성 - 평수기 및 갈수기시 생활하수 유입 - 강우시 농경 및 산림배수 유입(용존성과 입자상 물질 혼재) |
처리방안 |
- 초기유출시간 60분 동안의 초기유출량 1,741㎥(체류시간 24시간) 처리 ⇒ 도지리 마을 유입부에 인공습지시설을 설치하여 비점오염원 관리 | |
|
|
|
|
|
|
|
용인시 삼계리
|
인공습지
|
893㎥/일
|
4,181㎡
|
192백만원 |
처리시설 설치위치
|
|
처리시설 개요도 (장치형시설) |
|
유역면적
|
10㏊ |
대상지 특성
|
- 경안천 옆 농경지로 논이 전체의 100% 차지 - 강우시 농배수로를 통하여 비점오염물질 경안천으로 유입 |
처리방안 |
- 초기유출시간 60분 동안의 초기유출량 893㎥(체류시간 52시간) 처리 ⇒ 경안천 하천부지내 인공습지시설을 설치하여 비점오염원 관리 | |
|
|
|
|
|
|
|
용인시 전대리
|
침투도랑
|
94㎥/일
|
599㎡
|
64백만원 |
처리시설 설치위치
|
|
처리시설 개요도 (장치형시설) |
|
유역면적
|
0.8㏊ |
대상지 특성
|
- 45번국도로 강우시 초기우수가 경안천으로 유입 - 배수구역이 도로로 제한되어 차집 및 처리용이 |
처리방안 |
- 초기유출시간 60분 동안의 초기유출량 94㎥(체류시간 0.37시간) 처리 ⇒ 경안천 하천부지내 침투도랑시설을 설치하여 비점오염원 관리 | |
|
|
|
|
|
|
|
용인시 삼계리
|
식생수로
|
40㎥/일
|
346㎡
|
8백만원 |
처리시설 설치위치
|
|
처리시설 개요도 (장치형시설) |
|
유역면적
|
0.3㏊ |
대상지 특성
|
- 45번국도로 강우시 초기우수가 경안천으로 유입 - 배수구역이 도로로 제한되어 차집 및 처리용이 |
처리방안 |
- 초기유출시간 60분 동안의 초기유출량 40㎥(체류시간 1.3시간) 처리 ⇒ 45번국도 도수로 말단에 식생수로를 설치하여 비점오염원 관리 | |
|
|
|
|
|
|
|
용인시 왕산리
|
식생수로
|
420㎥/일
|
1,708㎡
|
82백만원 |
처리시설 설치위치
|
|
처리시설 개요도 (장치형시설) |
|
유역면적
|
28㏊ |
대상지 특성
|
- 농경지, 임야가 전체의 75%차지 - 강우시 농배수로를 통하여 비점오염물질이 경안천으로 유입 |
처리방안 |
- 초기유출시간 60분 동안의 초기유출량 420㎥(체류시간 1.9시간) 처리 ⇒ 경안천 하천부지내 식생수로를 설치하여 비점오염원 관리 | |
|
|
|
|
|
|
|
용인시 초부리
|
식생여과대
|
98㎥/일
|
3,258㎡
|
40백만원 |
처리시설 설치위치
|
|
처리시설 개요도 (장치형시설) |
|
유역면적
|
7㏊ |
대상지 특성
|
- 경안천 변 농경지65%, 도시35%로 구성 - 강우시 농배수로를 통하여 비점오염물질이 경안천으로 유입 |
처리방안 |
- 초기유출시간 60분 동안의 초기유출량 98㎥(체류시간 0.27시간) 처리 ⇒ 경안천 하천부지내 식생여과대를 설치하여 비점오염원 관리 | |
|
|
|
|
|
|
|
용인시 해곡동
|
식생여과대 |
84㎥/일
|
1,966㎡
|
56백만원 |
처리시설 설치위치
|
|
처리시설 개요도 (장치형시설) |
|
유역면적
|
2.5㏊ |
대상지 특성
|
- 농경지와 임야로 임야가 전체의 70%차지 - 강우시 농배수로를 통하여 비점오염물질이 주북천으로 유입 |
처리방안 |
- 초기유출시간 60분 동안의 초기유출량 84㎥(체류시간 0.22시간) 처리 ⇒ 농경지 배수로 말단에 식생여과대를 설치하여 비점오염원 관리 | |
|
|
|
|
|
|
|
광주시 경안동
|
장치형+지하저류조
|
4,708 ㎥
|
9,162 ㎡
|
2,561백만원 |
처리시설 설치위치
|
|
처리시설 개요도 (장치형시설) |
|
유역면적
|
177.7㏊ |
대상지 특성
|
- 광주시,건교부 소유부지로서 계획 시설부지 이용현황으로는 배수펌프장 유수지 로 사용계획이며, 오염원으로는 시가지, 농경지, 임야유출수가 주오염원임 - 년 BOD 발생량 : 8,193.8 kg |
처리방안 |
