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최근 '10·29 이태원 참사'에 대해 조작 가능성을 언급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가운데 윤 대통령의 탄핵을 요구하는 국회 청원에 57만 명이 넘는 국민이 동의했다. 현재 청원 사이트에는 약 7천 명의 대기인원이 몰리면서, 예상 대기시간이 30분에 달하는 등 접속 지연이 빚어지고 있다. 국민동의청원은 홈페이지 공개 후 30일 내에 동의 인원이 5만 명을 넘어서면 국회 관련 상임위원회에 회부된다.
해당 청원은 이미 지난 24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 회부됐다. 청원인은 "윤석열 대통령 취임 이후 대한민국은 총체적인 위기에 처해있다"며 "채해병 특검, 김건희 특검 등에 대한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로 민주주의의 근간이 흔들리고 있다. 대한민국을 위기로 몰아가고 반성할 줄 모르는 대통령을 더 두고 볼 수 없다"며 청원 취지를 밝혔다.
청원인은 대표적인 탄핵 사유로 △해병대 박정훈 수사단장에 대한 외압 행사 △명품 뇌물 수수, 주가조작, 서울·양평 고속도로 노선 조작 등 부정비리와 국정농단 △전쟁 위기 조장 △일본 강제징용 친일 해법 강행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투기 방조 등 5가지 사유를 들었다. 그러면서 "국민 안전, 국가 이익 수호라는 헌법정신을 부정하는 윤석열의 탄핵 사유는 차고 넘친다"며 "파국으로 치닫고 있는 대한민국을 바로 세우기 위해 우리 국민은 윤석열 정권 탄핵을 명령한다"고 덧붙였다.
국민동의 청원제도에 따르면 5만명 이상이 동의한 청원은 소관 상임위로 회부되며, 상임위에서는 심사 결과 청원의 타당성이 인정될 경우 이를 본회의에 부의할 수 있다. 조국혁신당 원내대변인을 맡고 있는 신장식 의원은 이날 "법사위에서 어떤 시점에 이것(탄핵 청원)을 본격적으로 다룰 거냐는 법사위원장과 양당 간사의 몫이 되는데, 양당 간사 간 협의가 원만치 않아 보인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