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此身死了死了(차신사료사료) 一百番更死了(일백번갱사료)
此(이 차) 身(몸 신) 死(죽을 사) 了(마칠 료) 一(한 일) 百(일백 백) 番(번 번) 更(다시 갱) 骨(뼈 골) 爲(될 위) 塵(티끌 진) 土(흙 토) 魂(넋 혼) 魄(넋 백) 有(있을 유) 也(어조사 야) 無(없을 무) 向(향할 향) 主(주인 주) 片(조각 편) 丹(붉을 단) 心(마음 심) 寧(차라리/어찌/편안할 녕) 改(고칠 개) 理(다스릴/도리 리) 歟(그런가 여)
백골이 진토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 / 님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
안으로는 이자겸의 난, 묘청의 난, 무신의 난을 거치면서 내분이 격화되었고, 밖으로는 왜구와 북방 이민족의 잦은 침략에 시달리면서 국력이 크게 쇠약해졌다. 이와 같은 정치`사회적 불안기에 고려사회의 개혁을 이끈 대표인물이 이성계(李成桂)와 정몽주(鄭夢周:1337~1392)이다.
이성계 일파는 역성(易姓)혁명에 앞서서 정몽주를 포섭하거나 제거하는 선택의 문제로 고민하였다. 바로 이때, 훗날 조선의 태종이 된 이방원이 정몽주의 진심을 떠보고 회유하기 위하여 읊은 <하여가(何如歌)>에 대한 정몽주의 대답이 <단심가>인 것이다. 정몽주는 호가 포은(圃隱)으로, 공민왕 9년 문과에 급제하여 조정의 요직을 두루 거치며 점진적인 개혁을 주장하였다.
포은은 학문이 뛰어났을 뿐만 아니라 이성계와 함께 왜구를 직접 토벌하는 등 무공도 갖추었으며, 법질서의 확립을 기하고 교육을 진흥시키는데도 앞장섰다. 또한 외교적 수완도 뛰어나 여러 차례 일본에 건너가 왜구의 단속을 요청하였고 잡혀간 수백 명의 고려인들을 귀국시켰으며, 긴장상태였던 대명외교도 훌륭하게 풀어나가는 등 명망이 높았다. 그러나 조준, 정도전, 남은 등 급진적인 개혁파들이 이성계를 왕으로 추대하려 하자, 이에 반대하였고 결국 이성계의 아들인 이방원에 의해 피살되었다. 즉, 자신과 역사에 대한 확고한 신념과 의지를 충신불사이군(忠臣不事二君)의 명분을 빌어 드러낸 것이다.
자료제공 : 장원교육 한자연구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