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역사 민국 闽国 기원전 909년~945년 5대10국 오대십국 십국 十国 할거정권
출처:바이두백과 소스:이페어케이
민국 闽国
민국(909~945)은 5대 10개국 중 하나로, 전후에 모두 장락으로 정했다.부(현 푸젠푸저우), 건저우(현 푸젠젠젠어우).지배지역은 지금의 푸젠성과 대체로 비슷하다.
909년 왕은 후량에 의해 민왕으로 봉인된 것을 알았다.후당동광3년(925년)왕은 죽음을 알고, 그 장남인 연한은 즉위했다.왕은 후당 천성 2년(927년)에 차남 왕연균이 왕 연한을 죽여 자리를 빼앗은 것을 알고 장흥 4년(933년)에 왕으로 군림하면서 건도장이 되었다.악부(복주), 연호는 용계(龍啓), 그 후 민국 정변으로 내란이 끊이지 않았다.민천덕 3년(945년) 남당은 민나라가 혼란할 때 출병하여 이를 공멸시켰다.
중국어 명민 외국어 명민 별은 시간 범위 909연도부터 945년까지 도장악부(복주), 건주의 주요 도시인 복주, 천주, 장주, 건주, 정주의 공용어인 복주화(진안화), 건주화(건주화),화) 화화, 돈, 동전, 철전, 정치체제 군주 전제정체, 주요민족 한족, 주요종교불교 도교, 국토면적 12만2000평방킬로미터(934년) 개국군주 왕심지
카테고리
1 역사
▪ 발적장주
▪ 스타트업 창업
▪ 골육상잔
▪ 남당멸민
2강역
3 경제사회
▪ 농업
▪ 수공업
▪ 비즈니스
▪ 교통
▪ 교육
4 군주 가계
역사
발적장주
왕심은 조상이 고시현령을 하였음을 알고, 나중에 부친인 왕장까지도 농사를 지으며 살았다.왕심지의 형 왕조는 소리로 현지 형제 셋이 용무로 유명하다.황소가 장안에 쳐들어가고, 각지의 봉기가 끊이지 않았을 때, 수주인 왕서(王徐)도 군사를 일으켜, 군대를 확충하고, 세력을 발전시켰다.왕조 형제가 유명하다고 해서 이들을 영입했다.왕심지는 웅장한 용모와 방구(方口)를 잘 따랐고, 백마(白馬)를 타고 싸웠다고 해서 중미(中美)를 '백마삼랑(白馬三郞)'이라 불렀다고 한다.왕서병은 세력이 약해 자리를 잡기 위해 채주의 진종권을 의지했다.진종권은 그를 광주 자사로 임명해 황소 봉기군에 협력하도록 했다.왕서는 남의 제약을 받기 싫어, 주저하며 파병하려 하지 않는다.진종권은 군대를 일으켜 죄를 물었고, 왕서는 중과부적이라 물러날 수밖에 없었다.시작부터 시작하여 남하하다.이들이 푸젠성까지 치고 나갔고, 군대도 수만 명까지 발전했지만 내부 변고가 생겼다.
왕서가 난세에 군사를 일으켜 호탕하기는 하였지만 도량은 극히 적었다.당시 어떤 술사가 그를 거짓말하여 불렀다군중에 폭동이 있어서, 그는 그 틈을 타서 우람하고 재능 있는 사람을 죽였는데, 결국에는 왕조 형제를 화나게 하였다.왕서가 군사를 이끌고 장저우(지금의 복건 장포)에 이르렀는데, 길이 험하고 식량이 적다는 핑계로, 군대에서 휴대할 수 없었다.노약자를 데리고. 당시에 왕조 형제가 노모를 부축하고 군대를 따라갔을 뿐인데, 왕서는 왕조의 어머니를 죽일 것을 명하고, 많은 장병들이 그들을 위해 사정을 하여 왕서는 그만둘 수밖에 없었다.이 일로 왕조는 나중에 왕서에게 변명을 당할까 봐 심복 용사 수십 명을 골라 병변을 일으켜 왕서를 잡게 하였고, 얼마 후 구금되었던 왕서는 자살하였다.
왕서가 죽자 여러 장수들이 함께 수령을 추대하여, 왕조는 군대의 주장을 간편하게 하였다.왕조는 군기를 바로잡고, 장병들이 백성들을 괴롭히거나 재물을 약탈하는 것을 금지했으며, 또 온화하게 군장을 모시고 예배하여 자신의 지위를 공고히 하였다.왕조 형제가 어머니를 공경하고 어머니를 위해 목숨 걸고 싸운 것만으로도 장병들은 충분했다.진심으로 탄복하여, 왕조의 대대적인 정비에 힘입어, 이 군대는 악습을 약탈하지 않았고, 군기가 엄격하여 조금도 범하지 않았으므로, 가는 곳마다 백성들의 환영을 크게 받아, 민심을 얻었다.
사업의 기반을 세우다.
왕심지
왕심지
왕조는 원래 서쪽으로 진군하여 촉을 거쳐 당나라 황제를 보호하려 하였다.당시 천주자사료언(泉州字史廖彦)은 가혹한 징집( 残忍 。)과 잔인무도(無道)의 징발로 백성(民民)의 장병들은 견딜 수 없었으나 아무도 저항하지 않았다.왕조가 천주를 지날 때 천주군민은 장언로를 대표로 보내 랴오옌뤄의 축출을 요청했다.그 백성들도 와서 군사를 위로하고 왕조에 대하여 해로운 것을 없애 달라고 간구하니라푸젠성의 큰 도시이자 양항이었던 천주는 해상무역이 발달했고, 지방은 부유해 왕조가 민의에 순응해 천주성을 포위했다.랴오옌이 천주를 사수한다면 당분간 공략하기 어렵다.1년 후, 왕조는 마침내 천주를 점령하고 랴오옌뤄를 처형했다.푸젠성 관찰사 천옌은 천저우자사에 왕조를 임명했다.주취안저우에 입성한 후, 왕조는 수군을 조직하여 조세를 경감하고 군민의 사랑을 받았다.