유입된 강우유출수에 와류를 형성시켜 기름, 그리스 등 부유성 물질은상부에 뜨고 협잡물은 바닥에 가라앉혀 오염물을 제거시키는 구조물로지하저류조 전단에 전처 리시설로 계획함 | |
|
|
|
|
|
|
|
용인시 초부리
|
침투저류지
|
645 ㎥
|
3,463 ㎡
|
375백만원 |
처리시설 설치위치
|
|
처리시설 개요도 (장치형시설) |
|
유역면적
|
9.61㏊ |
대상지 특성
|
- 환경부 소유부지(수변구역)로서 주오염원으로는 공장, 주택, 도로,농경지 유출수 임 - 년 BOD 발생량 : 82.4 kg |
처리방안 |
유입된 강우유출수에 와류를 형성시켜 기름, 그리스 등 부유성 물질은상부에 뜨고 협잡물은 바닥에 가라앉혀 오염물을 제거시키는 구조물로지하저류조 전단에 전처 리시설로 계획함 | |
|
|
|
|
|
|
|
용인시 유방동
|
침투저류지
|
517 ㎥
|
3,325 ㎡
|
224백만원 |
처리시설 설치위치
|
|
처리시설 개요도 (장치형시설) |
|
유역면적
|
9.13㏊ |
대상지 특성
|
- 환경부 소유부지(수변구역)로서 밭으로 사용되고 있었으며, 주오염원으로는 취 락지, 영동고속도로, 임야 유출수임 - 사업부지내로 영동고속도로 확장계획 수립 - 년 BOD 부하량 : 210.5 kg |
처리방안 |
강우유출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투수계수가높은 토양을 통 해 강우유출수를 여과시키면서 오염물질을 제거시키는시설로서 저류지 형태를 취 함 | |
|
|
|
|
|
|
|
광주시 곤지암
|
장치형+지하저류조
|
96 ㎥
|
103.3 ㎡
|
154백만원 |
처리시설 설치위치
|
|
처리시설 개요도 (장치형시설) |
|
유역면적
|
1.6㏊ |
대상지 특성
|
- 건교부 소유부지로서 고수부지로 사용되고 있으며, 주 오염원은도로, 주거지 오 염물질임 - 년 BOD 부하량 : 25.1 kg |
처리방안 |
강우유출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투수계수가높은 토양을 통 해 강우유출수를 여과시키면서 오염물질을 제거시키는시설로서 저류지 형태를 취 함 | |
|
|
|
|
|
|
|
이천 I.C
|
침투도랑
|
135 ㎥
|
443.6 ㎡
|
65백만원 |
처리시설 설치위치
|
|
처리시설 개요도 (장치형시설) |
|
유역면적
|
1.0㏊ |
대상지 특성
|
- 건교부 소유부지로서 자연배수로로 이용되었으며, 주오염원은임야 및 공장(하이 닉스반도체) 구내도로 유출수임 - 년 BOD 부하량 : 142.0 kg |
처리방안 |
초기강우 유출수에 의한 오염물질 수집과 일시 저장 및 지속적으로주변 토양에 침 투를 유도하여 지하수 함양을 돕고, 강우유출수의유출유량 감소 기능을 보유한 시 설 | |
|
|
|
|
|
|
|
영천시 대평리
|
인공습지
|
5,000㎥/일
|
7,100㎡
|
317백만원 |
처리시설 설치위치
|
|
처리시설 개요도 (장치형시설) |
|
대상지 특성
|
- 금호강 지류인 풍락지 유역으로 산지, 농경지(논, 과수), 소규모마을 (민가100여호), 소규모 축사, 온천 위락지가 분포하는 등 강우시 오염도가 높음 - 풍락지 하류는 경작형태 변화로 용수 사용이 매우 적은 반면 상류는 비점오염원 유출로 저수지 수질 및 금호강 상류수질에 영향을 미침 - 강우시 농경배수로로 토양 입자 및 농약 비료, 생활하수 등이 유입됨 |
처리방안 |
- 초기유출시간 100분 동안의 초기유출량 2,500㎥(5,000㎥/일 체류시간 12시간) 처리 ⇒ 풍락지의 유입부에 인공습지시설을 설치하여 비점오염원 관리 | |
|
|
|
|
|
|
|
함안군 산서리
|
식생 여과 수로
|
1,600㎡/일
|
15,000㎡
|
105백만원 |
처리시설 설치위치
|
|
처리시설 개요도 (장치형시설) |
|
유역면적
|
150.5㏊ |
대상지 특성
|
