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에 대한 준설요구가 거세지고 있지만 뾰족한 대책이 없는 상태다.
항만업계에서는 신항 건설과 함께 관련 법 개정을 통해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인천항발전협의회는 지난 28일 제2차 회장단회의를 갖고 인천신항 항로 준설을 국토해양부와 인천지방해양항만청, 인천항만공사(IPA)에 요구하기로 했다.
현재 팔미도에서 인천북항까지 인천항 제1항로는 계획수심이 (-)14m로 운영되고 있으나 실제 수심은 (-)10m 안팎에 불과한 실정이다.
8천TEU(20피티 컨테이너 1개)급 이상 대형 선박이 운항할 인천신항 제3항로도 계획수심은 (-)14m이나 실제는 (-)12m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천항도선사회의 경우 제1항로에 대해 (-)10m로 설정해 도선을 하고 있으며 SK에너지 경인컴플렉스로 운항하는 대형 유조선의 경우 수심이 확보된 만조에만 운영되고 있다.
도선사회는 인천내항의 경우 갑문입구는 (-)8m 정도로 설정하고 있으며 주요 항로에는 암반으로 인해 수심이 불과 (-)7~8m에 불과한 곳도 많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귀복 인천항발전협의회장은 "현재 대형 선박이 아예 인천항 기항을 고려하고 있지 않으며 어쩔 수 없이 들어오는 선박도 엄청난 대기비용을 지불하고 물때를 기다려야 하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또 이 회장은 "대형 컨테이너선과 화물선이 물때와 상관없이 인천항에 입항할 수 있어야 인천항이 경쟁력이 생긴다. 관련 기관을 상대로 준설을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한국골재협회 인천지회도 최근 국토해양부 등 관련기관에 인천항 준설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미지 참조>
이 같은 요구는 비교적 소형선박이 운항하는 골재협회 모래채취선은 물론 중·소형 여객선, 화물선, 활어운반선, 유류운반선 등도 동참했다.
연안부두를 출항해 연평, 백령도, 굴업도, 강화, 삼목도 인근해역을 운항하는 이들은 최근 인천국제공항 건설을 위한 영종·용유도 매립과 송도매립, 주변 개발 등으로 퇴적층이 발생해 정상적인 운항이 힘들다는 입장이다.
한국골재협회 인천지회 관계자는 "각종 매립과 개발로 몇 년 전부터 항로도에 없는 원인모를 퇴적층이 발생해 연안항로를 운항하는 일부 선박들은 불가피하게 물때에 따라 대기 또는 입·출항 시간 등을 조절해 비용이 과다하게 들고 있다"며 "특히 최근 선박 대형화로 안전수심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대형 해양사고 우려가 높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인천지방해양항만청과 IPA는 예산확보가 어렵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또 개발 준설은 국토부, 유지보수 준설은 IPA로 각각 나뉘어져 있어 준설 주체도 모호한 상태다.
특히 지난 2007년 개정된 항만공사법에 따라 준설 등 수역시설 관리사업은 항만공사(PA)가 맡게 돼 있지만 매년 50㎝ 가량의 모래가 다시 쌓이는 인천항의 특성상 기존 항로를 유지하기 위한 준설하는 데만 연간 수십억 원이 소요된다.
IPA 관계자는 "연 수입이 1천억 원대, 순수익이 20억~30억 원에 불과한 IPA 형편상 항로 준설을 제대로 할 수 없는 상태"라며 "국토부 등 관계기관과 협의해 항로 준설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관계법령 개정 없이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