진암은 죽기 전에 왕조를 대신하여 복건군정을 주재하게 하려 하였으나, 천의 처남 판후이에게 돌아갔다.정권을 탈취하다. 왕조는 반휘를 인정하지 않고, 왕에게 진병하여 토벌할 것을 명하였다.당(唐) 소종(昭宗) 경복 2년(893년)에 왕심(王心)은 복주 포위 공격이 오랫동안 먹히지 않아 많은 사상자를 냈다.왕은 퇴병을 청할 줄 알고왕조가 정확하지 않다. 왕조는 또 원병을 청해서 직접 독전하도록 했다.왕조의 답장은 "병사가 다되면 장수를 더할 것이며 병장이 다 죽으면 나는 당연히 할 것이다"였다.왕심지는 믿음이 직접 전선에 나가 장병들을 지휘하며 사투를 벌인다.푸저우 성내는 양초가 다 떨어져 나가 버렸고, 개성은 항복했다.왕조는 복주로 관서를 옮기고 진암을 예장하며 가족을 푸대접하는 언행으로 복주의 민심을 샀다.복주를 점령한 후, 왕조는 이미 복건 5주와 당나라를 보유하였다.소종은 그를 복건관찰사로 임명해 그의 복건 통제를 인정했다.
왕심은 부사장으로 명명된 것을 알고, 그는 교만하지 않고 도량이 넓으며, 게다가 전민속을 통일하고 있었다.왕조의 신임이 두텁고 공이 컸다.당건녕은 4년 12월(공력 898년 1월)에 왕조가 병으로 쓰러진 후, 아들을 주정(主政) 시키지 않고 군정(軍政)의 권력을 넘겨주었다.왕에게 심지하였다. 당나라는 복주에 위무군을 설치하고, 왕심지를 위무군 절도사로 임명하였으며, 다시 낭사군왕으로 봉하였다.주온은 당에서 독립한 후, 후량 개평 3년(909)에 왕에 의해 민왕(民王)으로 판명되었고, 도민후(都民侯, 지금 복건성 복주시)는 '개민왕(開民王)'의 유래이다.당시 중원 대지는 군웅이 할거하여 임금으로 칭하였으나, 왕심은 중원 왕조의 정삭을 받들어 신하로서 납공하였으나 임금이라 칭한 적이 없다는 것을 알았다.양행밀이 강물을 차지해도화이 지역은 진공의 통로를 막았고, 그도 사람을 해로로 산동까지 오게 한 후 카이펑으로 가는 것을 중단하지 않았다.왕은 복건 통치 기간 중, 검약을 자임하고, 덕을 위하고, 백성에게 휴식을 취하며, 뽕나무와 뽕나무를 권하고, 부업을 경시하고, 도로를 건설하고, 민은을 방문하고, 병폐를 제거하며, 학교를 세우고, 통상을 장려하며, 민심을 얻는다.이 때문에 5대에는 중원 각지에 전란이 빈번하여 파괴가 극심했는데, 동남쪽 기슭은 황량하여 왕씨 개발로 인해 '해변추루'가 되었다.왕심이 민지를 개발하는 데 뛰어난 공헌을 했기 때문에 그는 "개민 제일"로 존숭되었다.
골육상잔
934년(민태종 용계 2) 민국지도
934년(민태종 용계 2) 민국지도
후당동광 3년(925년)에 왕은 병사하고, 장남인 연한이 즉위하였다.왕연한은 몸집이 크고, 옥처럼 미석하며, 경사에 통하지만, 사람은 교만하고 음탕하고 잔인하다.왕심이 살아 있을 때, 그는 장남으로 위무군 절도부사, 관내도 지휘사, 특진검교 태부, 강주 자사를 지냈다.랑야군 개국공.왕심지가 사망하자 유명을 받아 충임절도삼사발운사(三司發運使)를 관찰한 후, 동광4년(926년) 후 당정권이 정식으로 절도사로 임명하였다.얼마 후 왕옌한은 중원의 혼란을 틈타 민나라를 정식으로 세워 민왕이라 자칭하였으나, 후당인 정삭을 받들었다.왕정한은 의제왕과 연서하고 둘째동생인 연균과 불화를 겪었으며, 왕연한은 왕후를 즉위하여 둘째동생인 연균을 천주자사로 봉하여 형제갈등을 격화시켰다.왕옌 아뢰었다가 또 중간에서 부추겼다.왕연균은 왕연서와 결탁하여 정변을 일으켜 왕부를 쳐들었고, 장형 왕연한을 잡아 죽이고, 셋째 동생 연균이 왕으로 즉위하여 왕을 개명했다.
