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는 (고)조선(朝鮮)의 [조(朝)]의 고대한자(금문)입니다.
[ 조(朝) - 금문(金文) ]
[출처 - http://www.internationalscientific.org/CharacterASP/]
-------------------------------------------------------
위에서 보이듯이 아침 [조(朝)]자는 원래는 [아침]을 뜻하려고 만들어진 글자가 아니라
[(고)조선]을 표현한 글자입니다.
위 고대한자는 [물(강)옆에 사는 (고)조선사람들]을 표현한 모양입니다.
[(고)조선]이 해뜨는 동방(東方)에 있기 때문에 후에 차차 [아침]이라는 뜻으로도 쓰이게 되었겠죠.
4천년 이상 전부터 쓰여진 책이라하는 산해경(山海經)이라는 중국 고대 책에 보면
고조선에 대한 글 중 다음과 같은 것이 있죠.
---------------------------------------
동해의 안쪽, 북해의 주변에 나라가 있으니 조선(朝鮮)이라 한다.
조선(朝鮮)은 천독(天毒)인데
그 사람들은 물가에 살고 사람을 존중하고 사랑한다.
[東海之內 北海之隅 有國 名曰 朝鮮 天毒 其人 水居 偎人愛之]
------------------------------------------
위에서 고조선을 천독(天毒)이라 했는데
이는 고조선이 천축국(天竺國)이라는 얘기입니다.
[독(毒)]자가 지금은 '독약'이라는 의미로 많이 쓰이는데
원래는 그와는 전혀 다른 뜻이었고
천독(天毒)은 천축(天竺) 즉 [지상낙원]이라는 뜻입니다.
이는 위 글에서 고조선 사람들이 [사람을 존중하고 사랑한다. (偎人愛之)]라 한 데서 보아도 알 수 있다 하겠습니다.
이는 한국의 근본사상인 [홍익인간(弘益人間)]과 상통한다 하겠으며
[경천애인(敬天愛人)] 사상의 근본을 보여준다 할 수 있겠죠.
그리고 위에서
[ 그 (고조선) 사람들은 물가에 살고 ( 其人 水居 ) ]라는 말이 나오죠.
[ 조(朝) - 금문(金文) ]
[산해경]의 기록과 [고대 한자]의 모양이 일치하죠.
위의 조(朝) 의 고대한자들은 [물(강)가에 사는 사람들]을 뜻하죠.
그리고 위 그림글자의 山 모양은 [ 하늘(天)에 기도하는 모습]
또는 [기도를 끝내고 하늘(天)의 뜻을 사람들에게 전하는 모습]이라 하겠습니다.
즉 [조(朝)라는 글자는 원래 (고)조선 사람들을 표현하기 위해서 생겨난 글자]라 할 수 있겠죠.
따라서 [조(朝)]자가 '아침'이라는 뜻으로 쓰이게 된 것은 후대의 일이라 할 수 있겠죠.
위 [조(朝)]자에서 [비파형동검]과 같이
[원] 과 [태극(太極) 문양] 과 [십자 형태]
가 보이지 않습니까.
그리고 [윷판]이 보이시죠.
[ 윷판 ]
[윷놀이]는 한국 고유의 놀이죠.
한국의 고대 부여시대에 이미 있었고
이는 고조선시대로부터 전래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알려져 있죠.
----------------------------------------------
[조(朝)자가 원래 (고)조선 사람들을 표현하기 위해서 생겨난 글자]인 것은
밀물과 썰물 즉 조수(潮水)를 뜻하는
潮(조)자를 보아도 알 수 있다 하겠습니다.
밀물, 썰물은 '아침'과는 상관 없죠.
한국의 서해안이 [조수간만의 차]가 크기로 유명하죠.
밀물과 썰물이 강력하다는 거죠.
그래서 중국인들이 보기에 밀물, 썰물의 대명사는 [(고)조선)의 바다(물)]
즉
조(朝)의 물(水)
水 + 朝 = 潮
이렇게 된 것이 아닌가 합니다.
위에서
[ (고조선) 사람들은 물가에 살고 ( 其人 水居 ) ]라 했는데
원래 사람은 물(강)가에 살고 싶어하죠.
물은 사람에게 대단히 중요하니까요.
특히 농사짓는 사람들은 물(강)가에 살고 싶어하죠.
그래서 고대문명은 주로 물(강)가에서 발전하죠.
나일강, 메소포타미아의 2강, 인더스강 등등이요.
그런데 문제는 홍수죠.
물(강) 가까이 살면 좋은데 간혹 생기는 홍수가 문제죠.
