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악인의 꿈, 산악박물관
국내 유일의 산악박물관. 박물관 외관에는 하늘을 향해 걷는 등산객 조형물이 서 있으며 내부로 들어가면 3층 높이의 암벽 모형이 천장에 매달려 있다. ‘영원한 도전’이라는 주제로 산악박물관의 상징조형물이다. 온 힘을 다해 산을 오르는 산악인의 모형이 시선을 사로잡는다.
동선은 4등 꼭대기 전망대에서 울산바위를 감상하면서 천천히 내려오는 것을 권한다. 3층 상설전시관에는 산악의 역사, 인물, 문화의 테마로 꾸며졌다.
1900년대 초반 장비 없이 산을 오르던 개척기부터 1970년 산악원정 도전기를 거쳐 2000년대 황금기에 이르는 한국 산악 역사의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다. 고상돈, 박영석, 김창호, 고미경, 엄홍길, 김재수, 김홍빈, 한왕용, 김미곤 등 불굴의 의지로 한국 산악의 획을 그은 산악인 50여 명을 만날 수 있다. 산에서 눈을 감은 자, 아직도 도전하고 있는 자들이 함께 공존하고 있다.
한국인 최초로 에베레스트 등반에 성공한 고상돈 대장의 사진과 피켈, 일기장 등이 전시되었으며 카퍼레이드 사진을 보면서 당시의 감격과 환희를 고스란히 느껴본다.
3층 벽면에는 히말라야 14봉우리 사진을 볼 수 있다. K2를 시작해 안나푸르나, 에베레스트, 칸첸중가까지 세상에서 가장 높은 산봉우리 실경사진을 보면서 대자연의 경이로움에 고개를 숙이게 된다. 가장 쉬운 안나푸르나 트레킹을 했기에 이 산들이 얼마나 대단한지 알게 된다.
복도에 스토브, 피켈 등 산악컬렉션도 볼 만하다.
2층은 체험실로 꾸며져 있다. 산악체험실은 3m 이내의 실내 암벽을 장비 없이 누구나 자유롭게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다.
저산소 고산환경의 고산체험실도 인기 있다. 3천~5천 미터 환경을 만들어 백두산과 에베레스트산을 거니는 체험을 하게 된다. 옥상은 울산바위를 편안하게 조망할 수 있도록 꾸며졌다.
10월 5일부터 내년 5월 31일까지 ‘설악산 그때 그 시절’이라는 주제로 기획전이 열리고 있다.
산악인들의 기록과 추억과 역사를 볼 수 있다. 1부는 ‘추억의 산’으로 6~80년대 다양한 기념품과 설악산 사진, 수학여행, 신혼여행 사진을 볼 수 있으며 2부는 ‘도전의 산’으로 빙벽을 개척했던 산악인들의 기록과 사고 그리고 대피소 등 이야기를 들려준다.
공간 산은 장엄한 설악의 4계를 대형화면으로 감상할 수 있다.
#설악문화제 #강원도축제 #속초문화관광재단 #국립산악박물관 #한국여행작가협회팸투어 #이종원스토리
첫댓글 한국 산악 자료 기록 잘 모아둔 곳 감사합니다.. 가보고 싶어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