- 농경지역으로 임야와 답이 전체의 74.3% 차지 - 농지배수 등은 강우기에 유입되었다가 양포배수장을 통하여 함안천으로 배수 - 강우시 농경 및 산림배수 유입 (용존성과 입자상 물질 혼재) |
처리방안 |
- 초기유출시간 60분 동안의 초기유출량 1,500㎥ 처리 - 배수로에 직접 유입되는 농경배수 등 오염물질을 차단하고 수제를 이용, 수로의 급격한 흐름을 방지토록 다단으로 조성, 침강성 물질제거와 식생에 의한 인, 질소 등 오염 물질 흡수처리
⇒ 부지확보 등 규모 및 경제성을 고려 농촌지역의 비점오염원 최적 관리 시설인 식생시설에 의한 인, 질소 저감 방법이 적합 | |
|
|
|
|
|
|
|
|
|
1 |
공주시 우성면 상서리 |
농업배수 |
221 |
21,650 |
인공습지 |
11,235 |
2 |
서천군 서천읍 구암리 |
농업배수 |
79 |
8,442 |
인공습지 |
3,945 |
3 |
서천군 장항농공단지 |
농공단지 |
26 |
3,438 |
장치형 |
12,355 |
4 |
논산시 연무읍 양지리 |
축산배수 |
11 |
9,702 |
장치형+인공습지 |
4,006 |
5 |
김제시 장화동 |
농업배수 |
86 |
6,312 |
인공습지 |
1,945 |
6 |
정읍시 덕천면 도계리 |
축산배수 |
60 |
5,441 |
장치형+인공습지 |
3,542 |
7 |
군산휴게소 |
주차장, 도로배수 |
1.6 |
- |
장치형 |
432 | |
|
|
|
|
영산강.섬진강 수계의 경우 아래 표와 같이 2009년까지 준공 및 모니터링을 계획 중에 있다. |
|
|
|
|
|
|
|
1 |
나주시 동수오량농공단지 |
농공단지 |
46 |
283 |
장치형 |
23,933 |
2 |
나주시 성북동 주차장 |
주차장 |
0.26 |
2,834 |
침투형 |
213 |
3 |
나주시 다시면 송촌리 |
농업배수 |
253 |
22,935 |
인공습지 |
13,127 |
4 |
광주시 상무지구1 |
주거지역 |
160 |
946 |
장치형 |
71,280 |
5 |
광주시 상무지구2 |
주거지역 |
131 |
2,419 |
장치형 |
64,109 | |
|
|
|
|
비점오염저감시설에 대한 4대강 시범사업 외에도 중앙정부 및 각 지자체 또는 민간에서 인공습지, 하천변 시설 등 다양한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설치.운영하고 있다. 다음은 주요 사례들을 정리한 것이다. |
|
|
|
대상지 |
경기도 안산시 대부동 시화호 (1997.9 ~ 2001.12) |
처리대상 |
축산폐수, 하수 및 유역비점오염원 |
적용방식 |
- 저류형(인공습지) : 자유흐름식, A=81.6ha - 침강저류지, 갈대식생대, 개방수면, 중도로 구성 |
기대효과 |
- 저농도의 오염도를 보이는 유입하천수 효과적 처리 - 자연학습장 기능을 갖춘 생태공원 |
|
대상지 |
충청북도 보은군 대청호 보청천 (2003) |
처리대상 |
- 미처리 마을하수, 유역비점오염원 - 체류시간 : 4.3일 - 처리용량 : 350㎥/일 |
적용방식 |
- 인공습지 : 보설치에 대한 자연흐름식 (A = 0.5ha) |
기대효과 |
- 오염하천의 정화 - 습지통과유속을 감소시켜 물리적 침전효과를 높임 |
|
대상지 |
전남 장흥군 탐진다목적댐 옴천지구 습지 (2003.12) |
처리대상 |
- 축산폐수, 하수 및 유역비점오염원 - 처리량 : 160㎥/일 |
적용방식 |
- 습식침강지, 자유흐름방식, 생물학적 통합 System (A=48,100㎡) - 침강지 : 8,900㎡, Closewater : 28,760㎡, Openwater : 8,200㎡ Island : 2,240㎡ |
기대효과 |
- 육상과 수상의 중간지대(전이대) 역할을 하는 공간조성 - Open Space 및 자연체험학습 제 |
|
대상지 |
전남 화순군 북면 동복호 길성천 |
처리대상 |
- 유역비점오염원 - 체류시간 : 강우시 17hr - 유입량 : 강우시 53,880㎥/일 |
적용방식 |
저류형(인공습지): 보설치에 대한 자유흐름식, A=4.3ha |