왕은 원래 절도행군 사마, 검교태부, 서주자사, 봉랑야군 개국을 역임하였다.백. 형을 시해한 후 당은 위무군 절도사, 누검교태사, 중서령으로 민왕을 봉했다.또 얼마 지나지 않아 재위 왕연균 의형. 왕께 연 반란그러나 이번에는 왕옌이 병사변화에 실패하고, 반대로왕연균에게 집살되었다. 장흥 4년(933년)에 왕연균은 정식으로 황제라 칭하였는데, 개원용계(改元龍啓), 정국호 '대민(大民)', 입오묘(立五廟), 백관(百官), 복주(福州)를 도읍으로 하여 장락부(長樂府)라 하였다.왕연균은 카이민 왕씨에서 처음으로 정식으로 왕위에 오른 사람이다.왕연균은 내형에게 황음하고 잔폭하게 행하여 황후 진금봉과 남총애를 총애하여 수명을 지키며 귀신의 신도교라는 설을 미신하였는데, 도사 진수원은 이단으로 인하여 신임을 받았다.그는 재위 기간 간신 설문제를 중용하여 현량한 사람을 해쳤다.민심이 극도로 흉흉하다. 용계 3년(935년) 왕연균은 장남 계붕과 황성사 이본에게 살해당했다.왕은 죽은 후, 혜황제로 시호를 받았으며, 묘호는 태종이다.왕징은 아들 왕계붕, 왕계도, 왕계공, 왕계엄, 왕계용을 낳았고, 그 후 왕계붕이 뒤를 이었다.
왕은 붕에 이어 즉위한 후 왕창(王 改名)을 개명하고, 원(元)을 통일문으로 바꾸었다.그 아우의 왕은 임해군 왕으로 공경하였다.왕계엄이 육군의 제위사를 판결하고, 그 후 어린 동생인 왕계용이 대신 맡았다.왕지붕은 더욱 염치없고 부패한 정치로 아버지를 시해하고 동생을 시해하고, 즉위 후 오숙왕 연무를 주살했다.왕계붕 역시 도교를 미신한다도사 진수원(陳守元)이 뇌물을 받고, 청탁을 하면 어김없이 문전성시를 이룬다.옛 구름은 "불의를 많이 행하면 반드시 스스로 죽는다"고 했는데, 왕지붕은 과연 유종의 미를 거두지 못했다.통문 4년(939년)에 학을 제어할 때에도 재회와 공신까지 주문을 병변시켜 민국남궁에 불을 지르고, 왕창창은 도망쳐 숙왕 연희와 조카 계업에게 포획당하고, 왕연희는 강종(康宗)을 시호하였다.이번 병변에서는 왕창처와 아들이 살육되었다.
943년(민경종 영륭 4) 민국지도
943년(민경종 영륭 4) 민국지도
왕창의 사후에 왕심이 7남인 왕연희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왕연희는 즉위한 후 왕희로 개명했다.우산승상시(右散 司常 侍), 용주사마( 饶州司馬)였다.연거푸 정변을 당한 후 건주절도사로 영립되어 부사왕을 봉하였다.왕희 외조카 이인영 미모의 딸, 좌복으로 임명사겸중서시랑. 왕희도 즉위 후 마찬가지로 포학하고 심지어는 매관매직할 정도로 부패하고 종실족들을 마구 주살하였다.동생 왕옌정(延政)은 여러 차례 간언했으나 왕희(王熙)의 질책을 받아 영륭 4년(서기 943)에 자신의 지배하에 의해 건국되어 황제가 되었고, 원천덕(元天德)을 개명하고, 국호는 대은(大恩)이며, 내란이 다시 일어났다.영륭(永隆) 5년(九44년)에 주문진과 재회하여 군란을 일으켜 왕희(王 家族)를 죽이고 왕씨 가문을 대청결하였다.푸저우에 남아 있던 왕 씨는 노소를 막론하고 모두 학살되었다.주문진은 스스로 왕을 칭하고 왕희묘호를 경종이라 불렀다.
얼마 후, 왕연정과 외군의 왕씨족이 연합하여 중대와 주, 천주수장군을 반격하였다.종효 등의 관리도 주문진에 복종하지 않으며, 주문진 토벌부대를 격파하였다.천주(泉州)·장주(張州)·정주(亭州)가 왕옌정(王延政)에 차례로 몸을 맡겼다.연중은 정세가 심상치 않자, 주문진을 죽이고 왕연정에 항복하려 한다.오래지 않아 재회마저 부하에게 죽임을 당하였는데, 은나라 전부가 민나라의 고토를 수복하여 여전히 주를 건설하였으며, 복주를 동도로 하여 민나라의 호를 복국하였다.여러 차례의 내전을 거쳐 민의 실력은 심각하게 약해져 비록 옛 땅을 회복하였지만 이미 강궁의 끝이 되어 일격에 견디지 못하였다.
남당멸민
남당 원종 이경은 민내란을 알고, 기회를 틈타 확토하려 한다는 말을 듣고, 마침내 군대를 민중에 파견하였다.보대 2년(保大 2年, 944년) 남당(南唐)은 변호를 행영(行營)으로 삼아 여러 군도우후(軍都憂 侯), 한림대조장순(韓林大曹長 循)을 모신으로 삼았으며, 차문휘장군(徽文徽軍)을 따라 홍주(洪州, 지금의 강서남창)에서 진취적으로 주(州)를 건설하였다.이때도 왕연정은 주문진이 장악한 복주를 공격하여 함락시키지 못하였는데, 당군이 국경까지 쳐들어왔다는 소식을 듣고는 남당출병이 복주를 어시스트하였다고 거짓 주장을 하였고, 복주수장 임인한이 주문을 죽이고 드나들었다.왕연정 득복주는 민제로 추대되었다.얼마 지나지 않아, 샘, 장, 정주의 옛 장수들이 모두 무리를 거느리고 항복하였다.남당군은 개죽지(지금의 푸젠성 건양남)에 임하여, 왕정(王政)은 이미 복주를 취하고 있어서 감히 경솔하게 행동하지 못하였다.또 민장(民將) 장한경(張漢景)이 병사를 이끌고 용주(용주·지금의 복건장악)에서 달려가 주(州)를 건설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장습퇴둔소무(臧武)를 물리쳤다.차문휘는 병사를 이끌고 주에서 퇴각했다.민군은 장순군이 비교적 약하다고 여겨, 마침내 장순군을 기습하여 대승하고 장칙을 참살하였다.
