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漢江) 나들길 산책
![](https://t1.daumcdn.net/cfile/cafe/998879345AAD93FD10)
오늘은 친구 들과 한강 나들길(동작충효길 3코스)산책을 한다
한강 나들길(동작충효길 3코스)는 동작역을 출발하여 한강수변길을 따라 한강의 경치를 만끽할 수
있으며, 한강을 지나 효사정과 용양봉저정에 이르면 옛선인들의 부모님에 대한 효심을 느낄 수 있다.
노들나루공원을 지나 사육신공원에 이르면 최근에 지어진 박물관에서 사육신공원에 대한 모든 정보
를 만날 수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19A93C5AAD93650B)
![](https://t1.daumcdn.net/cfile/cafe/99E7133C5AAD936905)
![](https://t1.daumcdn.net/cfile/cafe/99B86D3C5AAD936E12)
![](https://t1.daumcdn.net/cfile/cafe/99BB253C5AAD93720D)
![](https://t1.daumcdn.net/cfile/cafe/99EFE63C5AAD93760C)
![](https://t1.daumcdn.net/cfile/cafe/99CF07345AAD93F90F)
우리 일행은 4,9호선 동작역 1번출구 에서 10:30에 만나 지하 다리밑 길(좌측)따라 한강변 으로 내리니
한강 수난 구조대 건물과 우측으로 동작 대교 와 노들 까폐가 한눈에 든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1CE54F5AAD951012)
![](https://t1.daumcdn.net/cfile/cafe/9903A64F5AAD950908)
![](https://t1.daumcdn.net/cfile/cafe/993B2A4F5AAD951C10)
엘리베이터를 타고 2층에 오르니 동작 대교 상판 주차장 이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1E144A5AAD959A13)
![](https://t1.daumcdn.net/cfile/cafe/9966CE4F5AAD947C0F)
동작 대교 주차장 에서 본 반포 대교와 서울 시가지
![](https://t1.daumcdn.net/cfile/cafe/99DE154F5AAD948007)
![](https://t1.daumcdn.net/cfile/cafe/99CCBB4F5AAD950D09)
![](https://t1.daumcdn.net/cfile/cafe/9910E44A5AAD959513)
동작 대교 주차장 에서 본 국립 현충원
![](https://t1.daumcdn.net/cfile/cafe/99B2544A5AAD959E10)
![](https://t1.daumcdn.net/cfile/cafe/99B2D84F5AAD95140F)
동작대교 노을카폐로 향 한다.엘리베이터를 타고 오르니 에리베터는 3층 까지 운행 중으로 계단
따라 4층 까폐로 연결도 되고 동작 대교 상판 주차장과 연결 되어 있어 한강변 에서도 이용 할수
있고 동작 대교를 지나다 교량 상판 주차장에 차를 세워 놓고 이용 할수 있도록 설계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가 좀 느리다고 써 있으며 고장난 것은 아니 란다.
