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물이불물어물(物物而不物於物)
“莊子行於山中, 見大木, 枝葉盛茂, 伐木者止其旁而不取也. 問其故, 曰: “無所可用.” 莊子曰: “此木以不材得終其天年夫!” 出於山, 舍於故人家. 故人喜, 命竪子殺雁而烹之. 竪子請曰: “其一能鳴, 其一不能鳴, 請奚殺?” 主人曰: “殺不能鳴者.” 明日, 弟子問於莊子曰: “昨日山中之木, 以不材得終其天年; 今主人之雁, 以不材死; 先生將何處?” 莊子笑曰: “周將處乎材與不材之間. 材與不材之間, 似之而非也, 故未免乎累. 若夫乘道德而浮遊則不然. 无譽无訾, 一龍一蛇, 與時俱化, 而无肯專爲; 一上一下, 以和爲量, 浮遊乎萬物之祖; 物物而不物於物, 則胡可得而累邪! 此神農黃帝之法則也.” -《장자(莊子)》〈산목(山木)〉
“장자가 산 속을 걸어가다가 한 그루의 거목(巨木)을 발견하였다. 나무가지와 잎사귀가 무성하게 우거졌는데도, 벌목꾼은 그 나무 옆에 그냥 앉아 있을 뿐 벨 생각을 하지 않았다. 이상하게 생각한 장자가 그 이유를 물었더니, 쓸모가 없어서 그렇다는 대답이 돌아왔다. 그러자 장자가 말했다. “이 나무는 쓸모가 없어서 자연의 수명을 다할 수가 있구나!” 장자가 산에서 내려와서 친구의 집에 들렀다. 친구가 기쁜 나머지 동복(童僕)을 불러서 거위를 잡아 요리하라고 명하였다. 동복이 물었다. “한 놈은 잘 울고, 한 놈은 잘 울지 못하는데, 어떤 놈을 잡을까요?” 주인이 말했다. “잘 울지 못하는 놈을 잡아라!” 다음 날에 제자가 장자에게 물었다. “어제 산 속의 나무는 쓸모가 없어서 자연의 수명을 누릴 수 있었는데, 지금 주인의 거위는 쓸모가 없어서 죽었습니다. 선생님은 앞으로 어떻게 처신하시렵니까?” 장자가 빙긋이 웃으면서 말했다. “그렇다면 나는 재(材,쓸모있는 것)와 부재(不材, 쓸모 없는 것) 사이에나 있어 볼꺼나? 하지만 재와 부재의 사이라는 것이 그럴 듯하기는 해도 사실은 그렇지 않으니 누(累)가 되는 일을 면할 수는 없을꺼야.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무위자연(無爲自然)의 도와 덕 위에 올라 타고 떠다니며 노닌다면 그렇게 되지는 않겠지. 말하자면 칭찬이나 비난도 없이 어떤 때는 용이 되었다가 어떤 때는 뱀이 되었다가 하면서 그 때의 상황과 함께 동화된 채 전적으로 무엇을 해야 하겠다는 마음을 갖지 않는 것이라고나 할까. 그리고 어떤 때는 올라갔다가 어떤 때는 내려왔다가 하면서 자연의 순리에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삼아 만물의 근원에 마음을 띄우고 노니는 것 말이지. 이렇게 해서 '물을 물로 하고 물에 물이 되지만 않는다면(物物而不物於物)' 즉 물을 물로 부리면서 주재(主宰)를 하고 물에 의해 물로 부림을 받지 않는다면, 외부의 환경에 피동적으로 끌려 다니지 않고서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간다면, 누(累)가 되는 일이 어찌 있을 수 있겠는가. 이것은 바로 신농씨와 황제가 보여 주었던 처세의 철학이기도 하다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