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북의길중에 가장 조망이 좋으리라 기대보며 길을 나서봅니다
몇번씩 와본것같은 사패,도봉,오봉,삼각산 멀리서 보는것 만으로도 대단한 산이죠
전세계어디에도 수도근처에 멋진풍광을 자랑하는 이런 명산이 없다고합니다
그런걸보면 대한민국은 분명 복받은 나라입니다
샘내고개(달린고개)
샘내고개는 경기도 양주시 신북동에서 덕계동으로 넘어가는 고개로 3번국도가 지나는 길이다
샘내고개 좌측으로는 양주시 신북동,유양동,의정부시 녹양동
우측으로는 양주시 덕계동,백석읍,장흥면이 자리한다
지질이 희고 푸석돌이 많은 석비례의 토양으로 여기에서 솟아나는 물은 그래서 유명하다고 한다
그중에 꽃바위우물 즉 화엄정이라고하는 약수는 이약수가 고개에 있다하여 샘내고개라 하였다한다
잼나는 얘기가있어 적어봅니다
옛날 하고도 먼옛날 서평강이라는 평강군수가 있었는데 그가 가렴주구나 일삼는
악정을 펼치던중 세력이 기울자 짚동아리를 타고 쫓겨와 살게되었다
그는 동네 한복판에 큰못을파고 그흙으로 못옆에다 산을 만들고 나무를 심어아름다은 풍경을 만들고 살았다한다
그인근에 큰뒤주같은 생긴바위를 "대감바위"라고 했으며 바의밑에서 옥수가 나오니
이곳을 샘내라했다고한다
보통 전설의 내용은 권선징악이 다수를 차지하지만 이얘기는 좀거시기한것 같기도하구요
포악한 사람에게 선한일이 ~~

유격장에서 세이님 몸좀푸시고


청엽굴고개
정다운님께서 갖고오신 한방차 한잔씩돌리고나니 몸이 풀어집니다
고맙습니다 다운님 !!!



잘읽어보시구요





백석이고개



작고개(어둔동고개)

호명산
호랑이가 많이 울었다고 해서 얻은 이름이라는데
경기도 가평에 유명한 호명산이있다




한강봉
정상에서 서울의 한강이 보인다해서 한강봉이라 부른다고 ~~

챌봉(520.8m)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부곡리,석현리,백석읍 복지리에 걸쳐있는 산봉우리이다
챌봉 또는 채일봉이라고 불리운다 봉우리의 생김새가 차일을 친것처럼 생겼디하여
일부기록에는 차일봉으로 나와있다 산이높아 해를 가린다는 봉우리라는 의미에서 차일봉으로 부르다가
챌봉으로 부르게된 연유가 타당하다 하겠다 챌봉의 동북쪽으로 불곡산 남쪽으로 사패산이 보이고
송추 울대고개를거쳐 챌봉,한강봉,호명산으로 이어지는 산행코스가있다 출처:한국향토문화대전

세이님께서 챌봉에서 짐승들께 초콜렛을 주시면서 한번씩 포옹해 주시는군요
ㅍ ㅎ ㅎ ~ 좋구로 담에뵈면 몇배로 만난거 사드릴께요


울대고개(울티재)
양주시의 장흥면 울대마을에서 의정부시로 넘어가는 길에 위치한고개이다
고개가 매우 높고 험하여 넘을때 매우 답답함을 느낀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실제로 울때고개 뒤에는 오봉산 남쪽에는 삼각산 서쪽에는 일영산맥이있어 사방으로 꽉막혀있는 형국이다
울때고개는 "숙종실록"에 을치현이라는 이름으로 처음등장하는데 도성방어에 요충지로써
활용할만하다고 적혀있다 "정조실록"에는 양주읍치 후미의 중요한 통로 을대현 이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어있다
또다른 문헌에는 양주읍치에서 서남쪽으로 20리 거리에있으며 고양군으로가는 통로라고 소개되어있다