동작대교 노을 카폐 건너편 에는 구름 까폐가 위치 해 있으며 3~4층까지 총 2개 층으로 이뤄져
있고 수용인원은 층마다 60여명씩 모두 120여명 정도 란다. 가긍마다 야경의 다채로움과 눈 앞에
보이는 한강의 물결을 낮과 밤이 색다르게 느껴 지는 아름다운 경치를보면서 커피, 쥬스 등 각종
차를 비롯해 와인,수제맥주, 그리고 파스타, 스파게티 등 간단 음료와 식사를 즐길 수 있는 공간
이다.현재는 노을 카폐와 구름카폐 모두가 내부 사정 으로 영업 중단 중에 있다고 표시 되어 있다
동작 대교 상판 주차장에 올라보니 반포 대교 넘어 서울 시가지가 한강과 어울어져 너무도 아름답고
남산도 한눈에 든다 또한 국립 묘지공원 현충원도 보인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8F69345AAD940110)
반포천교를 건너 여의도 방향 으로 산책
![](https://t1.daumcdn.net/cfile/cafe/996A6C345AAD940511)
![](https://t1.daumcdn.net/cfile/cafe/99DE64345AAD94080F)
![](https://t1.daumcdn.net/cfile/cafe/9919F1345AAD940C0E)
![](https://t1.daumcdn.net/cfile/cafe/99959B4A5AAD95A211)
![](https://t1.daumcdn.net/cfile/cafe/9999E94A5AAD95A711)
![](https://t1.daumcdn.net/cfile/cafe/99278D4A5AAD95AA0E)
![](https://t1.daumcdn.net/cfile/cafe/99872B465AAD96170C)
우리는 반포천교 를 건너 산책을 이어 간다.한강 수변길은 자전거 도로 와 보도로 구분 설치 되어
있는데 보도는 붉은색 으로 되어 있다.우리는 한강변 갈대밭,때로는 교량 밑을 지나며 한강과
어울어지는 조망을 즐기며 한강 나들길(흑석역)방향으로 산책을 이어 간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47A4465AAD962D13)
![](https://t1.daumcdn.net/cfile/cafe/99CF90505AAD96AF15)
이야기 정거장에서 흑석역 방향 으로 산책을 이어 간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CC84465AAD961C10)
![](https://t1.daumcdn.net/cfile/cafe/99C0C7465AAD96210A)
![](https://t1.daumcdn.net/cfile/cafe/993F00465AAD962413)
![](https://t1.daumcdn.net/cfile/cafe/99D811465AAD962910)
![](https://t1.daumcdn.net/cfile/cafe/9942A2505AAD96B411)
요란한 가로등 문늬
![](https://t1.daumcdn.net/cfile/cafe/99D8D3505AAD96B815)
![](https://t1.daumcdn.net/cfile/cafe/99CDE0505AAD96BD0E)
![](https://t1.daumcdn.net/cfile/cafe/990425505AAD96C114)
![](https://t1.daumcdn.net/cfile/cafe/99B951505AAD96C507)
서울 흑석 초등 학교
![](https://t1.daumcdn.net/cfile/cafe/99EF86455AAD973E13)
![](https://t1.daumcdn.net/cfile/cafe/996639455AAD974616)
![](https://t1.daumcdn.net/cfile/cafe/995CF2455AAD974A16)
![](https://t1.daumcdn.net/cfile/cafe/99F585455AAD974E13)
서울시가 한강변 산책로 72.96Km구간 에서 3~5 kM마다 조성한 이야기 정거장에 도착 한다.
이곳은 한강의 역사와 문화를 소개 하는 정거장 으로 산책객들이 쉬어 가면서 이지역에 얽혀
있는 역사와 문화를 배우는 공간 으로 천막이 처져 있다.
우리 일행은 이야기정거장 에서 좌측 으로 터널을 지나 흑석 초등 학교를 지나고 흑석역을 지나
효사정 방향 으로 산책을 이어 간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5E02455AAD975316)
계단 공사 중인 효사정
![](https://t1.daumcdn.net/cfile/cafe/995DB9435AAD97BF16)
![](https://t1.daumcdn.net/cfile/cafe/999BC5435AAD97C315)
![](https://t1.daumcdn.net/cfile/cafe/991925435AAD97D108)
![](https://t1.daumcdn.net/cfile/cafe/99DB72435AAD97C714)
![](https://t1.daumcdn.net/cfile/cafe/99E6D8495AAD984316)
![](https://t1.daumcdn.net/cfile/cafe/993A77495AAD98470F)
효사정은 현재 공사 중으로 출입이 어렵다.양해를 구해 뒷편으로 진입을 한다.
효사정(孝思亭)은 조선 세종 때 한성부윤과 우의정을 지낸 공숙공(恭肅公) 노한의 별서(別墅)
였다. 노한은 모친이 돌아가시자 3년간 시묘를 했던 자리(지금의 노량진 한강변)에 정자를
짓고 때때로 올라가 모친을 그리워했으며, 멀리 북쪽을 바라보면서 개성에 있는 아버님 산소를
바라보며 추모했던 곳이다.
