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많은 수험생분들이 ...이문제를 이상하게 생각합니다.. 필기 공부할때...온수는 523, 증기는 756 이렇게 알고있는데.. 왜..여기서는 온수도 756을 적용하는지... 원래...증기나..온수나...방열량은 온도에 관계합니다... 방열기 안에 무엇이 들어있든,,방열기 온도와 실내 온도차에 따라 방열량이 결정되는거지요.. 그래서 저 보정계수표는 증기, 온수 공용으로 적용하는 표입니다.. 저표에서 증기온도 102, 18.5 대입해보면 대략 756나오고.. 온수 80, 18.5 대입해보면 대략 523 나옵니다.. 그래서 그냥..온수는 523, 증기는 756 이렇게 표준 방열량을 정해서 적용한 거지요...그러므로 저 표는 방열기 온도만 주어지면...온수든,,증기든.. 기준점(102, 18.5) 에서 756 이니까... 이 값을 기준으로 보정계수를 구합니다.. 결론은...증기 온수 공용입니다..
첫댓글 위에서 제시한 표의 온도에 따른 계수만 증기방열량에 적용하시면 됩니다.
예...많은 수험생분들이 ...이문제를 이상하게 생각합니다..
필기 공부할때...온수는 523, 증기는 756 이렇게 알고있는데..
왜..여기서는 온수도 756을 적용하는지...
원래...증기나..온수나...방열량은 온도에 관계합니다...
방열기 안에 무엇이 들어있든,,방열기 온도와 실내 온도차에 따라
방열량이 결정되는거지요..
그래서 저 보정계수표는 증기, 온수 공용으로 적용하는 표입니다..
저표에서 증기온도 102, 18.5 대입해보면 대략 756나오고..
온수 80, 18.5 대입해보면 대략 523 나옵니다..
그래서 그냥..온수는 523, 증기는 756 이렇게 표준 방열량을 정해서
적용한 거지요...그러므로 저 표는 방열기 온도만 주어지면...온수든,,증기든..
기준점(102, 18.5) 에서 756 이니까...
이 값을 기준으로 보정계수를 구합니다..
결론은...증기 온수 공용입니다..
그럼 환산방열량은
방열량이 1이건 999건 전혀 관계가 없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