보대 3년(945년) 정월, 왕연정은 건주 방어를 위해 종자를 명하였다.왕은 창진을 이어 복주를 수비하고 시위군 및 공천, 제학양도병을 배치하여 건주로 향하였고, 하인 양사공과 통군 진망솔병에게 남당군을 저지하기 위해 양계남안을 진격시켰다.양군은 서로 60여 명을 거느리고 있다.당군도 감히 싸우지 못하였다. 뒤이어 남당은 하경수로 하여금 주건설을 위하여 마보도 지휘사를 모집하고, 조전은 응원사, 야오펑은 도감, 병사를 거느리고 숭안을 거쳐 적령(지금의 복건숭안남)에 이르러 문휘를 조사하였다.민장 양사공은 군졸을 경시하고, 또 발붙이지 못한 채 진망영병을 물살을 헤치며 진격하게 하였다.당은 조전의 전은을 정면에서 내세우고, 기이한 병사를 내보낸 후, 양면에서 협공하였다.진망이 패전하여 살해되자, 양사공은 진을 버리고 도망쳤다.왕연정은 그 소식을 듣고 놀라 허둥대며,소동사안 등솔천주병이 건주를 호위했다.이때 이인달(이홍희로 개명)은 혼란을 틈타 복주를 차지하여 자립했고, 탁암명을 옹립하여 황제로 불렸다.이인달은 5월에 탁암명을 죽이고 위무류후로 자립한다.같은 달 남당군은 주(州)를 공격해 8월까지 왕연정은 고립무원과 함락됐고 민(民)은 멸망했다.구월 정·천·장 3주가 차례로 내렸고, 남당 이래로 주 치영안군이 설치되었다.남당이 여세를 몰아 복주를 공격하면 정복하지 못한다.보대 4년(946년) 이인달은 복주로 오월(五越)에 예속되었다.946년, 민국 구장은 남당재천·장지를 효종에서 축출하였다.주의 군대가 그곳을 점령하였으나, 여전히 주둔하고 있다.남당에 굴복하다.그 후임자인 진홍을 본받다.천·장 두 주를 점유하다.북송 건국 이후까지。
개민왕씨 당광계 2년(886년) 병오세 왕조관이 배천주 자사복건 통치를 확립하기 시작하여 60년에서 945년에 걸쳐 병오세, 민이 남당에 의해 멸망한 것은 왕씨의 복건 통치의 종결을 상징한다.병오년은 말의 해이기 때문에 민대 민간에 왕씨가 전해 내려오고 있다.말을 타고 말을 타고 가다라는 참언
강역
민거오주(복주.건주(建州)·천주(泉州)·장주(張州)·정주(丁州) 등 지금의 푸젠(福建)성과 비슷한 지역이다.민이 망한 후 남당득건, 정이주, 또 새로이 검주를 설치하였다. 오월국득복주, 민구유종효퇴거천, 장2주.
남당개천·장이주청원군을 위하여 청원군 절도사에 종사한 것을 수여하고, 진강왕으로 봉하여 할거를 승인하였다.그러나 청원군은 천주·장주만 차지하고 있을 뿐 민(民)의 연장이 아닌 또 다른 독립정권으로 간주되고 있다.
경제 사회
민국연전
민국납전(2장)
민나라의 발전 주요체지금은 왕심이 재위하는 기간이다.왕심지는 당말 5대 때 복건 사회의 안정과 안정, 경제·문화의 건설과 발전에 현저한 성과를 내 후대의 호평을 받았다.
농업
왕심지는 위탁 생산에 들어갔다.경험의 안인욱이 농업을 관리하고 또 유능한 관리들을 파견하여 "출순주현, 뽕나무과자를 권한다"는 유민들을 갖은 수법으로 귀향시키고 합리적인 안배를 해주며, 귀향 유민들이 황무지를 개간하여 생산을 하도록 장려하는 한편, 조세 부담을 줄이고, 모든 농산을 경작하도록 하였다.그 세목은 "무엇인가", "폭행을 가하지 않는다", "무언가 출정할 역"이며, 또 농민들에게 차나무를 심고 찻잎을 대량 생산하여 농민의 경제 수입을 증가시키도록 장려하고, 수리를 중시하며, 예를 들면, 복주 서호를 준설하고 민현·후관 양현민을 관개하는 등 수리를 중시한다.논밭은 복청으로 제방을 쌓고, 습기를 방지하여 보호한다.논밭, 수천 채의 민전에 관개하다.1묘 등 이상의 조치를 취해 복건성의 농업경도를 높이다.발전 속도를 촉진하다.
수공업
민국영륭통보연전
민국영륭통보연전
왕심은 민북산구에 있다는 것을 알았다.수많은 차 공장이 있는데 이 중 관배소는 38곳, 민완은 1336곳이다.왕심지는 복주에 화로야13을 지어 주조하였다.건주에서 도자기 산업을 발전시키고, 정주의 납치장에서 납과 동전을 주조하고, 뒤에 큰 철전을 주조하는 것은 오백문으로 일관된다.왕심님은 재위기간 동안 복건수공업의 생산발전과 경내의 경제건설 발전이 신속하여 "시화연풍(時和年 丰)은 풍족하여 집집마다 풍족하게 하는" 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을 알고 계셨다.
