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조 <설일(雪日)>
겨울 나무와
바람
머리채 긴 바람들은 투명한 빨래처럼
진종일 가지 끝에 걸려
나무도 바람도
혼자가 아닌 게 된다.
혼자는 아니다
누구도 혼자는 아니다.
나도 아니다.
실상 하늘 아래 외톨이로 서 보는 날도
하늘만은 함께 있어 주지 않던가.
삶은 언제나
은총(恩寵)의 돌층계의 어디쯤이다.
사랑도 매양
섭리(攝理)의 자갈밭의 어디쯤이다.
이적진 말로써 풀던 마음
말없이 삭이고
얼마 더 너그러워져서 이 생명을 살자.
황송한 축연이라 알고
한 세상을 누리자.
새해의 눈시울이
순수의 얼음꽃,
승천한 눈물들이 다시 땅 위에 떨구이는
백설을 담고 온다.
제7시집 ≪설일(雪日)≫ (1971)
김남조 <설일> -2-
작품 감상의 길라잡이
눈 오는 날과 새해 첫날이라는 중의적 제목을 통해 눈 내리는 새해 첫날에 깨우친 삶에 대한 지혜를 성찰하고 있는 작품이다. 사소한(단순한) 자연 현상에서 신(神)의 섭리와 삶의 깊은 의미를 도출하고 있다.
독실한 가톨릭 신자인 김남조의 시에는 기독교적인 신앙심이 곳곳에 배어 있다. 그의 시에는 신에 의탁하는 시인의 신에 대한 사랑, 그리고 삶에 대한 긍정적인 자세가 두드러진다. 바람에 흔들리는 겨울 나무를 보면서 혼자 서 있는 듯 보이는 나무도 바람이 있으므로 해서 그 흔들림이 보이고, 보이지 않는 바람도 흔들리는 나뭇가지에 의해 그 존재가 인식되듯 사람을 포함한 모든 존재는 서로에게 그 누구도 혼자일 수 없다는 데서 이 시는 출발한다. 특히 어떤 상황에서도 하늘은 늘 우리와 함께 한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그 보이지 않는 하늘, 곧 신의 존재를 '은총의 돌층계', '섭리의 자갈밭' 등으로 시각화시키고 있다.
결국 이 시는 대상에 대한 경건한 자세와 여성 특유의 언어적 감성을 바탕으로 삶에 대한 시인의 성찰적 인식을 잘 드러내고 있다. 시적 자아는 눈 오는 새해를 맞아서, 이 세상의 그 무엇도 혼자는 아니라는 경험적 인식을 전제 삼아, 삶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며 너그럽고 고마운 마음으로 살아가자고 다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