세이님 선물 고맙구요
소중한곳에 잘쓸게 ㅠ ㅠ ~


사패산(552M)
북한산 국립공원의 북쪽끝에 있는산으로 동쪽으로는 수락산 남으로는 도봉산으로
포대능선으로 연결되어있으며 가운데 회룡골이라는 계곡이있다
사패산의 내력은 조선시대 선조의 6녀 정희옹주가 유정량에게 시집갈때 선조가 하사한
산이라고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한다
도봉산과 달리 정상이 넓은 암장으로 되어있어 휴식하기에좋다
도봉산이나 삼각산의 위용에 가려져 있으나 울창한숲과 계곡이 일품이다

마카다 모디가 박았네요 ㅎ





앞에보이는 수락산 뒤쪽 우측멀리 불암산




도봉산(739 .5m)
서울시 도봉구와 경기도 의정부시및 양주시에 걸쳐있는 산이다
도봉산의 명칭은 큰바위길이 산전체를 이루고있어 도봉이라 지었다는것과
전축사,회룡사 등의 사찰에 무학대사의 중창기록이 전해지는것과 관련하여
조선왕조 창업의 길을 닦았다는 내용의 두가지설이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양주목에서 주남쪽 30리 지점에있다 와 삼각산은.............서쪽으로
양주에 이르러 서남쪽에서 도봉산이되고 자운봉,만장봉(716m)선인봉(693m) 등이있으며
오봉중 만장봉은 이름그대로 일만길이되는 바위벽으로 "택리지"에서 함경도 안변부 철령의 한줄기가
남으로 오백리를 달려와 양주의 여러작은산이되고 북동쪽에서 비스듬히 돌아들면서
갑자기 솟아나 도봉산의 만장이 되었다고 기술하고있다
오봉이라함은 자운봉,만장봉,선인봉,주봉,우이봉이다 서쪽으로는 오봉이 뻗어있다
기암괴석과 60여개의 사찰과 문사동계곡,망월사계곡,보문사계곡을 도봉산의 3대계곡으로 불린다



우의령(소귀고개)
삼각산과 도봉산 사이에 고개이다 옛날에는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과 서울시 강북구 우이동 일대를잇는 길이였다
이고개에서 교현리와 서울시의 경계가되는 부분의 왼편에는 중방고개가있고
오른편에는 갈비봉이있는데 소의 귀처럼 생겼다한다
고개길도 소의 귓처럼 길게 늘어진 모양 까닭에 붙여진 이름이라전한다
우이동지명도 같은 유래를 가지고있다 일구육팔년 김땡땡씨가 욜로 거쳐서
가삐가지고 40년 가까이 도로가 폐쇠되기도했다

앞쪽에 선히 보이는 오봉의 방구들 ~~~

웬 생불이 ~~~ ㅎ
꺼먼 앵경을 쓰고

북한산(부아악,한산,삼각산836 m)
서울시의 성북구,종로구,은평구,강북구,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한 산이다
본래 한산이라 불렀는데 큰산이란 뜻이다 한산이란 이름은 "삼국사기""고려사""세종실록지리지" 등에 보이며
서울지방의 얫이름을 한산 북한산 북한산성 북한성 한양등으로 기록하고 있는것으로보아
북한산은 처음에는 산이름이 아니라 서울의 옛이름인 한산의 북쪽지역을 가르키는 지명이었을 것이다
한성부에는 양주지경에있다 화산이라고도하며 신라때에는 부아악이라고도 하였다
평강현의 분수령에서 잇닳은 봉우리와 겹겹한 산봉우리가 높고 낮음이있다
또 삼각산이되니 실은 경성의 진산이다
고구려 동명왕의 아들 비류와 온조가 남쪽으로 나와서 한산에 이르러 부아악에 올라가
살만한 땅을 찾았으니 바로 이산이다라고 하였다한다
부아악은 어머니가 어린애를 업고있는 형상을 한자명으로 표기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부아가 불의 표기이므로 부아~불~화 화로 바뀌어 화산이 되었다는 해석도있다
또 옛문헌에 여러곳에는 삼각산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고려와 조선시대에 일반화된 이름이다
인수봉,백운봉,만경봉 세봉우리가 삼각을 이루어 나란히 있는 모습에서 유래되었는데
근래에까지 삼각산이라는 이름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조선후기 북한산성이 축성된 내용을 기록한 "북한지"가 출간된이후 북한산이라는 이름이 자연스럽게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가장높은 백운봉과 동쪽 인수봉(811m)은 온통바위로 이루어져있다 만경봉은(801m)은 국망봉이라 부르기도한다
만경대를 비롯해 임란때 왜적들이 노적더미로 의심하였다는 노적봉 진흥왕순수비가있는 비봉이있다
북한산성의 길이는 21리60보 14개의 성문과 동장대 남장대,북장대,행궁,군창이있었다고 전해진다
북한산지도는 경기도 양주목 지도에 자세히 표기되어있다


