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의 조류(鳥流)
군함조(암컷) / 군함조(수컷) / 앨버트로스 / 펠리컨 / 펭귄
54. 군함조(軍艦鳥/Lesser Frigatebird)
〔크기〕 70~80cm, 날개 2.5m 〔먹이〕 물고기 〔사는 곳〕 아열대 지역 해안지역 ※활강속도: 시속 150km
군함조는 지리적으로 세 아종(亞種)으로 분류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낙동강 하구, 한강 하구, 청평호, 경포호, 어청도, 외연도, 제주도 등지에서 관찰되었던 기록이 있다.
군함조는 엄청나게 큰 바닷새로, 먹이는 직접 수면에서 잡기도 하지만 종종 갈매기 등 다른 해조류가 잡은 먹이를 쫓아가 빼앗아 먹는 습성이 있다. 깃털은 방수성이 없으며 다리는 매우 짧고 발가락에 물갈퀴가 있기는 한데 헤엄칠 수 없으며 물에서 공중으로 날아오를 수 없다고 한다. 날개는 폭이 좁고 긴데 전체적으로 검은색이며, 꼬리는 긴 제비 꼬리 형태로 갈라져 있다.
암컷은 깃털이 하얗고 수컷은 까만색에 목에 주름진 붉은 피부가 있는데, 구애할 때 이걸 부풀려서 유혹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상공에 암컷이 나타나면 목 주머니를 크게 부풀린 후 부리로 캐스터네츠처럼 ‘따다다닥~’ 소리를 내는 방식인데 암컷이 수컷보다 더 크다.
55. 앨버트로스(Albatross<신천옹:信天翁>)
〔크기〕 80~90cm, 날개 3m 〔먹이〕 물고기 〔사는 곳〕 동중국 해안 및 일본 섬들
앨버트로스는 바닷새 중에서 가장 큰 새로, 날개 길이가 3m나 되는 것도 있다니 믿어지지 않는다.
날개의 양력(揚力)이 큰 수컷은 폭풍이 좀 더 자주 부는 남극과 남극 부근 지역의 하늘을 날아다니고, 암컷은 상대적으로 조용한 아열대 하늘을 날아다닌다. 암컷이 둥지에서 알을 품는 33일 동안에 수컷이 먹이를 찾기 위해 날아다니는 거리가 9,345㎞(2천 3백리)나 된다니 신기하다.
56. 펠리컨(Pelican<사다새>)
〔크기〕 날개 2.5m, 13kg 〔먹이〕 물고기 〔사는 곳〕 호수, 강, 해안지역(전 세계)
펠리컨은 현존하는 조류 중 가장 큰 무리에 속하며 같은 종에서는 수컷이 더 크며 목에 노란색 목 주머니가 달린 것이 특징이다.
새끼는 어머니 목에 주둥이를 들이밀고 어미가 토해낸 물고기를 받아먹는다.
나는 2010년, 혼자 배낭 메고 멕시코 여행(Backpack Traveling)을 3주간 했는데 멕시코 남부 유카탄반도의 끝부분인 칸쿤(Cancun)에서 테마파크로 조성된 쉬까렛(Xcaret)을 1일 관광했다.
거기서 수많은 신기한 것들을 볼 수 있었는데 호수 옆에 엄청나게 큰 펠리칸이 물가에 나와 있어 살그머니 다가갔더니 날아가지 않는다. 그런데 엄청나게 커서 등골이 오싹했던.... 곁에서 찍은 사진 한 장을 남기는 행운이 있었다.
57. 펭귄(Penguin)
〔크기〕 몸길이 40~120cm, 35kg 〔먹이〕 크릴새우, 물고기, 오징어 등 〔사는 곳〕 남극 및 남반구 여러 지역
펭귄은 비록 조류지만 날지는 못하고 걸어 다니며, 남극 얼음바다 속에서 크릴새우 등 먹이를 구하는데 두 발로 걷는 직립보행(直立步行)이라 신기하다. 같은 아종으로 남아프리카 공화국, 나미비아, 아르헨티나, 호주 남부지역이나 뉴질랜드 등에도 서식하는데 남극의 펭귄이 가장 큰 종으로 황제펭귄, 임금펭귄, 젠투펭귄, 아델리펭귄, 턱끈펭귄, 마카로니펭귄 등 6속 17종이 있다. 큰 종은 키가 1m 20cm나 된다니 거의 아이들 신장인데 등은 검은색, 배는 흰색의 턱시도 같은 특유의 털 무늬 때문에 ‘남극의 신사’, ‘남극의 귀염둥이’라고도 불린다. 남극은 너무 춥다 보니 황제펭귄과 임금 펭귄은 발등 위에 알을 낳고 부화한 뒤 새끼를 발등에서 키운다.
또, 영하 2~30도의 추위에 수시로 무서운 눈보라가 휘몰아치니 펭귄들은 몸을 붙이고 둥그렇게 둘러서서 추위와 바람을 피하는데 새끼와 암컷은 가운데 세우고 강한 수컷들이 바깥에 둘러서서 추위와 바람을 막아내며 종족을 보호한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