기대효과 |
- 습지를 통해 친환경적으로 수질정화 - 자연경관개선의 효과 |
|
대상지 |
전남 순천시 상사면 주암호 복내천 (2002.12) |
처리대상 |
- 하수처리장 방류수 및 유역비점오염원 - 체류시간 : 5.6일 - 처리용량 : 385㎥/일 |
적용방식 |
저류형(인공습지): 자연흐름방식, A=2.3ha |
기대효과 |
- 대청호 영양염류제거와 하절기 조류 발생저감 - 지속적인 수질개선과 생물의 종다양성부양 |
|
대상지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동댐 |
처리대상 |
- 댐상류 마을의 비점오염원 - 처리량 : 160㎥/일 |
적용방식 |
- 저류형(인공습지) : 자유흐름식, A=950㎡ - 4가지 수질정화조 도입 침전조→1차처리조(부레옥잠)→2차처리조(부레옥잠 + 개 구리밥) → 3차처리조(미나리+개구리밥) |
기대효과 |
- 자연 생태적 수질개선을 도모 - 담수호 수몰지내의 경작행위 등 견제 |
|
대상지 |
- 여주군 금사면 외평리 - 강변으로 형성된 관목과 교목 등의 수변림으로 생물 다양 성이 증대 |
적용방식 |
호안변에 관목과 교목으로 이루어진 호안림대를 조성하고 자 하는 지역 |
기대효과 |
- 호안변의 수림대는 조류(은신처, 휴식처) 등 생물 다양성 을 증진시킴 - 습초지는 수질정화와 함께 곤충류의 서식처로서도 좋은 서식처가 됨 |
|
대상지 |
- 양평군 개군면 하자포리 - 하천을 사이로 발달한 식생군집은 다층의 구조를 형성하 고 있으며, 수질정화에 기여할 수 있음 |
적용방식 |
- 도시내 자연형 하천으로의 복원시 식생형성 기법 - 호안이 훼손된 지역의 자연적인 복원시 도입가능 |
기대효과 |
- 안정적인 호안림의 형성과 수질정화 - 어류, 조류 등의 서식처, 생물다양성 증진 |
|
대상지 |
- 여주군 금사면 외평리 - 완만한 지형에 수생식물군집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어 있음 |
적용방식 |
- 농경지 등 주변의 오염물질을 저감하고자 하는 지역에 가능 - 비교적 완만한 경사를 가진 호안변의 습지대 조성시 가능 |
기대효과 |
- 주변농경지 등에서 배출되는 비점오염원제거 - 완만한 하천과 주변지역 습지대 조성으로 생물다양성 증진 |
|
대상지 |
- 원주시 부론면 법천리 - 강변으로 형성된 관목과 교목 등의 수변림으로 생물다양 성이 증대 |
적용방식 |
- 호안변에 관목과 교목으로 이루어진호안림대를 조성하고 자 하는 지역 |
기대효과 |
- 호안변의 수림대는 조류(은신처, 휴식처) 등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킴 - 습초지는 수질정화와 함께 곤충류의 서식처로서도 좋은 서식처가 됨 |
|
대상지 |
- 용인시 운학동 - 하천을 중심으로 한쪽으로는 산림이 다른 한쪽으로는 농 경지가 형성되어 있음 |
적용방식 |
- 호안변의 복원시 한쪽은 급경사지역이면서, 다른 한쪽은 완경사인 평지인 지역 |
기대효과 |
- 농경지, 산림지역 등의 수질정화 - 생물다양성 증진 |
|
대상지 |
- 충주시 가금면 장천리 - 제방 아래로 형성된 평지는 물이 고이면서 자연스러운 습 지로 발달해 가고 있음 |
적용방식 |
- 비교적 넓은 면적의 습지를 조성하고자 하는 지역 - 수질정화와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킬 지역 |
기대효과 |
- 농지 비점오염원의 수질정화 및 생물다양성 증진 - 경관의 질 향상 |
|
대상지 |
- 양평군 양서면 국수리 - 하천변에 유속과 수위 등의 환경조건에 따라 수생식물군 집이 잘 발달됨 |
적용방식 |
- 습지 및 호안변의 수생식물 식재기역 - 호안을 수생식물로 자연스럽게 형성할 지역 |
기대효과 |
- 소규모의 오염배출지역인 경우 수질정화 효과 기대 - 어류를 비롯한 생물다양성의 증진 - 초본의 군집형성에 따른 경관 향상 |