홍수에 안전하려면 [둑]을 쌓아야죠.
풍납토성 (출처 - http://cafe.naver.com/hisda)
서울 한강가에 [풍납토성]이라는 유명한 성벽(둑)이 있죠.
만들어진 지 2천년 이상 된 것인데 - 고조선(마한) 때 만들어짐.
아직도 저렇게 생생합니다.
한강 옆에 만들어진 이 [풍납토성]은 성벽인 동시에
강물의 범람(홍수)를 막는 역할을 하죠.
물(강)옆에서도 안전하게 살 수가 있죠.
이 성벽(둑)은 자갈, 진흙, 모래 등을 섞어서 만들었다 하는데
2천년 넘게 저렇게 건재하다는 것은 대단한 기술이라 할 수 있겠죠.
- 아마 현대의 기술로 둑을 쌓아도 2백년도 가기 어려울 거라 생각합니다.
이를 보면 고조선인들은 둑을 쌓는 기술이 대단히 뛰어났으며
그래서 물(강)옆에서도 안전하게 살 수 있었고
그래서 고대 중국인들이 고조선인들을 표현할 때
[ (고조선) 사람들은 물가에 산다 ( 其人 水居 ) ]라 한 것이라 봐야겠죠.
물(강)가에 살 수 있는 능력
이에서 고조선인들의 뛰어난 건축술 을 유추할 수 있다 하겠습니다.
-----------------------------------------------
한자가 어디서 먼저 생긴 글자인지는 아래글을 참조하세요.
- 한자는 고대한국에서 먼저 생겨나서 쓰여지다가
중국이 이 한자를 수입하여 중국식으로 좀 바꿔 쓰는 것을 한국이 역수입한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하겠습니다.
----------------------------------------------
고조선의 朝(조) 자의 고대 발음은
들아, 흘아, ㄷ흘아 입니다.
----------------------------------------------
Preclassic Old Chinese: dhraw traw
[출처 - http://starling.rinet.ru/cgi-bin/query.cgi?basename=\data\china\bigchina&root=config&morpho=0]
---------------------------------------------
dhraw = traw
ㄷ흘아, ㅎ들아 , 들아, 흘아
[들아]는 [들의 땅(아)]라는 얘기인데
이는 [달아]라는 얘기입니다. 달의 땅.
고대한국어에서 [달]이란 지금도 응달, 양달, 비탈(달)에서도 보이듯이 땅이란 뜻이며
원래는 그냥 아무 땅이나 [달]이라 한 것이 아니라
중심지를 [달]이라 했습니다.
아사달
고대한국에서는 위와 같은 신전(피라미드)을 [달]이라 했습니다.
- 정확히는 [ㄷ.ㄹ]이라 했죠.
[ㄷ.ㄹ] -> 달, 덜, 돌, 둘, 들, 딜
압록강변의 장군총, 태왕릉이 고구려 때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은 그보다 훨씬 더 고대한국 때 만들어진 것을
나중에 고구려, 발해도 그 곳에서 천제를 지낸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하겠습니다.
[아사달]이라는 말도 원래는 저런 고대한국의 신전(피라미드) 자체를 뜻하며
차차 그 피라미드가 있는 곳 (중심지)를 뜻하게 되고
후에는 고조선 전체를 지칭하는 말로도 쓰이게 됩니다.
[달]이라는 한국어는 [땅]을 뜻하기도 하고 [산(山)]을 뜻하기도 하는데
피라미드가 생김이 [산(山)]처럼 생겨서 그렇습니다.
언덕(산)에 만들어진 동네를 [달동네]라 하죠.
달동네 - 달(산)에 있는 동네.
암석을 한국어로 [돌]이라 하는 것도
원래는 아무 암석이나 [돌]이 아니라
피라미드를 [달]이라 한 데서 [돌]이라는 말이 나왔겠죠.
[아사달]이라는 말은 여러 [달(피라미드)] 중에서도 [아사]의 달
즉 [고조선의 달], [원조 달], [중심 달]을 뜻한다 하겠습니다.
『삼국사기』에 "평양은 본래 선인 왕검의 집이다. (平壤者 本仙人王儉之宅也 )" 라는 말이 나오듯이
평양(平壤)이라는 말이 원래는 도시를 뜻하는 말이 아니라
선인 왕검의 집(仙人王儉之宅)
즉
단군임금의 집(宅)
여기서 집(宅)이란 '주거지'가 아니라
신전(피라미드)
宅(댁, 택)은 지금은 보통 '주거지'를 뜻하는 말로 쓰이지만
원래는 신전(피라미드)를 표현한 글자 중 하나.
