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창동계문화올림픽 기념
2018. 2. 8 ~ 2. 25 , 2018. 3. 9 ~ 3. 18
한국공예전
기량의 예술
평창동계문화올림픽 기념
2018. 2. 8 ~ 2. 25 , 2018. 3. 9 ~ 3. 18
한국공예전
기량의 예술
평창동계문화올림픽 기념
2018. 2. 8 ~ 2. 25 , 2018. 3. 9 ~ 3. 18
한국공예전Korean Crafts
[한국공예전(Korean Crafts)]은 제23회 평창 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을 기념하기 위해 마련된 특별 기획전시이다.
전시는 전 세계인들의 겨울축제인 동계올림픽이 개최되는 대한민국 강원도의 청정한 자연을 배경으로
뿌리 깊은 한국공예의 역사와 문화를 담고 있는 동시대 한국공예 작품 21점을 선보인다.
전시는 ‘실천하며 배우기(Learning by Doing)’라는 주제 아래, 자연(환경)보호, 도전(실험)정신, 경험축적(시간)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스포츠(sports)’와 ‘공예(crafts)’의 공유가치를 조명하는데 방점을 두었다.
이번 전시는 자연소재, 전통기술, 표현방법 등 끊임없는 실험과 연구를 거듭해온 한국공예작가
24명의 도자(유리), 금속, 나전, 목칠, 섬유(한지), 장신구 등으로 구성된다.
코리안 아트주얼리Korean Art Jewelry
[한국공예전(Korean Crafts)]은 제23회 평창 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을 기념하기 위해 마련된 특별 기획전시이다.
전시는 전 세계인들의 겨울축제인 동계올림픽이 개최되는 대한민국 강원도의 청정한 자연을 배경으로
뿌리 깊은 한국공예의 역사와 문화를 담고 있는 동시대 한국공예 작품 21점을 선보인다.
전시는 ‘실천하며 배우기(Learning by Doing)’라는 주제 아래, 자연(환경)보호, 도전(실험)정신, 경험축적(시간)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스포츠(sports)’와 ‘공예(crafts)’의 공유가치를 조명하는데 방점을 두었다.
이번 전시는 자연소재, 전통기술, 표현방법 등 끊임없는 실험과 연구를 거듭해온 한국공예작가
24명의 도자(유리), 금속, 나전, 목칠, 섬유(한지), 장신구 등으로 구성된다.
전시 연계 워크숍Exhibition-linked Workshop
<지화_종이꽃 만들기>는 2018년 겨울 스포츠의 하이라이트인 제23회 평창 동계올림픽의 꽃인
각국 대표선수들의 건승을 기원하며, 생명존중 사상을 바탕으로 과거 생화((生花)를 대신해 관혼상제나
왕실 주요행사에 사용되던 ‘지화(紙花)’ 즉, ‘종이꽃’들을 관람객들이 직접 만들어보는 프로그램이다.
이번 동계올림픽이 개최되는 청정한 강원도에서 피어나는 아름다운 꽃 즉, 각국의 젊은 선수들과,
한국의 공예작가들 그리고 응원과 축하를 위해 한마음으로 모인 전 세계 관람객들이 본 행사의 주인공((人花)임을
부각시키기 위해 본 워크숍은 기획되었다.
전시소개Exhibition
전시작품Exhibits
아티스트 프로필Artist's Profile
관람안내Information
포토갤러리Photo Gallery
워크샵Workshop
Korean Crafts_The Art of Workmanship
2018. 2. 8 ~ 2. 25 , 2018. 3. 9 ~ 3. 18
전시소개Exhibition
전시작품Exhibits
아티스트 프로필Artist’s Profile
관람안내Information
포토갤러리Photo Gallery
워크샵Workshop
아티스트 프로필
Artist’s Profile
구세나GU Se-na
1981년 서울에서 태어난 구세나는 홍익대학교에서 도예를 배우고 영국 왕립 미술대학원(RCA)에서 도자 디자인을 공부했다.
LEARN MORE - 더보기
권대섭KWON Dae-sup
달을 닮은 항아리인 ‘백자대호(白磁大壺)’를 제작하는 권대섭은 1953년 대전에서 태어나 홍익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했다.
LEARN MORE - 더보기
김신령KIM Shin-lyoung
입사기법을 활용하여 시각적 환영을 주제로 한 장신구를 제작하는 김신령은 1976년 서울에서 태어나 국민대학교 및 국민대 대학원에서 금속공예를 전공하였다.
LEARN MORE - 더보기
김현주KIM Hyun-ju
유기에 자개를 붙여 만드는 금태나전칠기 기법으로 기물과 생활용품들을 제작하는 김현주는 1979년 서울에서 태어나 전남대학교에서 금속공예를 공부하였다.
LEARN MORE - 더보기
박예님PARK Ye-nim
1988년 충청북도 제천에서 태어난 박예님은 청주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하였다.
LEARN MORE - 더보기
강미나KANG Mi-na
1987년 서울에서 태어나 조각보를 만들던 어머니로부터 자연스럽게 모시와 바느질을 배운 강미나는 경기대학교에서 장신구 디자인을 공부하고 국민대학교 대학원에서 금속공예를 전공하였다.
LEARN MORE - 더보기
강금성KANG Geum-seong
1959년 경상북도 안동에서 태어나 4대가 함께 사는 집안에서 자란 강금성은 할머니들로부터 자연스럽게 바느질과 집안 살림을 배우며 삶의 지혜와 예술적 안목을 익혔다.