|
대상지 |
- 용인시 포곡면 배니들 - 강 . 하천변에 형성된 함몰지역에서 수문과 지형 등의 조 건에 의해서 초본, 관목, 교목 등 형성 |
적용방식 |
- 강 . 하천변의 습지조성 지역 - 습지의 호안처리 및 중도 조성지역 |
기대효과 |
- 주변 주거지의 오염물질 정화 - 습지 내 생물다양성 증진과 경관의 질 향상 |
|
대상지 |
- 가평군 외서면 고성리 고재지역 - 강 본류에서 멀어진 호안지역으로 비교적 유속이 느린 지 역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습지로 경관이 우수함 |
적용방식 |
- 호안을 습초지와 수변림 등으로 조성하여 경관을 향상시 킬 지역 - 수상스키나 보트 등 여가활동을 즐길 수 있는 지역 |
기대효과 |
- 수변림과 습초지로 인한 홍수 및 호안침식의 보호 |
|
대상지 |
- 평택시 안중읍 용성1리 - 강과 하천으로부터 연속되는 서식처와 도로, 지형의 변화 등으로 다양한 유형의 서식처 형성 |
적용방식 |
- 비교적 넓은 강과 하천변의 서식처를 조성하고자 하는 지역 - 비교적 다양한 유형의 서식처를 조성하고자 하는 지역 |
기대효과 |
- 도로와 농지에서 유입되는 오염원의 제어 및 수질개선 효 과 기대 - 양서류 등의 야생동물의 서식처 형성 |
|
대상지 |
대구염색단지 완충저류시설 건설공사 |
적용방식 |
- 저류용량 25,200㎥ - 사고유출수 전량을 완충저류시설로 이송 - 강우시 고무보 월류 초기우수를 저류 - 강우시 저류용량 초과시 하천으로 월류 |
기대효과 |
- 수질오염사고시 하천 직유입 차단 - 강우시 비점오염의 방류하천 및 낙동강 수질오염 저감 |
|
대상지 |
구미 23산업단지 완충저류시설 건설공사 |
적용방식 |
- 저류용량 45,900㎥ - 사고유출수 전량을 완충저류시설로 이송 - 강우시 고무보 월류 초기우수를 저류 - 강우시 저류용량 초과시 하천으로 월류 |
기대효과 |
- 수질오염사고시 하천 직유입 차단 - 강우시 비점오염의 방류하천 및 낙동강 수질오염 저감 |
|
대상지 |
함안칠서 산업단지 완충저류시설 |
적용방식 |
- 수질오염사고 방지 및 초기우수를 저류함으로써 수계에 수질개선을 목적으로 함 - 강우시 우수관거 유출수를 완충저류시설에 저류시킨 후 공단폐수종말처리장 또는 유수지로 방류함 - 저류용적 : 11,000㎥ - 단위공정 : 침사 및 스크린시설, 펌프시설 |
기대효과 |
- 수질개선효과 BOD 40%, SS 40% |
|
대상지 |
대구달성 지방산업단지 완충저류시설 |
적용방식 |
- 수질오염사고 방지 및 초기우수를 저류함으로써 수계에 수질개선을 목적으로 함 - 강우시 우수관거 유출수를 완충저류시설에 저류시킨 후 수질오염도에 따라 공단폐수종말처리장 또는 기존 방류 BOX로 방류함 - 저류용적 : 17,000㎥ - 단위공정 : 침사 및 스크린시설, 펌프시설 |
기대효과 |
(5mm이하유입시) BOD 40%, SS 40% |
|
대상지 |
진주상평 지방산업단지 완충저류시설 |
적용방식 |
- 수질오염사고 방지 및 초기우수를 저류함으로써 수계에 수질개선을 목적으로 함 - 강우시 우수관거 유출수를 완충저류시설에 저류시킨 후 공단폐수종말처리장 또는 기존 방류BOX로 방류함 - 저류용적 : 9,000㎥ - 단위공정 : 침사 및 스크린시설, 펌프시설 |
기대효과 |
(5mm이하유입시) BOD 40%, SS 40% | |
|
|
|
|
|
|
|
|
|
용인시 왕산리
|
초기우수여과장치
|
1,901㎥/일
|
25㎡
|
187백만원 |
처리시설 설치위치
|
|
처리시설 개요도 (장치형시설) |
|
유역면적
|
0.6㏊ |
대상지 특성
|
- 45번 국도변으로 강우시 초기우수가 경안천으로 유입됨 - 배수구역이 도로로 제한되어 비점오염물질 차집 및 처리용이 - 도로 비점오염물질이 경안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음 (년 BOD발생량 :91㎏) |