효사정이라는 이름은 노한과 동서지간인 이조판서 강석덕이 지었고, 그의 아들 강희맹(姜希孟)
은 <효사정기(孝思亭記)>를 남겼다.효사정의 제자리를 찾기 위해 정인지, 서거정 등의 시문과
신증동국여지승람을 찾아 보았으나 주위환경 변화로 부득이 이 자리를 선정하여 신축하였다
하며 효사정(孝思亭)현판 그씨는 공숙공 노한의 17대 손인 노태우 전 대통령의 친필 이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4776495AAD984B14)
![](https://t1.daumcdn.net/cfile/cafe/9926D6495AAD985214)
![](https://t1.daumcdn.net/cfile/cafe/9920CF495AAD985610)
![](https://t1.daumcdn.net/cfile/cafe/99F721485AAD98C20E)
![](https://t1.daumcdn.net/cfile/cafe/995D28485AAD98C617)
노들 나루 쉼터
![](https://t1.daumcdn.net/cfile/cafe/99CF88485AAD98CA0F)
![](https://t1.daumcdn.net/cfile/cafe/99F8E7485AAD98E214)
![](https://t1.daumcdn.net/cfile/cafe/99FAF6485AAD98E614)
![](https://t1.daumcdn.net/cfile/cafe/9951634F5AAD995414)
한강대교 남단 상도동 터널
![](https://t1.daumcdn.net/cfile/cafe/99E9824F5AAD995913)
![](https://t1.daumcdn.net/cfile/cafe/99587A4F5AAD995C11)
우리 일행은 학도 의용병 현충비를 지나고 노들나루를 지나 한강대교 남단 교차로 에서 상도터널
방면(좌측)으로 길을 건넌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28C94F5AAD996717)
![](https://t1.daumcdn.net/cfile/cafe/99EA26455AAD99D00F)
석단 위에 지어진 용양봉저정(龍驤鳳翥亭)주정소(晝停所)
![](https://t1.daumcdn.net/cfile/cafe/99ABC5455AAD99D517)
![](https://t1.daumcdn.net/cfile/cafe/998AB9455AAD99DD0C)
![](https://t1.daumcdn.net/cfile/cafe/99945E4F5AAD996315)
길을 건너고 나니 용양봉저정(龍驤鳳翥亭)주정소(晝停所)이다.
용양봉저정(龍驤鳳翥亭)은 1791년(조선 정조 15년)에 세워진 건물이다. 정조가
수원 화산에 있는 아버지 장조(사도세자)의 무덤인 현륭원에 참배하러 갈 때, 지금 한강의 한
부분인 노들강에 배다리를 설치하고 건너가 잠시 쉬기 위하여 행궁(行宮)으로 쓰던 곳이다.
일명 주정소(晝停所/조선 시대, 왕이 나들이를 했다가 잠깐 머물러 낮수라를 들던 곳)라고도
불렸던 이곳에는 당시 노들강(한강)에 배다리를 놓는 일을 하는 주교사와 주교대장도 있었다.
이 건물은 견실하고 단아한 정조 대의 행국건축으로 주위에는 일부 건물의 기단부와 주초석이
아직도 남아있어 당초에는 정문과 두어채의 다른 건물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사간통 단층인
이 용양봉저정은 온돌구조로 견실하게 지어졌다.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 되어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2CD1455AAD99E419)
횡단 보도가 없는 노들 나루역/3번출구로 들어가 2번 출구로 나오면 노들나루공원
![](https://t1.daumcdn.net/cfile/cafe/99E57B4D5AAD9A5D18)
![](https://t1.daumcdn.net/cfile/cafe/9967EA4D5AAD9A6115)
![](https://t1.daumcdn.net/cfile/cafe/9963BA4D5AAD9A651A)
![](https://t1.daumcdn.net/cfile/cafe/996E8C4D5AAD9A691A)
![](https://t1.daumcdn.net/cfile/cafe/99892E4D5AAD9A6D14)
![](https://t1.daumcdn.net/cfile/cafe/99C0094D5AAD9A7113)
![](https://t1.daumcdn.net/cfile/cafe/99A7954B5AAD9AE019)
![](https://t1.daumcdn.net/cfile/cafe/9902344B5AAD9AE410)