LEARN MORE - 더보기
고혜정KO Hye-jeong
1975년 제주에서 태어나 산과 오름, 계곡과 바다로 둘러 쌓인 자연 속에서 유년 시절을 보낸 고혜정은 경기대학교와 미국 로체스터 대학원에서 금속 및 장신구 디자인을 공부하였다.
LEARN MORE - 더보기
김재영KIM Jae-young
1946년 경기도 수원에서 태어난 김재영은 어린시절 전쟁을 경험하고 국가가 재건되는 과정을 지켜보며 성장하였고 1969년 홍익대학교 대학원에서 금속공예를 전공하였다.
LEARN MORE - 더보기
김선영KIM Sun-young
외부환경에 따라 변화하는 금속과 식물의 공통적 속성을 주제로 장신구를 제작하고 있는 김선영은 1986년 청주에서 태어나 국민대학교 대학원에서 금속공예를 전공하였다.
LEARN MORE - 더보기
김영옥KIM Young-ock
1959년 서울에서 태어난 김영옥은 홍익대학교 공예과에서 금속공예를 배우고 홍익대 대학원과 미국 템플대학교 대학원에서 금속조형을 공부하였다.
LEARN MORE - 더보기
김연경KIM Yeon-kyung
1975년 서울에서 태어난 김연경은 경기대학교에서 장신구 디자인을 전공하고 독일 포르츠하임 조형대학교에서 장신구와 오브제 디자인을 공부하였다.
LEARN MORE - 더보기
박순덕PARK Sun-doak+KIM
국가무형문화재 제103호 완초장 이수자 박순덕은 1962년 경기도 강화군에서 태어나 유년시절부터 완초로 바구니를 짜는 기술을 배우며 성장하였다.
LEARN MORE - 더보기
이순재LEE Soon-jae
종이문화재단에서 선정하는 대한민국 종이장식 명인 1호인 이순재는 1959년 전라북도 완주에서 태어났다.
LEARN MORE - 더보기
이가진LEE Ka-jin
전통 청자의 제작 과정과 유약의 색을 재해석하여 현대의 청자로 재창조하는 작업을 하는 이가진은 1985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및 서울대 대학원에서 도예를 전공하였다.
LEARN MORE - 더보기
손대현SHON Dae-hyun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1호 옻칠장인 손대현은 1949년 황해도에서 태어났으며, 소년시절부터 일을 하던 회사 근처의 칠기공방을 자주 구경하던 것이 계기가 되어 옻칠을 시작했다.
LEARN MORE - 더보기
임종석LIM Jong-seok
가는 은선을 꼬아 만드는 세선 기법을 사용하여 곤충 형태의 장신구를 제작하는 임종석은 1987년 경기도 평택에서 태어나 건국대학교와 국민대 대학원에서 금속공예를 전공하였다.
LEARN MORE - 더보기
박인숙PARK In-sook
강릉원주대학교 평생교육원에서 규방공예와 보자기를 가르치고 있는 박인숙은 1956년 강원도 강릉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 주생활학과(지금의 실내건축학과)에서 디자인을 공부했다.
LEARN MORE - 더보기
정순주JEONG Soon-joo
전통 문양과 민화의 서사적인 내용을 소재로 작품활동을 하고 있는 정순주는 1969년 서울에서 태어나 홍익대학교 및 홍익대 대학원, 일본 동경예술대학교 대학원에서 공부하였다.
LEARN MORE - 더보기
조성호CHO Sung-ho
1975년 경북 청송에서 태어난 조성호는 서울대학교 및 대학원을 졸업하고 이탈리아 알키미아 쥬얼리디자인학교와 독일 뮌헨국립조형예술대학에서 장신구를 전공하였다.
LEARN MORE - 더보기
정운복CHO Sung-ho
국가무형문화재 제108호 목조각장 이수자 정운복은 1951년 경기도 광주에서 태어나 1995년 강원도에서 개최한 전국공예대전에서 대상을 수상하였다.
LEARN MORE - 더보기
정해조CHUNG Hae-cho
한국 옻칠공예의 보존, 계승 및 발전을 위해 노력해 온 정해조는 1945년 충청북도 옥천에서 태어나 홍익대학교에서 목칠 공예를 전공하였다.
LEARN MORE - 더보기
최병훈CHOI Byung-hoon
국내 최초로 아트 퍼니처 분야를 개척한 최병훈은 1952년 강원도 태백에서 태어나 산으로 둘러싸인 자연적 환경에서 성장했다.
LEARN MORE - 더보기
홍성환HONG Sung-hwan
유리의 물리적 성질을 활용하여 새로운 유리조형 디자인을 창조하고 있는 홍성환은 1967년 서울에서 태어나 홍익대학교 및 홍익대 대학원에서 도예와 공예디자인을 공부하였다.
LEARN MORE - 더보기
place
강원도 강릉시 교동 2-4 강릉 올림픽파크 라이브사이트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전시체험관
KOREAN CRAFTS
Korean Crafts Exhibition Booth
Gangneung Olympoc Park Livesite
Gyo-dong 2-1, Gangneung-si, Gangwon-do
period
2018. 2. 8 – 2. 25
2018. 3. 9 – 3. 18
host
Supervision
Associated agency
Exhibition
Exhibits
Artist Profile
imfomation
photog allery
workshop
전시작품
Exhibition 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