처리방안 |
- 초기유출시간 60분 동안의 초기유출량 82㎥(1,968㎥/일) 처리 - 도로에서 발생되는 초기우수를 장치형(여과형)시설로 유입 및 처리후 경안천 방류 ⇒ 차집이 용이한 지점에 장치형시설 설치 운영 | |
|
|
|
|
|
|
|
광주시 추자리
|
초기우수여과장치
|
2,448㎥/일
|
15㎡
|
34백만원 |
처리시설 설치위치
|
|
처리시설 개요도 (장치형시설) |
|
유역면적
|
0.5㏊ |
대상지 특성
|
- 43번 국도변으로 강우시 초기우수가 경안천으로 유입됨 - 배수구역이 도로로 제한되어 비점오염물질 차집 및 처리용이 - 도로의 비점오염물질이 경안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음 (년 BOD발생량 : 73㎏) |
처리방안 |
- 초기유출시간 60분 동안의 초기유출량 102㎥(2,448㎥/일) 처리 - 도로에서 발생되는 초기우수를 장치형(스크린형)시설로 유입 및처리 후 경안천 방류 ⇒ 우수차집이 용이한 지점에 장치형시설 설치 운영 | |
|
|
|
|
|
|
|
용인시 김량장동
|
침사지와 여재를 이용한 시설
|
6,240㎥/일
|
21㎡
|
196백만원 |
처리시설 설치위치
|
|
처리시설 개요도 (장치형시설) |
|
유역면적
|
3.5㏊ |
대상지 특성
|
- 도시지역으로 주북천으로 유입되어 경안천에 합류됨 - 김량장동의 생활하수, 시가지 및 도로의 비점오염물질이 주북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평시 및 강우시에도 오염부하가 높음(년 BOD발생량 : 504㎏) |
처리방안 |
- 초기유출시간 60분 동안의 초기유출량 260㎥(6,240㎥/일) 처리 - 합류식관거로, 오수 및 강우시 고농도의 초기강우 유출수 처리 - 도시지역에서 발생되는 초기우수를 장치형(여과형)시설로 유입 및처리 후 주북천 방류 ⇒ 우수차집이 용이한 관로말단에 설치 운영 | |
|
|
|
|
|
|
|
용인시 삼가동
|
침사지와 여재를 이용한 시설 |
3,840㎥/일
|
18㎡
|
130백만원 |
처리시설 설치위치
|
|
처리시설 개요도 (장치형시설) |
|
유역면적
|
1.0㏊ |
대상지 특성
|
- 차량등록사업소 주차장으로 금학천으로 유입되어 경안천에 합류됨. - 배수구역이 주차장으로 제한되어 비점오염물질 차집 및 처리용이 - 주차장내 비점오염물질이 금학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음 (년 BOD발생량 : 150㎏) |
처리방안 |
- 초기유출시간 60분 동안의 초기유출량 160㎥(3,840㎥/일) 처리 - 주차장내에서 발생되는 초기우수를 장치형(여과형)시설로 유입 및처리 후 금학천 방류 ⇒ 우수관로 말단에 장치형시설 설치 운영 | |
|
|
|
|
|
|
|
용인시 운학동
|
유동액체고형물 분리장치
|
2,808㎥/일
|
7㎡
|
65백만원 |
처리시설 설치위치
|
|
처리시설 개요도 (장치형시설) |
|
유역면적
|
0.92㏊ |
대상지 특성
|
- 배수구역이 도로로 제한되어 비점오염물질 차집 및 처리용이 - 도로 비점오염물질이 경안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높음 (년 BOD발생량 : 75㎏) |
처리방안 |
- 초기유출시간 60분 동안의 초기유출량 117㎥(2,808㎥/일) 처리 - 도로에서 발생되는 초기우수를 장치형(스크린형)시설로 유입 및처리 후 경안천 방류 ⇒ 우수차집이 용이한 지점에 장치형시설 설치 운영 | |
|
|
|
|
|
|
|
용인시 삼계리
|
유동액체고형물 분리장치 |
8,304㎥/일
|
18㎡
|
115백만원 |
처리시설 설치위치
|
|
처리시설 개요도 (장치형시설) |
|
유역면적
|
0.92㏊ |
대상지 특성
|
