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관악산
2023년 11월 19일(일요일)
산행코스 : 과천역(08:30) - 과천향교(08:45) - 용마능선 - 559.3봉(09:55) - 관악산(10:25) - 말바위능선 - 학바위능선 - 학바위국기봉(11:05) - 무너미고개(11:45) - 삼성산(12:25) - 삼성산국기봉(12:40) - 천인암능선 - 안양예술공원(13:55)
산행거리 : 11.8km
과천역 7번출구
과천향교
연주암 들머리
정부과천청사역 1.04km, 과천향교 190m, 연주암 2.46km
직진 방향은 연주암, 우측 방향은 용마능선 들머리입니다.
들머리를 지나 우측방향으로 용마능선 올라갑니다.
용마능선이 보입니다.
저멀리 청계산이 보입니다.
첫번째봉우리
연주대 1.8km, 과천향교 1.4km
가야할 관악산 정상부
청계산 방향 파노라마
우면산 방향
좌측 잠실, 대모산, 옥녀봉, 매봉, 청계산 방향
매봉, 청계산, 이수봉, 국사봉 방향
광교산, 백운산 방향
두번째봉우리
연주대 0.8km, 과천향교 2.4km
용마능선 두번째봉우리에서 바라본 관악산 방향 파노라마
옥녀봉, 매봉, 청계산 망경대, 이수봉
좌측 옥녀봉, 매봉, 청계산, 이수봉, 국사봉과 국립과천과학관 과천시
당겨본 청계산 매봉, 만경대
광교산, 백운산 방향
케이블카 능선 뒤로 육봉능선이 보입니다.
당겨본 육봉능선
케이블카능선
당겨본 KBS송신소와 연주암
관악산 연주대
말바위능선, 기상관측소, 연주대와 아래로 관악사
용마골삼거리
용마골입구 1.5km, 연주대 1.4km
559.3봉 아래 군사시설
559.3봉 정상이 보입니다.
관악지맥 559.3m
559.3봉
헬기장과 그 뒤로 KBS송신소, 기상관측소, 연주대
관악문 아래삼거리
연주대 600m, 연주암 1km
여기에서 사당능선과 만나게 됩니다.
뒤돌아본 559.3봉
관악문
관악문 위 지도바위
햇불바위
관악문을 지나면서 바라본 기상관측소와 연주대
뒤돌아본 관악문
좌측 관악사, 연주암, 우측 연주대
연주대 가는 길에 바라본 사당능선 방향 파노라마
좌측 여의도, 한강과 남산이 보입니다.
사당능선 뒤로 한강, 남산이
뒤돌아본 559.3봉(관악문) 과 그 뒤로 우면산
용마능선, 그 뒤로 청계산
솔봉과 연주대
연주대 응진전
뒤돌아본 솔봉, 사당능선
삼각점
관악산 정상
기상관측소
기상관측소 우측에 있는 바위가 사실상 관악산 정상입니다.
저 바위를 오를 수 없어서 관악산 표지석이 있는 연주대가 정상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연주대와 응진전
연주대는 해발 629m 높이로 관악산이 깎아지른 듯한 바위 벼랑위에 있는 대입니다.
통일신라 문무와 17년(677)에 의상대사가 관악사를 창건하고 연주봉에 암자를 세웠기에 의상대라 하였으나, 지금은 연주대로 불립니다.
연주대로 불리게 된 데에는 두 가지 설이 있습니다. 조선 개국 후 고려의 유신들이 이곳에서 망국의 수도였던 개경을 바라보며 그리워했다는 이야기와 세종대왕의 형들인 양년대군, 효령대군이 왕위 계승에서 밀려나자 이곳으로 입산하여 경복국을 바라보며 국운을 기원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이곳 연주대 축대 위에는 현재 응진전이라는 법당이 있습니다. 법당 내부에는 석가여래 삼존불상이 모셔져 있고, 응진전 옆 암벽에는 인공의 감실을 마련한 마애약사여래입상이 조각되어 있습니다.
말바위를 지나가며 바라본 관악산 정상에 있는 기상관측소
말바위능선
말바위능선에서 뒤돌아본 기상관측소
서울대(우측), 학바위능선(직진), 우회로(좌측) 갈림길
삼막사 3.6km, 연주암 0.15km, 연주대 0.5km, 서울대(공학관) 1.9km, 관악산역 4.7km, 녹두거리(고시촌) 5.52km
KBS송신소
특이하게 생긴 바위
삿갓승군
학바위국기봉과 그 뒤로 삼성산
팔봉능선
뒤돌아본 자운암능선, 관악산 기상관측소
학바위국기봉
학바위국기봉에서 바라본 관악산 정상부 방향 파노라마
KBS송신소
좌측 팔봉국기봉, 팔봉능선
학바위국기봉에서 바라본 삼성산 방향 파노라마
비봉산, 안양항공무선표시소, 염불암능선, 삼성산국기봉, 삼성산
삼성산국기봉, 삼성산, 깃대봉
깃대봉, 장군봉
학바위국기봉
올려다본 학바위국기봉
학바위와 그 뒤로 삼성산국기봉, 삼성산, 깃대봉
연주대, 삼거리약수터 1.2km
K39 학바위능선2
학바위
뒤돌아본 학바위능선
팔봉능선
K40 삼거리약수터(상)
무너미고개가 보입니다.