노들나루공원 축구장과 분수대
![](https://t1.daumcdn.net/cfile/cafe/998D634B5AAD9AE913)
우리 일행은 용양봉저정(龍驤鳳翥亭)을 둘러 보고 건너 편에 자리 하고 있는
노들 공원을 가기 위해 노들역 3번 출구로 들어가 2번 출구로 나와 노들 나루 공원 (배수지 공원)
에 도착 한다.공원의 크기가 그리 큰편은 아니지만 축구장과 분수등을 가춘 공원 으로 서울 불꽃
축제 기간 많은 사람들이 찾는 촬영 장소 이기도 하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FAE1475AAD9F0820)
![](https://t1.daumcdn.net/cfile/cafe/99F1BC4D5AAD9F7820)
![](https://t1.daumcdn.net/cfile/cafe/99266E475AAD9EFF19)
![](https://t1.daumcdn.net/cfile/cafe/9986A44A5AAD9B8319)
![](https://t1.daumcdn.net/cfile/cafe/99AEB74A5AAD9B8718)
![](https://t1.daumcdn.net/cfile/cafe/9919B04A5AAD9B8C16)
![](https://t1.daumcdn.net/cfile/cafe/99C613425AAD9C1F14)
![](https://t1.daumcdn.net/cfile/cafe/996D95425AAD9C2216)
![](https://t1.daumcdn.net/cfile/cafe/99EC6B425AAD9C2C15)
![](https://t1.daumcdn.net/cfile/cafe/99A123425AAD9C301A)
![](https://t1.daumcdn.net/cfile/cafe/99E0C24F5AAD9E751C)
![](https://t1.daumcdn.net/cfile/cafe/9950704F5AAD9E7E1F)
![](https://t1.daumcdn.net/cfile/cafe/99E1B44F5AAD9E831C)
![](https://t1.daumcdn.net/cfile/cafe/99D7F64F5AAD9E8821)
![](https://t1.daumcdn.net/cfile/cafe/9985DD4F5AAD9E8D1E)
![](https://t1.daumcdn.net/cfile/cafe/995CA2475AAD9EF11E)
![](https://t1.daumcdn.net/cfile/cafe/99C800475AAD9EF61C)
![](https://t1.daumcdn.net/cfile/cafe/9952924A5AAD9B7A1A)
![](https://t1.daumcdn.net/cfile/cafe/99ADF34B5AAD9AEE19)
![](https://t1.daumcdn.net/cfile/cafe/9989604B5AAD9AF31A)
![](https://t1.daumcdn.net/cfile/cafe/99D4854B5AAD9AF818)
우리 일행은 노들 나루 공원 (배수지 공원)을 돌아 나와 사륙신 공원 으로 산책을 이어 간다.
사육신 역사공원은 단종3년에 수양대군이 조카인 단종으로부터 왕위를 빼앗고 왕이 되자 이에 불복하고
단종복위에 힘쓰다 목숨을 잃은 성삼문, 박팽년, 하위지, 이개, 유응부, 유성원, 김문기를 모신 곳으로
입구에 홍살문이 있고, 그 안 좌우로 정조6년에 세운 신도비, 1995년에 세운 육각비가 있으며 불이문에
들어서면 의절사가 있다. 사육신 역사공원은 사육신의 충성된 마음과 의로운 몸가짐이 깃들어 있는
곳이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23ED4D5AAD9F811F)
![](https://t1.daumcdn.net/cfile/cafe/996D004D5AAD9F851D)
![](https://t1.daumcdn.net/cfile/cafe/996D224D5AAD9F891D)
![](https://t1.daumcdn.net/cfile/cafe/99C6FB4D5AAD9F8D1B)
![](https://t1.daumcdn.net/cfile/cafe/9989604B5AAD9FF222)
![](https://t1.daumcdn.net/cfile/cafe/9992434B5AAD9FF61B)
![](https://t1.daumcdn.net/cfile/cafe/995DF94B5AAD9FFB23)
![](https://t1.daumcdn.net/cfile/cafe/99FD0A3C5AAD936211)
우리 일행은 사육신 공원을 돌아 나와 노량진 수산 시장 으로 이동 회에 소주 한잔 그리고 점심
식사후 노량진 역 으로 이동 귀가길을재촉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