상업
왕은 민강의 흐름을 취소할 것을 심의하였다.구역의 관문은 화물이 잘 통하고 물자의 교류가 원활하도록 돕는다.또 황기에 대외무역항, 즉 감당항(지금의 백마항)을 개설했다.뒤이어 민과 북한·인도·수마트라 등지에는 모두 늘 사자와 상인이 왕래하며, 경제·무역 문화 사업을 하였다.움직이다.
교통
천복 원년(901년)해) 왕심지는 나성을 쌓고 호구를 파서 사교(思橋)·진통문(津通門) 등을 지었고, 천우3년(906)에 복주정가 모응교(毛應橋) 남쪽에 환주문(回珠門)·남관교(南關橋·현재 안태교)를 세우고 개거통옥교포(通玉橋浦)를 열어 물길을 끌었다.관성( 贯城), 후량(後梁) 개평(開平) 2년(908)에 사합교(沙合橋) 등을 지었다.왕심지는 협성을 확장하고 경치 좋은 어산, 오석산, 병산을 성 안에 둘렀는데, 이때부터 복주는 '산은 성 안에 있고 성은 산 속에 있다'는 독특한 도시가 되었다.복주라는 별칭.
교육
왕은 인재를 중시한다는 것을 알았다.왕심은 민나라에 들어온 후 대량의 중원 유민을 배치하고, 특히 문인 명사를 아끼며, 현원 등을 전문으로 초빙하여 학사를 접대하였다.당시 양기·서인·양승휴·정린·한악·귀부의·양찬도·정제 등 민에 피란된 학사들이 매우 많았다.왕은 그들을 민국 관원으로 초빙하여 그들의 재능과 학문을 발휘하도록 심의하였다.왕심지는 복건성의 저명한 문인들도 예의를 갖추어 관직에 임명하였는데, 예를 들면 임옹승찬을 상으로 삼고 황도를 절도로 추관하였다는 것이다.왕심지는 의존·사비·신안 등 종교계의 명사들도 매우 존중하였다이러한 조치는 당시 복건성을 특별하게 했다.푸저우 지역의 문교진보가 빠르다." 문교의 개흥은 내가 민중이 제일 잘 한다.저녁 무렵에 당나라에 가면 시인이 있었고, 당나라 말기에 이르면 5대에 이르러 중사시인이 민중에 유향한 사람이 있었으며, 시교는 점차 창성하여 송나라에 이르러 날로 번성하였다.이후 동남권 문화의 굴기(<5d1b>起)를 위한 기반을 닦았다.
왕심지는 교육발달을 중시하였다.전시. 그는 옹승찬의 건의를 받아들여 복주에 "사문학을 짓고 민중의 쇼를 가르치자"고 명사 황도 등을 "사문박사"로 선정하였다.왕심지의 제창으로, 당시 주에는 주학이 있었고, 현에는 현학이 있었다.벽촌에는 서당(書堂)도 설치되어 있으며, '어린이는 훈령에 달렸고, 장자는 나라의 상(相)을 두었다'는 등 문화교육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왕심지는 책을 모으는 것을 중시한다.본.천우 원년(904년)에 왕심지 조직은 각 집의 유서를 모아 충실히 편찬하고, 또 서인간(徐印)에 《조기문집( 钓旗文集)》을 찍어내는 등 문화역사를 널리 알리는 데 기여하였다.왕 심판은 전후 260기의 건물을 짓고 복구하였다절과 6개의 탑, 이 탑들은 후대에 문화재를 많이 남깁니다.
군주 가계
庙号 | 谥号 | 姓名 | 生卒时间 | 在位时间 | 年号及使用时间 | |
太祖 | 昭武孝皇帝 (忠懿王) (昭武王) | 王审知 | 862——925 | 898——925 | ||
- | 废帝 | 王延翰 | ?——927 | 925——927 | ||
太宗 (一作惠宗) | 惠皇帝(一作齐肃明孝皇帝) | 王鏻 (王延钧) | ?——935 | 927——935 | 龙启 | 933——934 |
永和 | 935 | |||||
康宗 | 圣神英睿文明广武应道大弘孝皇帝 | 王昶 (王继鹏) | ?——939 | 935——939 | 通文 | 936——939 |
景宗 | 睿文广武明圣元德隆道大孝皇帝 | 王曦 (王延羲) | ?——944 | 939——944 | 永隆 | 940——944 |
- | - | 朱文进 | ?——945 | 944——945 (312天) | 沿用永隆 | |
- | - | 王延政 | ?——945 | 943——945 | 天德 | 943——945 |
- | 末帝 | 卓岩明 | ?——945 | 945(78天) | 沿用天德 |
비고:
1.왕심은 898년에 할거를 시작하여, 909년에 민왕을 봉했다.
2.933년 이전에 민씨는 당·후량·후당의 연호를 잇따라 사용하였다.