평양(平壤)이라는 말도 원래는 '평양이라는 도시 전체'를 뜻하는 말이 아니라
신전(피라미드)를 표현한 글자 중 하나.
" 평양은 본래 선인 왕검의 집이다. (平壤者 本仙人王儉之宅也 )" 라는 말은
삼국사기의 저자가 그보다 훨씬 더 전의 어떤 기록을 보고 쓴 것이라 해야할 것인데
이 말의 원래 뜻은
" (태왕릉과 같은) 피라미드는 원래 단군왕검의 신전(神殿)이다."
라는 말이라 하겠습니다.
위 피라미드는 북한 평양에서 예로부터 단군릉이라 전해오는 것을
북한이 재건한 것.
위 사진의 피라미드는 다시 만든 (재건한) 것이고
진짜 고대 [단군릉]이라 전해지는 피라미드는 저 곳 부근 다른 곳에 있는데
일제가 많이 두들겨 부쉈다 합니다.
일제는 한국인들이 자부심을 느낄만한 것들은 모두 없애려 했죠.
한국인들의 기상을 꺾기 위해서 그랬겠죠.
http://cafe.daum.net/121315/CK3e/257
조(朝)자와 우리 역사
본시 ‘조선(朝鮮)’이라 함은 세상에서 가장 밝게 다스려지는 곳, 즉 천자(天子)가 있는 나라를 두고 하는 말이었다.
천자가 정사를 살피는 곳을 조정(朝廷)이라 하고,
관리들이 조정에 나아갈 때 입는 옷을 조복(朝服)이라 했던 것도
실은 다 조선이라는 조(朝)자에서 연유된 말인 것이다.
그러므로 제후가 조선의 천자를 뵙는 일을 조근(朝覲)이라 하였고,
제후의 신하가 조선의 천자를 뵙는 일을 조빙(朝聘)이라 했던 것이다.
중국의 사서인 <구당서(舊唐書)> 헌종기(憲宗紀)에도 ‘조(朝)는 천자가 다스리는 곳이다’ 하였다.
그래서 그들도 천자가 있는 궁실을 조궁(朝宮)이라 했고,
천자의 명령을 조명(朝命)이라 했으며,
천자의 위엄을 조위(朝威)라 하였던 것이다.
조공(朝貢)이란 원래 조선에 공물을 바치는 것을 말함이었다.
그런데 우리 옛 조선의 강역이 중국의 세력에 밀리고 밀리어 이 좁은 반도 안으로 들어오고
역사가 민멸되어 바뀌게 되자 우리가 되레 중국에 공물을 바치게 되었다.
고구려가 망하고 발해가 망한 후로 말이다.
이 때문에 우리가 조공(朝貢)이라는 말뜻을 깊이 생각해보지도 않고 오해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세상에서 가장 높고 귀한 데에는 반드시 우리 옛 조선이라는 조(朝)자를 먼저 내세웠던 말이
지금까지도 변치 않고 전해지고 있으니,
이제라도 이 조(朝)자로 된 단어를 만나면 한 번 더 생각해보아야 할 것이다.
앞에서 말했듯이 황(皇), 제(帝), 군(君), 공(公), 백(伯) 등 부족장의 호칭이 우리로부터 비롯되었고,
우리만이 임검(壬儉)이라는 칭호를 썼으며, 활을 쏘아 제후를 뽑았다.
제후를 뽑아 작위(爵位)를 주고 봉지(封地)를 내린 사람은 바로 천자였다.
때문에 천자라는 호칭 또한 우리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후한시대 채옹(蔡邕)이 말하였다.
"천자라는 이름이 동이로부터 비롯되었다.
그 풍속이 아비를 하늘이라 하고 어미를 땅이라 한다.
그러므로 천자라 하였다."
우리가 천자의 호칭을 쓰던 옛 조선시대에는 지금의 중국 동북부와 태행산(太行山)을 경계로 한 동남부 전역이 다 동이민족의 영토였다.
그리고 누천년 동안 그 영토를 지키며 태평을 구가하였다.
그래서 중국의 군주는 경계인 태행산 마루에 크게 사당을 짓고
구려국(九麗國)이나 숙신국처럼 해마다 조선의 천자가 계시는 동쪽을 향해 예를 행하였다.
사당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묘(廟)’자는 바로 그렇게 제후국의 군주가 집을 짓고 조선[朝]을 향해 제사를 지냈다는 데서 유래된 것이다.
[박문기 著 『한자는 우리글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