솔고개

삼리의 전설들 ㅎ ~~~
왁자지껄 대단한 한북길
수도권지부 많은 분들이 함께하여준 즐거운 정맥길 걷고왔네요 평소에는 숨소리조차없이 조용한 길만 걸었는데
로제님이 합류하시고 팀분위기가 살아나는듯 합니다 정맥길을 걸으면서 사람을 대따많이 만난구간이었구요
샘내고개부터 함께 걸어주신 사인암님,백석이고개부터 거꾸로 마중나와 반겨주신 반디님 세이님
울대고개에서 반갑게 맞아주신 솔별대장님,대대로대장님,산개미님,백구님 무지하게 반가웠구요
4시간 이상을 먹을것 잔뜩 준비해서 자운봉앞에서 기다리신 백무님 추분데 애많이 쓰셨습니다
상장봉아래 걸리랑 준비하셔서 기다려주신 전설님 고마웠구요
날머리에 기다리시다 올라오신 뿡이님 넘넘 반가벘구요 호미화암추에서뵙고 첨이였네요
선나갱이 걷고 배터지도록 묵꼬왔습니다
솔별대장님을 비롯하여 모든분들께 고맙고 감사했습니다 은혜는 두고두고 갚도록하겠습니다
어느분의 말마따나 온동네 다니며 민폐만 끼치고 왔습니다 여러분 모두를 사랑합니데이 ~~~
함께 걸어주신 길동무님들 수고하셨습니다 담에 뵙겠습니다
첫댓글 후기가 정말 알차네요. 이글스님 국공때. 빼제에서 야밤에. 제가 정신없이 뵈옵고. 또 뵙고 싶었었는데 이렇게. 함산해서 뵈올줄 몰랐네요. 정맥 5차에 로제가. 잘들어간것 같아요. 부럽샴 얼마남지 않는 정맥길 안산즐산하시고. 즐거운 산행이었음돠. 홧팅!
네 ~~~그랬죠 세이님
방장님한태 세이님 야그를 들어서 그런지 서먹하지않고 오랜친분이 있는것처럼 느껴졌네요
잼난걸음이었구요 담구간도 뵐수있음 좋겠네요 ㅎ ㅎ 늘무탈산길을 응원합니다 고맙습니다
잔챙이길에 뭐이리 사진이 많고 전설이 많은지 ^^
그리고 生佛 정다운님은 진짜 부처 같습니다.
짜잔한 산길에 많은분들이 함께하니 가을 소풍 같은 느낌도 들고 ...
아무튼 배가 아파서 더이상은 못보겠으니 다음부터 먹을것 있으면 바닷가로 좀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ㅍ ㅎ ㅎ 어찌그리 시샘을 하십니까요
그래도 정맥길에서 눈때지않으시고 관심가져주시고 신경써주셔서 감사드려요
해안길도 서두르지 마시고 즐기는길 되소서 단디하고댕기소
짜잘한 방구 넘나드느라 고생하셨습니다,ㅎㅎ
욕봤니더
한달동안 산에도 안댕기고도 후다닥 가는거보이 타고난 산꾼입니다
산행의 즐거움이 묻어납니다 수도권지부의
정성이 담긴 지원덕분에 산정에서의 또하나의
추억을 담고 오셨네요 정맥 한구간 고생하셨습니다
그랬네요 지부장님
잼난걸음하고 왔습니다 7차팀도 늘무탈하게 걸음하세요
아따~ 손님들이 더 많네요~ㅋㅋㅋ
시원한 조망과 즐기는 산행이었겠습니다~~~
수고많으셨습니다`~
그랬네요
융숭한대접 잘받고왔습니다 고맙습니다
5차팀다운 산행 수고많으셨읍니다
가을을보내며 겨울을 맞는 소풍 모드 좋았지요
