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살에 관한 글을 인터넷으로 쭈~욱 검색하다 도화에 관한 글이 있어 의문증에 글을 써봅니다.
어떤 카페에 씌어진 글인데
水火相照 전형적 미인이고,
火鍊眞金 미인 축에 들고,
金白水淸 순백의 피부, 자태 곱고,
壤土育木 느낌 좋고,
日支長生 기본은 되고,
가히 양귀비는 '祿榜桃花(녹방도화)'에 去하지.
寅午戌生이 卯(劫財 桃花)를 보고, 甲日柱거나,
巳酉丑生이 午(劫財 桃花)를 보고, 丙日柱거나,
申子辰生이 酉(劫財 桃花)를 보고, 庚日柱거나,
亥卯未生이 子(劫財 桃花)를 보고, 壬日柱면 祿榜桃花(녹방도화)라. 色情이 전설이 된다는데...
제가 알기로는 녹방도화란 도화와 건록이 동주하거나 정관이 도화가 되거나 정관도화가 일지하고 합이 되는것 정도로 알고 있는
데 위에 적혀 있는글도 녹방도화에 속하는지 궁금하네요...처음 보는 글이라..
아시는 분들 답글 달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첫댓글 子 의 간지에 도화의 의미를 더 강조한 이유는 오행적 '수' 기가 성적표현과 음기 가득찬 특성에 기인해 음욕과 관련된 내용 같군여. 그리고 참고적으로 의미를 보태쟈면 신살 로는 壬일간에 子수 지지는 ' 홍염살에 해당하기 때문에 더욱 음색의 의미가 부여될듯 싶구여.
또다른 의미에선 예로) 甲목 일간이 년지 띠자리에 寅午戌= 火 곧 火는 甲木 일간에게 식상적 의미 로 따져 볼수 있겠는데 이렇게 돌려볾. - 삼합 운동에 의해 화하는 오행을 식상에 의미를 굳이 부여한다면 ,,, 水->木/ 木->火/ 火->金(재성)/金->水 이렇게 4가지 식상 관계가 형성되져. 물론 火 金 관계는 재성 관계로 일면에선 금화 교역적 의미 부가도 .
여튼 4가지 경우의 오행 설기 방향에 따라서도 - 음욕에 해당하는 부분에 관해선 - 水가 주체가 되고 木을 설기처인 식상으로 사용할때 . 음욕적인 성향이 더 두드러지지 않나 싶은 생각도... 근데 .. 보통 水->木 식상 방향이 신체로 비유해
상대적 金水 설기 방향 보단 팔 다리가 길쭉길쭉 하다 볼때 .. 신체적 미인도 수-->목 방향이 더 신체 미인들이 많지 않나 싶네여. 위의 내용은 띠별 삼합 그룹으로 일간과 대조 한 내용같아 .. 혹시 화하는 오행의 식상 사용처도 가능성이 있지 않나 싶어 잠시 부가적 설명도 ^^. 가능성으로만 참고 하시길요.~
참 참고로 혹 金水설기 방향이 더 음욕적이지 않겠는가 설정해 볼때 .. 혹 양귀비 같은 행위적으로 극명하게 음색을 설기 하는 순환은 도리어 水생 木 방향이 더 가까울지도 모르겠네여. 차원으로 나눈다면 . 물론 금수 방향이 더 순도 높겠다 싶지만 . 결국 행위로 들어나 실체적 행위로 판명 지을때는 아무래도 수목 방향이 실체적 행동경향을 뛸 가능성이.. 금수는 정작 행동으로 나타나기 보단 .. 생각 차원의 순도가 더 높을수도 ... ^^
그렇군요,,화두님 설명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