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민물고기를 이야기할 때에 빠질 수 없는 것이 민물조개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지금까지는 강에서 조개를 보면 그저 "민물조개구나~" 하고 지나갔었는데,
문득 그래도 이름은 불러줘야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작년부터 민물조개를 보면 열심히 사진을 찍어서 자료를 모으고 공부도 조금 해보았습니다.
아종까지 포함하면 민물조개의 구분은 굉장히 어렵고 복잡해지는데요..
민물고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굳이 그 정도 수준까지 구분할 필요는 없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물론 저는 구분할 능력도 없지만요....ㅠㅠ
그래서 일단 최소한의 구분을 위한 방법을 한번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전에 몇분이 민물조개 구분법을 카페에 올려주셨는데요,
저는 제가 생각하기에 가장 쉬운 구분 방법을 바탕으로 적어 보겠습니다.
민물조개의 종류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제가 민물조개는 잘 알지 못하는 관계로 오류가 있을 수도 있다는 점을 감안해주셨으면 좋겠고,
잘못된 부분은 지적하시고 바로잡아 주시길 부탁 드리겠습니다.
1. 말조개

말조개는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민물조개 중 하나입니다.
전체적으로 길쭉한 타원형으로 생겼습니다.
2. 펄조개

말조개가 길쭉한 반면, 펄조개는 말조개보다 둥근 편입니다.
그리고 위의 사진의 개체는 고운 모래가 깔린 곳에서 채집한 개체입니다.
그러다보니 패각이 온전한 상태로 보이는데요.
아래 사진은 거친 여울에서 채집한 개체로 여기저기 많이 닳은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둘 다 같은 펄조개입니다.

3. 귀이빨대칭이

귀이빨대칭이는 펄조개와 비슷하게 생겼는데요,
하지만 위의 사진처럼 이빨처럼 생긴 부분이 있습니다.
펄조개의 윗부분이 일직선이었다면, 귀이빨대칭이는 그 일직선 위로 이빨처럼 더 튀어나와 있습니다.
위의 사진의 개체는 이빨 부분이 상당히 마모된 편입니다.
카페 내에서 "귀이빨대칭이"를 검색하시면, 이빨의 형태가 잘 보존된 귀이빨대칭이의 사진이 많이 있습니다.
4. 대칭이

대칭이는 펄조개와 다소 헷갈릴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옆에서 보면 뚱뚱한 편입니다.
아래 사진에서처럼 각폭이 넓어 통통해 보이면 대칭이고, 이보다 얇으면 펄조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5. 민납작조개

패각의 형태가 각이 진 타원 형태이면 민납작조개입니다.
위의 사진을 보면 납작한(특히 아래쪽이), 또는 찌그러진 타원형이라는 느낌이 듭니다.
6. 곳체두드럭조개

곳체두드럭조개는 바로 위에서 본 민납작조개와 거의 비슷합니다.
하지만 패각에 형성되어 있는 울퉁불툭한 두드럭이 있다면 곳체두드럭조개입니다.
7. 두드럭조개

두드럭조개는 타원보다는 원형에 가깝습니다.
그리고 패각에 전반적으로 울퉁불퉁한 두드럭이 많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8. 부채두드럭조개

부채두드럭조개는 몸의 형태가 길쭉한 타원형입니다.
지금까지 본 조개 중에서는 말조개와 형태가 가장 유사한 것 같네요.
하지만 차이점은 사진에서도 명쾌하게 볼 수 있듯이, 온몸에 두드럭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9. 도끼조개

도끼조개는 패각의 아래쪽이 오목하게 들어가 있어서 다른 종류의 민물조개들과 구분이 됩니다.
화살표로 표시한 부분이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인데요, 위의 사진보다 더 움푹하게 들어간 개체들도 많습니다.
10. 칼조개

칼조개는 상당히 구분하기 쉽습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패각이 굉장히 길고 뾰족한 형태입니다.
11. 재첩

재첩은 다들 잘 아실 것이라 생각됩니다.
작고 동글동글합니다.
이상으로 우리나라 민물조개의 종류를 간단히 정리해보았습니다.
제가 민물조개에 대한 지식은 많지 않아, 상세한 설명은 못 드리고 단순히 모양으로만 구분했습니다.
잘못된 부분이나 추가적인 정보가 있을 경우 알려주시면 저를 포함해서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될 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첫댓글 좋은 지식 배우고 감니다~!
와~
잘 정리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확실하게 알겠어요.
^^
아.. 좋은 정보네요.. 그런데 맛은 어떤가요? ^^;;
맛은 잘.... 제일 유용한 정보를 제가 확인 못했네요^^
좋은정보 보고 가네요 이렇게 해놓으니 구분하기 쉬워지내요 감사합니다^^
정리 잘되어있네요
근데 작은말조개도 따로 있어요 ^^
아 그렇군요. 작은말조개는 어떻게 구분하는지 모르겠습니다ㅠㅠ 혹시 나중에 기회가 되시면 알려주세요~
우와~ 좋은 정보입니다. 잘 보았습니다. ^^
잘 배웟습니다 꾸벅
아 이렇게 많았나요 별로 민물조개는 본적이 없느것 같은데 정말 감사 합니다 한수 배우고 갑니다
깔끔한 정리 감사합니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조개의 종류에 대한 상세한 설명 정말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귀한자료 하나 올립니다
아직 국내발표 등록이 안된
제가 발견한 독도 조개입니다
보통 비슷한 두드럭조개는 섬진강계이지만 이독도 조개는 낙동강계입니다 모양 크기도 완전 다릅니다
두고두고 봐야할 좋은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와진짜ㅎ 백과사전보는것같네요
덕분에 확실히 공부하고 갑니다.
좋은자료 잘봤습니다. 고생하셨습니다.^^
민물조개도 여러가지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