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美 건설시장 고공행진 | ||||||||||||||||||||||||||||||||||||||||||||||||||||||||||||||||||||||||||||||||||||||||||||||||||||||||||||||||||||||||||||||||||||||||||||||||||||||||||||||||||||||||||||||||||||||||||||||||||||||||||||||||||||||||||||||||||||||||||||
---|---|---|---|---|---|---|---|---|---|---|---|---|---|---|---|---|---|---|---|---|---|---|---|---|---|---|---|---|---|---|---|---|---|---|---|---|---|---|---|---|---|---|---|---|---|---|---|---|---|---|---|---|---|---|---|---|---|---|---|---|---|---|---|---|---|---|---|---|---|---|---|---|---|---|---|---|---|---|---|---|---|---|---|---|---|---|---|---|---|---|---|---|---|---|---|---|---|---|---|---|---|---|---|---|---|---|---|---|---|---|---|---|---|---|---|---|---|---|---|---|---|---|---|---|---|---|---|---|---|---|---|---|---|---|---|---|---|---|---|---|---|---|---|---|---|---|---|---|---|---|---|---|---|---|---|---|---|---|---|---|---|---|---|---|---|---|---|---|---|---|---|---|---|---|---|---|---|---|---|---|---|---|---|---|---|---|---|---|---|---|---|---|---|---|---|---|---|---|---|---|---|---|---|---|---|---|---|---|---|---|---|---|---|---|---|---|---|---|---|---|---|---|---|---|---|---|---|---|---|---|---|---|---|---|---|---|---|
게시일 | 2016-07-25 | 국가 | 미국 | 작성자 | 이성수(달라스무역관) | ||||||||||||||||||||||||||||||||||||||||||||||||||||||||||||||||||||||||||||||||||||||||||||||||||||||||||||||||||||||||||||||||||||||||||||||||||||||||||||||||||||||||||||||||||||||||||||||||||||||||||||||||||||||||||||||||||||||||
美 건설시장 고공행진 - 2015년 건설시장 최고치 갱신, 1조970억 달러 - - 2016년 건설 중장비 제조 459억, 건설 중장비 330억 달러 시장 규모 전망 -
□ 美 건설시장 최고치 갱신, 1조970억 달러
○ 미 상무부에 따르면, 2015년 미국 건설시장은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최대 시장규모 형성 - 2014년 시장규모는 9934억 달러로 2007년 이후 최대 규모를 자랑했지만, 2015년은 최대치보다 10.5% 증가
○ 민간 건설시장 규모, 전체 건설시장의 70% 점유 - 2015년 민간 건설시장은 8061억 달러로 전년대비 12.3% 증가(2014년 민간 건설시장 규모 7177억 달러) - 주거용 건설시장은 4168억 달러로 전년대비 12.6%, 상업용 빌딩, 사립학교, 숙박시설 등 비주거용 건설시장은 3893억 달러로 전년대비 12% 상승함.
○ 공공 건설시장, 2912억 달러 규모로 전년대비 5.6% 증가 - 주요 공공 건설시장으로 교육용 건설이 전년대비 6.8% 성장한 673억 달러, 고속도로 건설은 전년대비 6.7% 성장한 896억 달러 점유
○ 2016년 신규 건설시장 규모 전년대비 6% 상승한 7120억 달러 규모 전망 - 건설시장 전문조사 기관 Dodge Data &Analytics는 미국 경기 호황과 금리인상에 따른 달러화 강세로 건설시장의 호황을 전망하고 있음.
□ 텍사스 건설시장 붐
○ 달라스(Dallas), ‘2015년 미국 건설 붐 도시’ 2위에 선정 - 포브지(Forbes)에 따르면, 2015년 달라스의 신축 건설시장 규모는 178억 달러로 전년대비 19% 상승 (2016년 2월 보도) - 달라스의 주요 건설 프로젝트로 5억7000만 달러 규모의 페이스북(Facebook) 데이터센터 설립과 1억5600만 달러 규모의 빅토리 플레이스(Victory Place) 아파트 단지 건설이 있음. - 도요타(Toyota) 북미 생산공장 이전, 제너럴 모터스(General Motors, GM)의 조립공장 이전, 뮤추얼 보험(Mutual Insurance) 북텍사스 지사 건립 등은 달라스 건설시장 붐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함. - 글로벌 부동산 컨설팅 기업인 존스랑라살(JLL)의 자료에 따르면, 달라스는 2016년 1분기 산업용 건설시장에서 최대 규모를 자랑하고 있음. · 달라스 24.4m.s.f., 시카고 16.9m.s.f., 인랜드엠파이어(Inland Empire) 16.0 m.s.f 순임.
2016년 1분기 산업용 건설시장 규모 자료원: JLL Research
○ 휴스턴, 저유가 속에서도 건설 붐 도시 3위에 선정 - 2015년 신축 건설시장 규모 167억 달러로 전년대비 49% 감소 - 저유가로 500억 달러 규모의 석유화학 기지, 정재소, 천연가스 액화 시설 등의 건설시장이 위축되고 있음. - 그러나 인구 증가, 식당 및 호텔 시설 증가는 여전히 휴스턴 지역의 건설 경기를 이끌고 있음.
○ 텍사스 주도(州都) 오스틴(Austin)도 16위 점유 - 2015년 신축 건설시장 규모는 64억 달러로 전년대비 2% 성장했으며, 주요 건설 프로젝트로 2억300만 달러 규모의 Fairmont Austin Convention Hotel을 꼽을 수 있음.