3. 《자치통감》《신오대사》 등의 사서 재왕희(在王熙)는 왕위를 빼앗은 후부터개원, 그러나 지방 기록에 의하면 왕희개원 시기는 이듬해이다
闽国 (十国之一)
闽(909年—945年),五代十国之一,先后定都于长乐府(今福建福州)、建州(今福建建瓯)。统治区域与今福建省大致相当。
909年,王审知被后梁封为闽王。后唐同光三年(925年),王审知去世,其长子王延翰继位。后唐天成二年(927年),王审知次子王延钧杀死王延翰夺位,并于长兴四年(933年)称帝,建都长乐府(福州),年号龙启,之后闽国政变内乱不断。闽天德三年(945年),南唐于闽国内乱时出兵将其攻灭。
中文名闽 外文名Min 别 名殷 时间范围909年 至 945年 首 都长乐府(福州)、建州 主要城市福州、泉州、漳州、建州、汀州 官方语言福州话(晋安话),建州话(建瓯话) 货 币铅钱,铜钱,大铁钱 政治体制君主专制政体 主要民族汉族 主要宗教佛教 道教 国土面积12.2万平方千米(934年) 开国君主王审知
目录
1 历史
▪ 发迹漳州
▪ 创立基业
▪ 骨肉相残
▪ 南唐灭闽
2 疆域
3 经济社会
▪ 农业
▪ 手工业
▪ 商业
▪ 交通
▪ 教育
4 君主世系
历史
编辑
发迹漳州
王审知祖上曾做过固始县令,后来直到父亲王凭仍以务农为生。王审知的哥哥王潮做过小吏,在当地兄弟仨以勇武出名。在黄巢打进长安,各地起义不断时,寿州人王绪也起兵攻入固始,扩充军队,发展势力,听说王潮兄弟很有名气,便将他们招进军中。据说王审知状貌雄伟,隆准方口,因常骑白马作战,军中美称为“白马三郎”。王绪兵少势薄,为站稳脚跟,他投靠据守蔡州的秦宗权。秦宗权便任命他为光州刺史,让他配合攻打黄巢起义军。王绪不愿意受制于人,迟迟不肯发兵。秦宗权便兴师问罪,王绪寡不敌众,只好退出固始,南下发展。他们一直打到了福建境内,军队也发展到了数万人,但这时内部却发生了变故。
王绪趁乱世起兵,虽然豪爽,但度量极小。当时有术士谎称其军中有暴乱之人,于是他借机将魁梧的和有才干的人杀死,最后惹恼王潮兄弟。王绪领兵到了漳州(今福建漳浦),借口路险粮少,命军中不得携带老弱。当时只有王潮兄弟扶着老母亲随军而行,王绪命人杀王潮母亲,众将士见状,纷纷为他们求情,王绪只好作罢。此事令王潮担心日后再被王绪借口加害,于是挑选了几十个心腹勇士发动兵变,将王绪拿获,不久被囚禁的王绪自杀。
王绪死后,众将一起推选首领,王潮便当了军队主将。王潮整肃军纪,禁止将士骚扰百姓,抢掠财物,又和得力将领结拜,巩固了自己的地位。王潮兄弟孝敬母亲,为母亲不惜以性命相争,这就足以令将士们由衷地钦佩,在王潮的大力整顿下,这支军队没有抢掠恶习,军纪严明,秋毫无犯,因此所到之处大受百姓欢迎,赢得了民心。
创立基业
王审知
王审知
王潮原打算向西进军,跋涉到蜀地去保护唐朝皇帝。当时的泉州刺史廖彦若横征暴敛,残忍无道,百姓将士不堪忍受,但无人反抗。在王潮经过泉州时,泉州军民派张彦鲁为代表,请求他驱逐廖彦若。当地百姓也来犒军,恳求王潮为他们除害。泉州当时已是福建的一座大城,而且是良港,海上贸易发达,地方富庶,王潮顺应民意,领兵包围泉州城。廖彦若死守泉州,一时难以攻下。一年之后,王潮终于占领了泉州,处死了廖彦若。福建观察使陈岩任命王潮为泉州刺史。入主泉州后,王潮收编守军,减轻赋税,受到军民拥戴。
陈岩临死之前想让王潮代他主持福建军政,但被陈的妻弟范晖夺取政权。王潮不承认范晖,命王审知进兵讨伐。唐昭宗景福二年(893年),王审知围攻福州很长时间内没奏效,伤亡很重。王审知请求退兵,王潮不准。王审知又请求援兵,让王潮亲自去督战。王潮回信“兵尽添兵,将尽添将,兵将俱尽,吾当自来。”王审知见信亲临前线,指挥将士决一死战。福州城内粮草已尽,属将杀了范晖,开城投降。王潮将官署搬到福州,又礼葬陈岩,厚待其家属,其言行又赢得了福州的民心。占领福州后,王潮已经有了福建五州,唐昭宗任命他为福建观察使,承认了他对福建的控制。
王审知被命为副使,他不骄横又很有度量,而且在统一全闽过程中出力最多,功劳最大,这使王潮对其异常信任器重。唐乾宁四年十二月(公历为898年1月)王潮病倒后,没有让儿子主政,把军政大权交给王审知。不久唐朝在福州设立威武军,任命王审知为威武军节度使,后又封为琅邪郡王。朱温代唐自立后,在后梁开平三年(909年)封王审知为闽王,都闽侯(即长乐,今福建省福州市),此即“开闽王”的由来。当时中原大地,群雄割据称帝,但王审知一直尊奉中原王朝正朔,称臣纳贡,未曾称帝。即使杨行密占据江淮地区,阻挡进贡通道,他也让人由海路到达山东再到开封,没有间断。王审知统治福建期间,自奉俭约,为政以德,与民休息,劝课农桑,轻徭薄赋,修筑道路,访求民隐,兴利除弊,建立学校,奖励通商,深得民心。因而在五代,中原各地战乱频,残破不堪,而东南海陬蛮荒,经王氏开发后变成“海滨邹鲁”。由于王审知在开发闽地上的杰出贡献,他被尊为“开闽第一”。
