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5월 18일
홋카이도여객철도주식회사
PASMO협의회
동일본여객철도주식회사
나고야시교통국
나고야철도주식회사
도카이여객철도주식회사
스룻토간사이협의회
서일본여객철도주식회사
후쿠오카시교통국
서일본철도주식회사
큐슈여객철도주식회사
- 이상 11개 사업자
교통계IC카드의 상호이용서비스를 실시하는 것에 합의하다
2010년 12월 20일에 [10개의 교통계IC카드에 따른 상호이용서비스의 검토개시]에 대해서 안내가 있었습니다만, 이 때, 위에 표기된 11개 사업자에 있어서, 2013년 봄부터 상호이용서비스를 실시하는 것으로 합의하였기에 이와 같이 알려드립니다.
교통계 IC카드를 이용하는 전국의 고객분들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 상호이용서비스에 많은 기대 바랍니다.
1. 상호이용서비스를 실시하는 교통계 IC카드
Kitaca 홋카이도여객철도주식회사
PASMO 주식회사 PASMO
Suica 동일본여객철도주식회사
manaca 주식회사나고야시교통개발기구 및 주식회사 MIC
TOICA 도카이여객철도주식회사
PiTaPa 주식회사 스룻토간사이
ICOCA 서일본여객철도주식회사
はやかけん 후쿠오카시교통국
nimoca 주식회사 니모카
SUGOCA 큐슈여객철도주식회사
2. 서비스 개시시기
2013년 봄
3. 상기의 교통계 IC카드가 이용가능한 교통사업자
- 별지 참조
4. 상호이용서비스 개요
- [별지]의 교통사업자의 철도 및 버스에서의 이용
- 각 교통계 IC 카드 가맹점에서의 이용 ( PiTaPa는 제외 )
서비스의 개시일이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정리되는 대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Kitaca 는, 홋카이도여객철도주식회사의 등록상표입니다.
※ PASMO 는, 주식회사 PASMO의 등록상표입니다.
※ Suica 는, 동일본여객철도주식회사의 등록상표입니다.
※ manaca 는, 주식회사나고야교통개발기구 및 주식회사 MIC의 등록상표입니다.
※ TOICA 는, 도카이여객철도주식회사의 등록상표입니다.
※ PiTaPa는, 주식회사 스룻토간사이의 등록상표입니다.
※ ICOCA 는, 서일본여객철도주식회사의 등록상표입니다.
※ はやかけん 은, 후쿠오카시교통국의 등록상표입니다.
※ nimoca 는, 서일본철도주식회사의 등록상표입니다.
※ SUGOCA 는, 큐슈여객철도주식회사의 등록상표입니다.
별지는 생략하겠습니다 ㅜㅜ ( 너무 분량이 많아요 )
상호 호환은 되더라도, 파스모에 JR선만의 정기권 내용을 입히는 등의 것은 기대하기 어렵겠죠?
( 출처 : JR 동일본 여객철도주식회사 홈페이지 http://www.jreast.co.jp 2011년 5월 18일 )
첫댓글 오-역시 현지에 계신 Polymer님의 이점을 살려 생생 중요 정보를 알려주셨네요.
주인장님께서도 전에 정리하신 자료가 있으셔서 참고하실 것 같습니다.
수고 많으셨습니다.
네. 안그래도 자려고 하는데 무의식적으로 JR동일본을 클릭했더니 이런 정보가 있더군요.
씨거리님 모처럼 댓글 달아주셨는데 삭제해서 죄송합니다 ^^; 제가 자유게시판에다가 글을 써서 말이죠. 이동차원에서 어쩔수 없었습니다.
최신 정보네요. 이것 참 좋은 소식입니다. 이렇게 되면 스이카나 패스모등으로 엄청난 혜택을 누릴 수 있겠네요.
네. 타지역 도심에서 굳이 일일이 티켓을 발권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죠.
저 10가지 교통카드가 모두 함께 호환이 이뤄진다는 의미네요.
그러면 Suica를 가지고 후쿠오카나 홋카이도에 가서 쓸수 있고, ICOCA를 가지고도 도쿄나 나고야, 삿포로에 가서 쓸 수 있는 건가요...
뭐 이미 Suica카드의 경우 Kitaca에이리어(북해도), 센다이, 니가타, 수도권, TOICA(JR도카이), ICOCA(JR서일본), SUGOGA(JR큐슈), nimoca, はやかけん에서 전부 사용 가능합니다. 하지만 PASMO 등의 사철 느낌이 푹푹 풍기는 카드들의 경우에는 다른지역에서 아마 제대로 호환이 아직까지는 안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작년에 제가 홋카이도 갔을때에도 신치토세공항 -> 삿포로 구간을 Suica로 이용했었습니다.
일본은 대부분이 선불카드이고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하는 후불교통카드가 드뭅니다. 또한 환승 할인이나 교통카드 할인이 되는 경우도 많지 않으므로 아직은 교통카드 이용에서는 우리나라가 더 낫다고 봅니다.