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흙 때가 전 플라스틱 슬리퍼를 신고 마중 나왔다. 잿빛 승복 바지를 입었지만, 키 작고 마르고 노동에 찌들려 쭈글쭈글해진 모습이었다. 합장하고 첫인사가 “공양(식사)부터 합시다. 절집에서는 찬(饌)이 없는 게 찬이지” 였다. ‘지개야’(祉?也: 복을 비는 거지·56)라는 법명을 쓰는 그는 객(客)을 보면 밥 대접부터 먼저 떠오르는 모양이었다.
경기도 안성시 칠장사(寺)로 들어가기 초입에 걸려있는 ‘묵언마을’문패. 여러 가호가 모인 마을인 줄 알았는데 법당과 요사채만 있다. 절은 절이나 절 같지가 않다. 건축물은 반듯하게 각이 서야 할 텐데, 구불구불 곡목(曲木)과 황토만을 써서 기둥과 서까래를 엮고 세워놓았다. 생전 본 적이 없는 공법이었다. 우리말로 ‘법당’’구경칸’’똥칸’ 등의 표찰을 붙여놓았다. 그는 속세 시절의 재산 30억 원과 5년 세월을 이 유니크한 절에 털어 넣었다.
―왜 절을 ‘묵언마을’로 지었습니까? 스님께서도 묵언을 하고 있지 않고, 우리는 지금 대화를 나누고 있는 중이지요.
“ ‘묵언’(默言) 하면 절 냄새가 나고, ‘마을’하면 고향과 외가, 인간냄새가 풍기지요. 고향이나 외가에 다녀오듯 누구나 여기서 쉬어갈 수 있기를 원했기 때문이죠. 여기 들어오는 분에게는 묵언을 시켜요. 물론 저도 묵언하는 시간이 있지요.
묵언은 자기 내면을 들여다 보게 되지요. 처음 묵언하면 흩어진 마음이 밖으로 나돌지요. 모든 원망이 바깥에 있는 것이지요. 그러나 마음도 가는 길이 있는데, 가다가다 끝이 되면 더 이상 안 갑니다. 며칠간 묵언하면, 내면으로 들어와 스스로에게 묻게 됩니다.
‘내가 왜 사는가?’ ‘우리는 태어나서 왜 죽어야 되는가?’라고. 인간이면 누구나 다 그런 고민을 하거든요. 이런 질문을 던질 수 있다면, 과거에 살아온 길을 볼 수 있고 앞으로 나아갈 길을 스스로 만들 수 있는 것이죠. ”
―’왜 사느냐?’에 대한 스님의 답은 무엇입니까?
“후회 없는 삶이 어떤 것인지 사람마다 다르겠지요. 한번뿐인 삶 즐기다 갈 수도 있지만, 저는 세상에 태어나 남에게 도움이 되는 삶을 살 수 있다면 하는 바람이 있지요.
안동에서 축협에 근무할 때, 저는 송아지를 인공수정해주는 일을 했어요. 농부들이 일어나는 시간이 보통 새벽 5시고, 집에 들어가는 시간은 밤 9시 정도 됩니다. 농부들의 시간에 맞춰 저는 새벽 5시부터 밤 10시까지 근무를 했어요. 왜냐하면 농부들에게는 제가 이 세상에서 제일 필요한 사람입니다. 제가 그 집에 가서 송아지를 한 마리 낳아주면 그 집 아들의 공납금을 제가 내주는 거나 마찬가지요. 그런 생각을 하면 밤에 자는데도 불러도 반가웠지요.”
그는 경북 안동산촌 출신으로 초등학교 졸업을 하고 가출했다. 그는“전깃불 밑에서 수돗물을 먹고 살아야 인간이 될 것 같아서”라고 했다. 초년 시절 이력에는 거지, 구두닦이, 신문배달, 중국집 종업원, 양복점 조수, 막노동 등이 들어 있다.
“오지 산골에는 매일같이 눈만 뜨면 이마에 딱 닿는 게 산이고 누우면 머리에 베는 게 산이었지요. 그러다가 어느 여름 반바지에다가 흰 러닝셔츠, 까만 고무신을 신고 세상으로 나왔습니다. 안동시내까지 걸어와서 처음으로 전깃불을 봤지요. 중국집에서 버린 음식물 쓰레기를 먹었어요. 그걸 제일 먼저 개와 고양이가 먹습니다. 밤 12시 통금 사이렌 소리가 나면 사람들이 다 자기 집을 찾아가고 없을 때야, 그걸 공동수돗물에 씻어서 먹었지요. 잠은 빈 포장마차에서 잤지요. 그때 저를 아는 사람들은 ‘네가 깡패가 안 되고 도둑놈이 안 된 것이 너무 신기하다’고 합니다.”
―정규 학력은 여전히 가출할 당시의 초등학교 졸업입니까?
“어떻게든 공부를 해야 되고, 그 다음에는 남보다 더 잘살아야겠다는 마음이 있었습니다. 그 뒤 검정고시로 19살에 농업고에 입학했지요. 또 졸업해서 10년 만에 전문대에 들어갔고 다시 10년 만에 4년제 대학에 편입했고, 그 뒤로 대학원을 두 군데나 수료했어요.”
―그런 초년 고생은 한편으로 사람의 품성을 모질게 만들지 않나요?