- 배수구역이 도로로 제한되어 비점오염물질 차집 및 처리용이 - 도로 비점오염물질이 경안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높음 (년 BOD발생량 : 75㎏) |
처리방안 |
- 초기유출시간 60분 동안의 초기유출량 117㎥(2,808㎥/일) 처리 - 도로에서 발생되는 초기우수를 장치형(스크린형)시설로 유입 및처리 후 경안천 방류 ⇒ 우수차집이 용이한 지점에 장치형시설 설치 운영 | |
|
|
|
|
|
|
|
광주시 광남동
|
우수용와류형 분리기
|
8,894㎥/일
|
13㎡
|
112백만원 |
처리시설 설치위치
|
|
처리시설 개요도 (장치형시설) |
|
유역면적
|
2.96㏊ |
대상지 특성
|
- 아파트단지내 주차장으로 중대천으로 유입되어 경안천에 합류됨. - 배수구역이 단지내 주차장으로 제한되어 초기우수의 차집, 처리 용이 - 아파트 단지내 주차장 비점오염물질이 중대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 하가 높음(년 BOD발생량 : 416㎏) |
처리방안 |
- 초기유출시간 60분 동안의 초기유출량 812㎥(8,894㎥/일) 처리 - 아파트 단지내 주차장에서 발생되는 초기우수를 장치형(와류형)시설로 유입 및 처리후 중대천 방류 | |
|
|
|
|
|
|
|
광주 상번천리
|
우수용와류형 분리기
|
3,005㎥/일
|
5㎡
|
48백만원 |
처리시설 설치위치
|
|
처리시설 개요도 (장치형시설) |
|
유역면적
|
0.6㏊ |
대상지 특성
|
- 중부고속도로 및 45번국도로 강우시 초기우수가 경안천으로 유입됨. - 배수구역이 도로로 제한되어 비점오염물질 차집 및 처리용이 - 도로 비점오염원이 경안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높음. (년 BOD발생량 : 140㎏) |
처리방안 |
- 초기유출시간 60분 동안의 초기유출량 304㎥(7,296㎥/일) 처리 - 도로에서 발생되는 초기우수를 장치형(와류형)시설로 유입 및 처리 후 경안천 방류 ⇒ 우수차집이 용이한 우수관로 말단에 장치형시설 설치 운영 | |
|
|
|
|
|
|
|
용인시 삼계리
|
다단여과
|
960㎥/일
|
44㎡
|
48백만원 |
처리시설 설치위치
|
|
처리시설 개요도 (장치형시설) |
|
유역면적
|
0.7㏊ |
대상지 특성
|
- 45번국도로 강우시 초기우수가 경안천으로 유입됨. - 배수구역이 도로로 제한되어 비점오염물질 차집 및 처리용이 - 도로 비점오염원이 경안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음 (년 BOD발생량 : 108㎏) |
처리방안 |
- 초기유출시간 60분 동안의 초기유출량 40㎥(960㎥/일) 처리 - 도로에서 발생되는 초기우수를 장치형(필터형)시설로 유입 및 처리 후 경안천 방류 ⇒ 우수차집이 용이한 지점에 장치형시설 설치 운영 | |
|
|
|
|
|
|
|
광주보건소
|
다단여과
|
960㎥/일
|
40㎡
|
94백만원 |
처리시설 설치위치
|
|
처리시설 개요도 (장치형시설) |
|
유역면적
|
0.5㏊ |
대상지 특성
|
- 광주시보건소내 주차장으로 강우시 초기우수 목현천으로 유입됨. - 배수구역이 보건소 주차장으로 제한되어 비점오염물질 찻집 및 처리용이 - 주차장내의 비점오염물질이 목현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음 (년 BOD발생량 : 70㎏) |
처리방안 |
- 초기유출시간 60분 동안의 초기유출량 40㎥(960㎥/일) 처리 - 보건소내 주차장에서 발생되는 초기우수를 장치형(필터형)시설로유입 및 처리 후 경안천 방류⇒ 우수차집이 용이한 관로말단에 장치형시설 설치 | |
|
|
|
|
|
|
|
광주시 장지동
|
저류조매디아 및 식생대를 이용한 처리장치
|
336㎥/일
|
84㎡
|
143백만원 |
처리시설 설치위치
|
|
처리시설 개요도 (장치형시설) |
|
유역면적
|
0.3㏊ |
대상지 특성
|