무너미고개
제4쉼터 900m(서울대학교), 삼막사 1.8km, 연주대, 연주암(학바위능선), 안양예술공원(팔봉능선)
K43 무너미고개(우측)
삼성산 1.0km, 안양예숙공원 3.2km, 서울대후문 2.1km
데크전망대에서 바라본 관악산 방향 파노라마
자운암능선
학바위능선
팔봉능선
수리산 방향
삼성산 연화봉
천인암능선, 삼성산국기봉
정문에서 좌측으로 진행합니다.
삼성산
삼성산국기봉 방향
뒤돌아본 삼성산
성불암갈림길
삼성산 400m, 삼막사 600m, 성불암 200m, 국기봉 170m
삼막사가 보입니다.
지그재그로 쇠사슬이 있어서 편하게 올라갈수 있습니다.
삼성산 국기봉
천인암갈림길
천인암 0.5km, 무너미고개 1.7km, 염불암 1.2km, 국기봉 0.3km
천인암능선
좌측 375.5봉(천인암 기도처), 마당바위, 톨탑봉
삼성산 방향
안양예술공원 갈림길
삼막사 1.1km, 안양예술공원 2.0km, 무너미고개 1.6km
천인암방향으로
천인암 산신기도처 바위(375.5봉)
기도처에서 바라본 관악산
천인암능선에서 바라본 관악산
천인암능선에서 바라본 삼악산 방향 파노라마
염불암능선과 제2전망대, 학우봉이 살짝보입니다.
염불암능선
삼성산국기봉, 삼성산과 국기봉 아래 상불암
천인암능선에서 바라본 관악산 방향 파노라마
지나온능선
관악산
당겨본 팔봉능선
당겨본 학바위능선
관양능선
우담산, 바라산, 광교산, 백운산, 모락산
돌탑봉
안양예술공원 갈림길
수목원후문 0.8km, 삼막사 1.7km, 안양예술공원 1.4km
저멀리 좌측 우담산, 바라산, 광교산, 백운산, 모락산과 안양종합운동장, 평촌
안양예술공원, 비봉산, 안양항공무선표시소, 그 뒤로 수리산
광교산, 백운산, 모락산과 평촌
전망데크쉼터
삼막사 2.2km, 안양예술공원 0.8km, 불성사 2.0km
수목원후문 1.53km, 불성사 2.96km, 안양예술공원(수목원정문) 530m
불성사는 관악산 팔봉능선과 육봉능선 사이에 있는 사찰입니다.
앞에 보이는 울타리는 "서울대 수목원 울타리"입니다.
출렁다리
안양예술공원(수목원정문) 370m, 수목원후문 1.69km, 불성사 3.12km
안양예술공원(수목원정문) 220m, 수목원후문 1.84km, 불성사 3.27km
안양예술공원
안양예술공원 분수대
안양예술공원 상가지역
중초사지 삼층석탑(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64호)
높이 2.22m. 본래 이 탑은 중초사지당간지주(보물, 1963년 지정)에서 동북쪽으로 약 80m 되는 밭 가운데 무너져 있었는데, 이곳에 공장이 건설됨에 따라 1960년 12월 현재의 자리에 옮겨 복원한 것입니다.
기단부 일부가 파손되고, 2층과 3층의 탑신석이 결실되었으며 상륜부가 남아있지 않지만 나머지 부재들은 비교적 원형을 잘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 석탑은 본래 보물 제5호였다가 1997년, 경기유형문화재 제164호로 격하됐었습니다. 문화재청은 일제가 지정한 503건의 문화재를 대상으로 지정 명칭, 등급, 종별 등 전반적으로 재검토하는 과정에서 보물 제5호가 예술적인 가치가 떨어진다는 의견이 상당수를 차지했습니다. 석탑과 함께 있는 보물 제4호인 당간지주(幢竿支柱)에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임을 알리는 명문(銘文)이 있었으나, 이 석탑은 그보다 연대가 훨씬 뒤인 고려 중기 이후의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더불어 조형상 우수한 작품으로 보기 어렵다는 평을 받았습니다.
중초사지 당간지주(보물 제4호)
중초사지 당간지주는 높이 3.8m이며, 명문이 새겨져 있어서 만들어진 연대(827년)와 사찰 이름, 만든 사람 등이 명확하게 기록된 국내 유일의 당간지주입니다.
또한 중초사지 당간지주 아래쪽에는 직사각형의 돌 받침이 있는데, 그 중앙에 지름 34cm의 구멍을 파서 당간을 받쳤습니다. 동서로 마주보고 서 있는 지주 사이의 간격은 60cm이며, 당간을 고정시키는 간구가 위아래에 나란히 2쌍 있습니다.
당간지주의 위쪽을 보면,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둥글게 깎았으며 위쪽으로 1단의 턱이 있습니다.
첫댓글 관악산ㆍ삼성산 함께해서 즐거웠구요
자세한 설명과 멋진사진
잘보고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