○ 급성장하는 샌안토니오 20위 점유 - 샌안토니오(San Antonio)는 텍사스 주의 남부, 멕시코 가까이에 있는 공업도시로 유명하며 2015년 신규 건축시장 규모가 47억 달러로 전년대비 3% 성장
□ 건설 중장비시장 규모 및 품목별 수요 현황
○ 2016년 건설 중장비 제조산업 459억 달러 규모 전망 - 시장조사 전문기관 IBIS에 따르면, 2015년 건설 중장비 제조 산업은 442억 달러로 전년대비 19.7% 증가 - 2016년은 전년대비 3.6%, 2020년까지 연평균 2.8% 성장 전망
○ 미국 중장비 제조사 협회(Association of Equipment Manufacturers)는 미국 건설장비 시장 회복세 전망 - 그러나 아직까지 건설 중장비의 직접적인 구매보다는 단기 리스와 렌탈 분야가 활성화돼 있음.
○ 건설 중장비 품목별 수요는 파워크레인, 드래그라인 및 셔블 등의 굴착기가 24.9% 점유 - 에어 컴프레서, 워터트럭, 엔진 등의 기타 제품이 18.2%, 건설 기기 및 장비가 16.1%, 트랙터 셔블 로드 12.8%, 교체용 부품 9.9% 점유
미국 건설 중장비 품목별 수요 현황 자료원: IBIS World
□ 건설 중장비 임대시장
○ 2016년 미국 건설 중장비 임대 시장, 330억 달러 규모 - IBIS World에 따르면, 미국의 건설 중장비 임대 시장은 전년대비 3.5% 증가했으며, 향후 5년간 연평균 3.8% 성장 전망 - 이는 미국 경기 호황에 따른 상업용 건물 및 신규 주택 수요 증가뿐만 아니라, 비용절감을 위해 장비 구매보다는 임대를 선호하는 경향에 따른 것임.
○ 캘리포니아, 텍사스에 주요 임대업체 밀집 - 캘리포니아는 미 전체 임대 시장의 15%를 점유하고 있으며, 농업 건설장비, 영화 건설장비 등의 임대 시장이 주를 이루고 있음. - 텍사스는 10.7%를 점유하고 있으며, 유입 인구 증가에 따른 건설시장 호황으로 중장비 임대 시장이 증가하고 있음.
미국 건설 중장비 임대 시장 분포 자료원: IBIS World
□ 건설 중장비 수입 규모
○ 2016년 1~4월까지 미국의 유압 브레이크(Hydraulic breaker), 크러셔(Crushers) 수입 규모는 9억2153 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9.54% 감소 - 이는 건설 중장비 임대시장 선호에 따른 수입시장 축소에서 비롯됨. - 주요 수입국으로는 중국, 멕시코, 일본, 독일 등이 있으며, 한국은 6위 수입국으로 전년동기대비 28.16% 감소한 7310만 달러의 수입 규모를 달성
미 유압 브레이크, 크러셔 수입현황(HS Code 843149 기준) (단위: 천 달러, %)
자료원: U.S. Department of Commerce, Global Trade Atlas
○ 2016년 1~ 4월까지 미국의 프론트엔드 셔블로더(front-end shovel loader) 수입 규모는 4억5392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9.77% 감소 - 주요 수입국으로는 일본, 한국, 호주, 스웨덴 등이 있으며, 한국은 2위 수입국으로 전년동기대비 34.41% 감소한 4570만 달러의 수입 규모를 달성
미 프론트엔드 셔블로더 수입 현황(HS Code 842951 기준) (단위: 천 달러, %)
자료원: U.S. Department of Commerce, Global Trade Atlas
□ 바이어 인터뷰 및 시사점
○ 건설 중장비 시장, 2018년부터 본격적인 시장 회복 전망 - 세계 최대 중장비 제조업체 Caterpillar Inc.는 2000년대 미국 부동산시장 거품 붕괴로 건설 경기가 위축됐지만, 현재 경기 회복에 따른 건설시장 회복 예상 - 또한,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상업용 및 주거용 건설경기 회복, 인프라 시설 확장 등으로 건설 중장비 수요가 늘어나고 있음.
○ 건설 중장비, 미국 현지화 전략으로 수출시장 확대 고려 - 미국 주요 중장비 업체 John Deere 구매 담당자에 따르면, 건설 중장비 수요 증가에 따라 중장비 부품 구매 또한 늘릴 계획이며 무엇보다 신속한 A/S를 제공하는 업체 선호 - 따라서, 건설 중장비 기기 부품을 수입하기보다는 현지 업체 제품 구매 선호 - 일본 업체인 Kobelco Construction Machinery는 휴스턴, Komatsu는 시카고에 지사 설립 후 미국 현지 시장 진출을 확대하고 있음.
○ 미국 건설 중장비 임대업체를 통한 미국 시장 진출 가능 - 건설 중장비 임대시장 성장은 임대 및 리스업체 그리고 유통 및 부품 딜러의 부품 구매가 증가할 것으로 보임. - 현지 건설장비 임대 및 유통업체 구매 담당자에 따르면, 건설 중장비 부품 사용주기는 5~7년으로 현재 부품 수요가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가격경쟁력이 뛰어난 제품 선호 - 따라서 한국 중장비 부품 수출업체는 미국 건설 중장비 임대업체를 통해 미국 시장 진출 기회를 고려해볼 수 있음.
자료원: Dodge Data & Analytics, Forbes, JLL Research, IBIS World, U.S. Department of Commerce, Global Trade Atlas, 미국 중장비 제조사 협회, 바이어 인터뷰 및 KOTRA 달라스 무역관 자료 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