- 3번국도로 강우시 초기우수가 경안천으로 유입됨. - 배수구역이 도로로 제한되어 비점오염물질 차집 및 처리용이 - 도로의 비점오염원이 경안천으로 유입되어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음 (년 BOD발생량 : 45㎏) |
처리방안 |
- 초기유출시간 60분 동안의 초기유출량 14㎥(336㎥/일) 처리 - 도로에서 발생되는 초기우수를 장치형 시설로 유입 및 처리 후경안천 방류 | |
|
|
|
|
|
|
|
광주시 경안동
|
저류조매디아 및 식생대를 이용한 처리장치
|
5000㎥
|
312.4㎡
|
174백만원 |
처리시설 설치위치
|
|
처리시설 개요도 (장치형시설) |
|
유역면적
|
1.4㏊ |
대상지 특성
|
- 건교부 소유부지로서 주차장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주 오염원은도로변 오염 물질임 - 년 BOD 부하량 : 199.6 kg |
처리방안 |
강우유출수에서 기름성분과 협잡물 등을 제거시키는 장치로서회전류를 발생시켜 유수분리조, 경사판침전조 및 메디아 충진조로유입되어 여과, 흡착 등의 제거기작 을 통해 유출수가 정화됨 | |
|
|
|
|
|
|
|
구미시 원평동
|
장치형시설
|
6,120㎥/일
|
261㎡
|
400백만원 |
처리시설 설치위치
|
|
처리시설 개요도 (장치형시설) |
|
유역면적
|
143.5㏊ |
대상지 특성
|
- 주거밀집지역으로 구미천 전체유역면적의 13.8% - 년간 총BOD발생량 51.5천㎏의 39%(20천㎏) 차지 - 2006년까지 하수처리율이 약 70% 달성예정이나 강우시 일부 합류식으로 유출되는 하수와 도로노면에서 유출되는 비점오염물질의 부하가 높은 실정임 |
처리방안 |
- 초기유출시간 40분 동안의 초기유출량 170㎥(6,120㎥/일) 처리 - 분류식 우수관으로 평-갈수시에는 오수차집으로 유량이 다소 적으나, 초기 강우시 고농도의 초기강우 유출수를 처리 ⇒ 구미천 배출 우수토실 전단 맨홀에 장치형(여과형) 시설 설치 | |
|
|
|
|
|
|
|
대구시 논공읍
|
장치형시설
|
19,200㎥/일
|
42㎡
|
500백만원 |
처리시설 설치위치
|
|
처리시설 개요도 (장치형시설) |
|
유역면적
|
18.4㏊ |
대상지 특성
|
- 공단지역으로 용호천 전체유역면적의 2.3% - 년간 총 BOD발생량 39천㎏의 7%(2.6천㎏) 차지 - 공단지역의 사업장 노면 및 도로 배출수 등에 의한 오염도가 높고 불명수 등으로 청천시에도 일부 유출 |
처리방안 |
- 초기유출시간 150분 동안의 초기유출량 2,000㎥(19,200㎥/일) 처리 - 강우시 사업장 노면, 도로 등에서 유출되는 용존성 물질 등을 처리 ⇒ 용호천으로 배출되는 관로에 장치형(침전형) 시설을 설치 운영 | |
|
|
|
|
|
|
|
대구시 대천동
|
하수처리형시설
|
30,000㎥/일
|
10,200㎡
|
9,500백만원 |
처리시설 설치위치
|
|
처리시설 개요도 (장치형시설) |
|
유역면적
|
1,237.8㏊ |
대상지 특성
|
- 대구성서공단을 흐르는 공단천은 대명천과 합류후 배수펌프에 의해 - 진천천으로 배수되어 낙동강(금호강 합류지점 직하류)으로 유입됨 - 공단의 생활하수 및 도로 등 각종 비점오염물질이 공단천으로 유입 (합류식)됨에 따라 평시 및 강우시에도 오염부하가 높음 (년 BOD발생량 : 139천㎏) - 서부하수종말처리장에서 처리하고 있는 공단천(합류식) 하수 등은 강우시 처리 장으로 전량이 유입되지 못하고 방류되어 낙동강 오염의 원인이 됨 |
처리방안 |
- 초기유출시간 180분 동안의 초기유출량 30,000㎥(30,000㎥/일) 처리 - 강우초기 공단천 월류보를 상회하는 초기유출 CSO 처리 ⇒ 서부하수처리장내 여유부지를 확보하여 적정규모의 저류조 및 초고속응집침전 시설을 설치하고 하수처리장과 통합운영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