骨肉相残
934年(闽太宗龙启二年)闽国地图
934年(闽太宗龙启二年)闽国地图
后唐同光三年(925年),王审知病故,长子王延翰继位。王延翰身材高大,美皙如玉,通经史,但为人却骄淫残暴。王审知在世时,他以长子任威武军节度副使、管内都指挥使、特进检校太傅、江州刺史,封琅琊郡开国公。王审知去世后,他禀遗命充任节度观察三司发运使留后,同光四年(926年)后唐政权正式任命他为节度使。不久王延翰趁中原混乱正式建立闽国,自称闽王,但仍奉后唐正朔。王延翰自先便与义弟王延禀、二弟王延钧不和,王延翰继位称王后,封二弟王延钧为泉州刺史,以致兄弟矛盾激化。王延禀又从中挑拨,王延钧遂与王延禀勾结发动政变,攻入王府,捕杀长兄王延翰,由三弟王延钧继立为王,改名王鏻。
王鏻原任节度行军司马、检校太傅、舒州刺史、封琅琊郡开国伯。弑兄之后,被后唐任命为威武军节度使、累加检校太师、中书令,封闽王。王延钧继位不久又遇义兄王延禀兵变。但这次王延禀兵变失败,反被王延钧执杀。长兴四年(933年),王延钧正式称帝,改元龙启,定国号“大闽”,立五庙,置百官,以福州为都,名长乐府。王延钧是开闽王氏第一个正式称帝者。王延钧荒淫残暴于乃兄,宠爱皇后陈金凤及男宠归守明,又迷信鬼神道教之说,道士陈守元因会旁门左道而被信任。他在位期间重用奸臣薛文杰,残害贤良,极不得民心。龙启三年(935年),王延钧被长子王继鹏和皇城使李仿谋杀。王鏻死后,被谥为惠皇帝,庙号太宗。王鏻生子王继鹏、王继韬、王继恭、王继严、王继镛,之后王继鹏嗣位。
王继鹏即位后改名王昶,改元通文。其弟王继恭为临海郡王,王继严判六军诸卫事,后由幼弟王继镛代任。王继鹏更加荒淫无耻,政治腐败,他弑父杀弟而得皇位,即位后又诛杀五叔王延武。王继鹏亦迷信道教,道士陈守元接受贿赂、请托,有求必应,门庭若市。古云“多行不义必自毙”,王继鹏果然不得善终。通文四年(939年),控鹤都将连重遇与拱宸都将朱文进合谋兵变,纵火焚烧闽国南宫,王昶仓惶出逃,后被其叔王延羲与侄王继业捕杀,王延羲谥其康宗。在这次兵变中,王昶妻、子被杀戮无遗。
943年(闽景宗永隆四年)闽国地图
943年(闽景宗永隆四年)闽国地图
王昶死后,由王审知七子王延羲继位。王延曦即位后改名王曦(又作王羲),原任右散骑常侍,饶州司马。连重遇政变后被迎立为建州节度使,封富沙王。王曦外甥李仁遇貌美,成为王曦男宠,被任命为左仆射兼中书侍郎。王曦即位后同样暴虐无道,甚至腐败至卖官鬻爵,又对宗室族人大肆诛杀。其弟王延政多次进谏未果,反遭王曦斥骂,遂于永隆四年(公元943年)以自己控制建州一地建国称帝,改元天德,国号大殷,内乱再起。永隆五年(944年),连重遇与朱文进再次发动兵变,杀王曦并对王氏家族展开大清洗,凡留在福州的王氏无论老幼均屠杀殆尽。朱文进自行称帝,追加王曦庙号景宗。
不久,王延政及外郡的王氏族人联兵反击连、朱,泉州守将留从效等官员亦不服从朱文进,并击败朱文进讨伐部队。泉州、漳州、汀州相继投靠王延政。连重遇见势不妙,又杀死朱文进,欲归降王延政。不久连重遇亦被部下杀死,殷国全部收复原先闽的故土,仍都建州,以福州为东都,复国号闽。经多次内战,闽的实力被严重削弱,虽恢复旧地,但已成强弩之末,不堪一击。
南唐灭闽
南唐元宗李璟闻知闽内乱,欲乘机扩土,遂遣军入闽。保大二年(944年)南唐以边镐为行营,招讨诸军都虞侯、翰林待诏臧循为谋臣,随枢密副使查文徽率军自洪州(今江西南昌)进取建州。此时王延政仍在攻打朱文进控制的福州,不克,闻唐军压境,乃施疑兵假称南唐出兵助攻福州,诈福州守将林仁翰杀朱文进出降。王延政得福州被拥为闽帝。未几,泉、漳、汀诸州旧将皆率众归降。南唐军临盖竹(今福建建阳南),知王延政已取福州而不敢轻举贸进。又闻闽将张汉卿率兵自镛州(今福建将乐)驰援建州,臧循退屯邵武,查文徽自率兵退建州。闽军视臧循军较弱,遂偷袭臧循军,大胜并斩杀臧循。
保大三年(945年)正月,王延政为加强建州防御,令从子王继昌镇守福州,调侍卫军及拱宸、控鹤两都兵往建州;令仆射杨思恭与统军陈望率兵前出建州,列阵建阳溪南岸以阻截南唐军。两军相持旬余,南唐军亦不敢战。随后南唐以何敬洙为建州行营招讨马步都指挥使,祖全恩为应援使,姚凤为都监,率兵经崇安抵赤岭(今福建崇安南),进援查文徽。闽将杨思恭轻唐军兵少,又立足未稳,即令陈望领兵涉水进击。唐将祖全恩以主力当正面,遣奇兵出其后,两面夹攻。陈望战败被杀,杨思恭弃阵而逃。王延政闻讯大惊,急召董思安等率泉州兵护卫建州。此时李仁达(后改名李弘羲)趁乱窃据福州自立,拥立卓岩明称帝。五月,李仁达又杀死卓岩明,自立为威武留后。同月,南唐军始攻建州,至八月,王延政因孤立无援,城陷而降,闽灭亡。九月汀、泉、漳三州继降,南唐以建州置永安军。南唐乘势攻福州,不克。保大四年(946年)李仁达以福州附吴越。946年,闽国旧将留从效驱逐南唐在泉、漳二州之驻军,占据该地,但仍向南唐称臣。留从效及其后继者陈洪进占有泉、漳二州直至北宋建国之后。