정맥길에 최대로 많은 산객들만나며 다음졸업구간도 재미나게 걸어보아요 역사 지리공부 잘하고 갑니다
자세의 친구분들덕에 즐거운산행 했어유 ~~~
즐겁게즐기며 걸어보자꾸나 자세 담구간에서보길
부끄럽습니다. 북한산이 멋지고 좋다는건 알았지만 이렇게 세세하게 설명해주시니 아무것도 모르고 올라다닌게 ㅠㅠ
즐겁게 걷고 행복한 지원 배부르고 등따신 산행인것 같아 함께 못한것이 아쉽습니다.
얼마 남지 않은길 즐겁게 마무리 하시길 바랍니다
뭐그렇게까지 자책하실것 까지야 있겠습니까
함산했어면 좋았을껀데 아쉽네요 담에 함께해요 고맙고 감사합니다
한북!!!한많고 애달픈길 전쟁의 상흔을 새기며 의미있는 멋진산행 하시느라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멋진사진 고맙습니다
남은 정맥길 즐겁고 안전한 산행이어가시길 바랍니다
대대로대장님 만나서 반가웠구요
성큼성큼 걸어가는 모습이 인상적이였네요 산정에서 무탈하게 걸음하시길 기원합니다 고맙습니다
한북4구간, 한양은 역시 사람들이 많더군요. 산에도 사람들이 많더군요.^^ 정맥하면서 그렇게나 많은 산객을 본 적도 없었지 싶습니다.
수도권 회원님들 지원도 많이 오시고, 이래저래 시골사람 한양 구경 잘 한 구간이었습니다.
저는 도봉산도 초행길이었네요. 조선이 도읍을 한양에 잡은 이유를 알겠더군요.
수고하셨습니다.
욕봤습니더
저역시 한양나들이길은 오랬만이였네요
예전에는 도봉산,삼각산등 수도권산들을 부지런히 다닌적도있었죠
담구간에는 시내길을 부지런히 찾아다녀야 되겠더군요 즐거웠던 한구간이었습니다 욕보셨습니다
짧았지만 함께 걸어본 한북정맥4구간길,
많은 분들과 빼어난 풍광속에 반가움 더 했지요~~
어떻게 보면 한북정맥도 담 노고산까지 라고 보시면 되구요!
도심길로 걸음이 많겠네요~장명산까지 무탈하시길요~~
이글스님 산행후기는 공부 하듯이 쭉~스캔이 됩니다.
수고 많았습니다.
기다리고 있는 정맥길도 즐기시고,맘으로 누리는 걸음 되십시요~~/^ㅇ^/
감사합니다 백구님
만나서 반가웠구요 6차팀의 무한지원에 감사했었습니다
백구님도 늘건강하시구요 좋은곳에서 뵙겠습니다 고마웠습니다
이번 구간 앞서 진행하시며 일찍 마무리 하시고..
날로 젊어지시는 이글스님 한구간 수고 많으셨습니다.~~^^*
ㅎ ~~ 무슨 헛소리를 ~
즐거운 구간이었지 욕봤고 수고했다 봉 담구간에서 보자꾸나
꾼보다 객이 더 많네요.
아름다운구간 아름다운 걸음하셨습니다.
졸업구간만 남겨두고 오셨는데 고생하셨습니다.
지진 피해는 없는지 모르겠네요.옹
그랬네요 지부장님
잘계시지요 안본지가 오래되어서 얼굴 잊어묵겠십니더 ㅎ
늘무탈산길 걸어시구요 건강하게 지내시길 바랍니다 근처에가면 맛난거 사주실꺼죠 ㅎ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