“가축 인공수정사라는 시험이 있었지요. 시험을 치러 가려는데 차비가 없었습니다. 아는 가축 병원의 원장께 찾아가 ‘시험을 치러 가는데 차비 좀 빌려 주십시오’라고 했지요. 그분이 하는 말이 ‘내가 너 아비냐? 내가 왜 차비를 빌려 줘야 하느냐’는 것이었지요. 그때 제가 무슨 말을 했느냐 하면, “저는 앞으로 원장 선생님보다 1원이라도 더 잘 살 겁니다’라고 했지요. 결국 버스를 공짜로 타고 가서 시험에 합격해 축협에 취직이 됐습니다. 제가 비뚤어지지 않는 것은 그때 목표가 있었기 때문이지요.
저는 모질었지요. 그러니 쓸데없는 데는 돈 한 푼 안 씁니다. 커피 한잔에 5000원이 아까워 다방에도 안 갔죠. 나중에 제가 돈을 많이 버니, 주변 사람들이 ‘그렇게 벌었으니 인생을 즐겨야지’라고 했지만, 저는 반대입니다. 인생은 즐겁게 살 것이 아니라 인간답게 보람되게 살아야죠. 자식들에게도 ‘물려줄 재산은 없다. 내가 번 돈이니까 내가 어떻게 쓰든 간에 내 마음대로 쓴다’고 했습니다.”
―맨손으로 어떻게 돈을 벌었던 겁니까?
“안동 축협에 근무할 때, 소 한 마리 값이 12만원까지 폭락한 적이 있었어요. 당시 정부에서 축산 장려책을 펴면서 소를 지나치게 수입을 한 겁니다. 농부들이 120만원 주고 산 소를 2년간 먹여 어미 소가 낳은 송아지 한 마리까지 끼워 팔아도 50만원도 못 받는 거예요. 그래서 자살을 하고 데모를 하고 난리가 났습니다.
저는 ‘모든 것이 내리면 오르는 법이다. 앞으로는 지금보다 더 오를 것이다. 자살을 하고 데모를 하느니 소를 더 기르자’며 농가를 찾아다니며 설득했지요. 그러니 나보고 다 돈 놈이라고 해요. 제가 먼저 실천해 보이기 위해 1000만원 빚을 내 소 100마리를 사서 직접 길렀어요. 지금은 송아지 한 마리에 270만원이에요. 팔고 사고 하면서 나중에는 500마리 정도 됐지요. 소 값이 비쌀 때 그것을 팔아 도시에 집을 사고, 그 집을 사놨다가 소 값이 내리면 그 집을 담보로 해가지고 또 소를 샀지요. 이 절을 지으면서 다 그만뒀지만, 안동에 있던 목장의 땅 값도 엄청 뛰었지요.”
―30억원을 들여 이 절을 지었으니, 돈을 많이 벌기는 벌었군요.
통상 이런 말에는 속인도 겸사(謙辭)하는 법인데, 명색이 스님께서 “이건 돈을 많이 벌었다고 할 수도 없어요. 없을 때보다는 당연히 많이 벌었지만 그게 많이 번 것은 아니지. 진짜로 돈 벌려고 했으면 100억원 이상쯤 벌었을 겁니다. 그러나 이 정도의 재산이면 평생을 안 벌어도 먹고살 것이고, 내가 더 돈 벌면 다른 사람들이 돈 벌 기회를 그만큼 잃게 되겠지요.”라고 큰소리쳤다. 듣는 내게는 가장 어려운 과업임에도.
“돈 버는 것은 쉬워요. 그런데 저는 남들에게 돈 버는 것을 알려주는 것을 좋아하지 제가 직접 버는 것을 좋아하지는 않았던 것 같아요. 뭐, 이 정도로 벌어도 저는 정말 출세를 많이 한 거죠. 산골 촌놈이 도의원도 했지, 이보다 더 출세할 수는 없어요. 너무 과분하게 출세를 했지. 호사다마(好事多魔)라 좋은 일에는 마가 끼니, 내가 많이 출세하고 많이 벌었으니까 많이 베풀어야 합니다.
돈을 모으기만 하고 쓸 줄은 모르면 그건 돈의 주인이 아닙니다. 자기가 모았으면 자기가 쓸 줄 알아야 주인이지요. 주인이 자기를 어디에 쓰느냐를, 돈은 지켜봅니다. 귀신보다 더 밝다는 게 돈의 눈이란 말이지요.”
비록 절에서 돈 얘기를 했지만 돈은 늘 우리 삶의 관심사가 아니겠는가. 정말 맛있는 밥 한 그릇 잘 얻어먹고 왔다.
한국의 젊은이들아! 너희들이 먹다 남긴 그 우유는 (0) | 2009.09.28 |
---|---|
정치인에서 승려가 된 지개야 (1) | 2007.10.13 |
생각을 조심하라 (0) | 2007.01.08 |
이백만은 도쿄로 이사오는 것이 옳다 (1) | 2006.11.17 |
자식에 올인말고,노후에 투자하라 (0) | 2006.11.16 |
습관이 부자와 빈자를 만든다. (0) | 2006.11.13 |
첫댓글 스님이 사법피해자가 되시어
검`판사 10명에게 피해를 입으신 사건을 "무법천지 판`검사" 책으로 출간 하셨습니다
스님께서는
출판사도 운영 하시고 사법개혁에도 깊은 관심이 있으므로 우리카페 지향하는 바에 천군만마 입니다
위 기사는 스님께서 인터뷰한 기사를 퍼왔습니다
회원님들의 지대한 관심과 열렬한 환영 부탁드립니다
스님께서는
저서'무법천지 판`검사'를 적당량 우리카페에 '보시' 하시기로 하셨습니다
구독을 원하시는 회원님께 보시하시라 는 주문과 함께
원하시는 회원님
댓글로 주소를 남겨 주시면 도착하는대로 발송해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