开闽王氏以唐光启二年(886年)丙午岁王潮官拜泉州刺史开始确立对福建的统治,经六十年至945年丙午岁,闽被南唐灭亡,标志着王氏对福建统治的结束。丙午年属马年,因而在闽台民间流传着王氏“骑马来,骑马去”的谶语。
疆域
编辑
闽据五州(福州、建州、泉州、漳州、汀州),统治区域与今福建省大致相当。闽亡后,南唐得建、汀二州,又新置剑州;吴越国得福州;闽旧将留从效退据泉、漳二州。
南唐改泉、漳二州为清源军,授留从效清源军节度使之职、封为晋江王,承认其割据。但清源军仅占有泉州、漳州,已不能视作闽的延续,而是另一个完全不同的独立政权。
经济社会
编辑
闽国铅钱
闽国铅钱(2张)
闽国的发展主要体现于王审知在位期间。王审知为唐末五代时期福建社会安定、稳定,经济、文化的建设和发展做出显著成绩,受到后人好评。
农业
王审知委派有生产经验的颜仁郁管理农业,又派得力的官吏“出巡州县,劝课农桑”,将流民尽数招抚回乡,给予合理安排,鼓励回乡流民开荒造田,发展生产;同时减轻赋税负担,凡耕种公田,其税“什一”,“敛不加暴”,“莫有出征之役”;又鼓励农民栽种茶树,大量生产出口茶叶,以增加农民经济收入;重视兴修水利,如修浚福州西湖,灌溉闽县、侯官两县民田、在福清筑海堤,防潮护田,灌溉民田数千亩等。以上举措提高福建的农业经济发展速度。
手工业
闽国永隆通宝铅钱
闽国永隆通宝铅钱
王审知在闽北山区建有众多茶厂,其中官焙38处,民焙1336处。王审知在福州建炉冶13所供铸造用。在建州发展陶瓷业,在汀州置铅场以铸铅钱和铜钱,后又铸大铁钱,以五百文为一贯。王审知在位期间,福建手工业生产发展和境内经济建设发展迅速,出现“时和年丰,家给人足”的现象。
商业
王审知取消闽江流域的关卡,以便货物畅通,保证物资交流。同时在黄岐开辟对外贸易港,即甘棠港(今白马港)。随后闽与朝鲜、印度、苏门答腊等地都常有使者、商旅往来,进行经贸文化活动。
交通
天复元年(901年),王审知在修筑罗城同时,挖护城濠,建去思桥、津通门等;天佑三年(906年),王审知在福州正街毛应桥南建还珠门、南关桥(今称安泰桥),开渠通沃桥浦,引潮贯城;后梁开平二年(908年)建沙合桥等。王审知扩建夹城,将风景秀丽的于山、乌石山、屏山围在城中,从此福州成为“山在城中,城在山中”的独特城市,“三山”也成为福州的别称。
教育
王审知重视人才。王审知入闽后安置大批中原流民,特别爱惜文人名士,专设招贤院等机构接待学士。当时避乱入闽的学士极多,如杨沂、徐寅、杨承休、郑璘、韩偓、归傅懿、杨赞图、郑戬等,王审知聘任他们为闽国官员,发挥他们的才学。王审知对福建的知名文人也礼聘为官,如任翁承赞为相,黄滔为节度推官等。王审知对义存、师备、神晏等宗教界名流也很尊重。这些措施使当时福建,特别是福州地区文教进步迅速,“文教之开兴,吾闽最晚,至唐始有诗人;至唐末五代,中士诗人时有流寓入闽者,诗教乃渐昌,至宋而日益盛。”为其后东南文化的崛起打下坚实基础。
王审知注重教育发展。他采纳翁承赞的建议,在福州“建四门学(相当于今高等学府),以教闽中之秀者”,选知名人士黄滔等担任“四门博士”。在王审知的倡导下,当时州有州学,县有县学,乡僻村间亦设有私塾,“幼已佩于师训,长者置国庠”,文化教育事业蓬勃发展。
王审知重视搜集书籍。天佑元年(904年),王审知组织大批学士搜集缮写各家遗书充实编史资料,又为徐寅刊印《钓矶文集》等,为传扬文化历史作出贡献。王审知先后兴建、修复260座寺和6座塔,这些寺塔为后代留下丰富的文物遗产。
君主世系
庙号 | 谥号 | 姓名 | 生卒时间 | 在位时间 | 年号及使用时间 | |
太祖 | 昭武孝皇帝 (忠懿王) (昭武王) | 王审知 | 862——925 | 898——925 | ||
- | 废帝 | 王延翰 | ?——927 | 925——927 | ||
太宗 (一作惠宗) | 惠皇帝(一作齐肃明孝皇帝) | 王鏻 (王延钧) | ?——935 | 927——935 | 龙启 | 933——934 |
永和 | 935 | |||||
康宗 | 圣神英睿文明广武应道大弘孝皇帝 | 王昶 (王继鹏) | ?——939 | 935——939 | 通文 | 936——939 |
景宗 | 睿文广武明圣元德隆道大孝皇帝 | 王曦 (王延羲) | ?——944 | 939——944 | 永隆 | 940——944 |
- | - | 朱文进 | ?——945 | 944——945 (312天) | 沿用永隆 | |
- | - | 王延政 | ?——945 | 943——945 | 天德 | 943——945 |
- | 末帝 | 卓岩明 | ?——945 | 945(78天) | 沿用天德 |
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